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기 일본인 연구자의 병자호란 관련 연구 검토 -오시부치 하지메(鴛淵一),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우라 렌이치(浦廉一)의 논의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n Japanese Scholar’s Studies on the Byeongja Horan(丙子胡亂, Qing Invasion of Joseon Korea in 1637) during the Colonial Era -with a Focus upon Studies of Oshibuchi Hajime(鴛淵一),Shinoda J)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3.08
32P 미리보기
식민지기 일본인 연구자의 병자호란 관련 연구 검토 -오시부치 하지메(鴛淵一),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우라 렌이치(浦廉一)의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70호 / 9 ~ 40페이지
    · 저자명 : 허태구

    초록

    이 논문은 식민지기 병자호란을 專論으로 다룬 일본인 연구자의 저작을 검토하고, 그 특징과 한계를 정리한 연구이다.
    첫 번째, 오시부치 하지메(鴛淵一)의 연구는 三田渡 碑文을 주요 사료로 활용하여 사르후 전투, 정묘호란, 병자호란을 관통하는 전쟁의 공통된 특징과 양상을 추출하고자 시도했다. 조ㆍ청 무력 충돌의 배후에 있는 청의 경제적 욕구를 삼전도비에 기술된 청 황제의 鴻恩과 연관시켜 논지를 전개한 점이 특징이다. 그러나 세 차례의 무력 충돌 직후 조ㆍ명ㆍ청의 국력과 상황이 각각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의 설명은 다소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평할 만하다.
    두 번째,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의 연구는 러일 전쟁 당시 국제법 전공자로서 러시아군의 항복 업무를 담당한 저자의 비교사적 관심 아래 시도되었다. 근대 이후 병자호란을 단독 주제로 다룬 최초의 학술서로서 남한산성 농성 전후의 전투, 교섭, 항복 과정을 상세히 정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논문 전체를 관통하는 저자만의 시각이나 깊이 있는 해석은 본고에서 거론한 다른 두 동양사 전공 연구자에 비해 부족하다.
    세 번째, 우라 렌이치(浦廉一)의 연구는 17세기 동아시아 패권 변동기 조ㆍ청 간의 갈등을 일본의 입장과 시선에서 복원한 것이다. 이나바 이와키치의 선행 연구에서 간략히 언급하였던 관련 내용, 특히 조선-대마도-에도막부 사이의 교섭과 상호 인식, 그리고 청의 조치와 대응, 이와 관련된 대일본 인식 등을 상세히 정리하였다. 그러나 당시 일본의 입장과 지위를 과대평가함으로써 초래된 억지스러운 설명과 해석도 간간이 보인다.
    세 명의 연구 모두 조선 측 사료에 보이는 主和ㆍ斥和論의 갈등과 대립을 조선 정치의 후진성을 상징하는 黨派性論이나 事大主義論과 결부하여 이해하였다. 아울러 조선 내 척화론의 자발적 동력과 당위적 성격, 그 역사적 특징을 포착하지 못한 채 人災論的 史評을 付記하는 데 그쳤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works of Japanese researchers who have focused on the Byeongja Horan(丙子胡亂) as a key topic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summarizes their features and limitations.
    The first, by Oshibuchi Hajime(鴛淵一), utilizes the Samjeondobi(三田渡碑)’s inscriptions as a primary source and attempts to extract common features and aspects of the wars that run through the Battle of Sarhu, Jeongmyo Horan(丁卯胡亂), and Byeongja Horan(丙子胡亂). His thesis is characterized by linking the economic needs of the Qing dynasty behind the armed conflicts between Joseon and Qing to the great and generous grace of the Qing emperor described in the inscriptions. However, given the different national powers and circumstances of the Joseon, Ming, and Qing dynasties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three armed conflicts, it is fair to say that his explanation suffers from the fallacy of hasty generalization.
    The second, the study of Shinoda Jisaku(篠田治策), was attempted under the comparative historical interest of the author, who, as an international law major, was in charge of the surrender of the Russian army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It is the first scholarly book to deal with the Byeongja Horan(丙子胡亂) as a single topic since modern times, and it is significant that it details the battles, negotiations, and surrender process before and after the siege of Namhan Sanseong(南漢山城). However, the author’s unique perspective and in-depth interpretations throughout the book are lacking compared to the works of the other two major oriental history researchers.
    The third study, by Ura Renichi(浦廉一), reconstructs the conflict between the Joseon and Qing dynasties in the 17th century, a period of hegemonic change in East Asia, from a Japanese perspective. Inaba Iwakichi(稻葉岩吉)’s earlier work briefly touched on relevant details, especially the negotiations and mutual recognition between Joseon, Tsushima, and the Edo shogunate, as well as the Qing dynasty’s actions and responses, and Japanese perceptions of them. However, these studies also overestimate Japan’s position and status at the time, leading to forced explanations and interpretations.
    All three studies only understood the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Juhwaron(主和論) and Cheokhwaron(斥和論) in Joseon’s historical sources in conjunction with the theory of partisanship or the theory of sadaejuui(事大主義論), which symbolizes the backwardness of Joseon politics. Furthermore, they failed to capture the voluntary driving force, legitimacy,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Cheokhwaron(斥和論) in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