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에서의 시간 -코젤렉과 리쾨르의 시간담론을 중심으로- (Time in History: Koselleck and Ricœu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5.12
31P 미리보기
역사에서의 시간 -코젤렉과 리쾨르의 시간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32호 / 423 ~ 453페이지
    · 저자명 : 최성철

    초록

    역사에서의 시간은, 물리학 또는 철학에서 논의되는 시간 개념과 달리, 크게 (1) 자연적 시간과 (2) 역사적 시간으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여기서 역사적 시간을 이해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두 가지 논점이 눈에 띈다. 하나는 그것이 근대에 만들어진 개념, 즉 ‘근대적 시간’이라는 것이고(코젤렉), 또 하나는 그것이 이야기를 담고 있는 시간, 즉 ‘서사적 시간’이라는 것이다(리쾨르). 이 글은 역사적 시간을 바라보는 이 두 모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역사적 시간의 올바른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일의 역사가 라인하르트 코젤렉에 따르면, 1500년에서 1800년 사이, 사건으로 말하면 종교개혁에서 프랑스혁명까지의 시기 동안에 “역사가 시간화되었고, 그 끝에 우리의 현대를 특징짓는 독특한 종류의 가속화가 일어났다.” 근대에 수많은 역사적인 사건들을 경험하고서야 비로소 사람들은 역사에서 시간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면서 시간의식을 갖기 시작했고, 근대로 올수록 시간이 빨라졌다는 뜻이다. 굴곡진 역사적 경험이 시간의식을 형성하도록 만든 원인자, 원동력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코젤렉에게 역사적 시간은 자연적 시간과 대립하면서 혁명과 같은 사건들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 근대적 시간이자 수직적이고 통시적인 시간이었다.
    한편 프랑스 철학자 폴 리쾨르에 따르면, ‘역사적 시간’은 객관적 시간과 주관적 시간범주의 간극을 불완전하게나마 메워주는 매개적 시간이다. 여기서 ‘역사적 시간’이란 이야기로 꾸며진 시간, 즉 ‘서사적 시간’을 의미하고, 그렇기에 역사적 시간에는 이야기, 즉 서사가 핵심 구성요소를 이룬다. 삶을 살아가는 다양한 모습으로서 인간들의 이야기가 바로 시간이라는 좌표 안에 얽혀 들어감으로써 우주적 시간(객관적 시간)과 현상적 시간(주관적 시간)이라는 양 극단의 시간은 매개된다. 서사는 여기서 양 시간범주를 연결해주는 메신저이자 가교(架橋) 역할을 수행한다. 그래서 리쾨르는 “시간은 서술적 양태로 엮임으로써 인간의 시간이 되며, 이야기는 그것이 시간적 실존의 조건이 될 때 그 충만한 의미에 이른다”고 주장한다. 시간과 서사는 씨줄과 날줄, 즉 형식과 내용으로 서로 엮이며 완전한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처럼 리쾨르에게 역사적 시간은 근본적으로 서사적 시간이자 수평적이고 공시적인 시간이었다.
    역사적 시간은 분명 단수의 시간이 아니라, 매 시기마다, 그리고 사람마다 갖는 고유한 시간리듬에 바탕을 둔 복수의 시간이다. 역사적 시간은 인간의 삶과 경험 또는 서사로 구성되어 있기에 주관적 시간의 세계에 한 발을 담그고 있는 한편, 우주의 자연적 시간척도를 근거로 작업할 수밖에 없기에 객관적 시간 안에도 다른 한 발을 딛고 서 있다. 시간은 역사의 내용을 먹고 사는 존재지만, 역사는 시간 없이 존재할 수 없다.

    영어초록

    Time in history, unlike in physics or philosophy, is divided generally in (1) natural time and (2) historical time. There are several way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time, but two of them arrest attention here to discuss deeply. One is that it is the concept created in the modern age, namely ‘modern time’(Koselleck), and another is that it was contained in the story, that is called ‘narrative time’(Ricœur). This article aims to contribute to a prope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ime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two models.
    According to the German historian Reinhart Koselleck, between 1500-1800, during the period from the Reformation up to the French Revolution, “history was temporalized, it arose at the end an unique kind of acceleration that characterizes our modern times.” Only by experiencing a number of historical events in modern times, people began to recognize the meaning and value of time in history, to have time consciousness. The closer we come to the modern age, the faster the time goes by. Historical experience has become the main cause and the driving force to make the sense of time. Thus for Koselleck the historical time was a modern, vertical, and diachronic one formed through the experience of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revolution.
    Meanwhile, according to the French philosopher Paul Ricœur, ‘historical time’ is mediating time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objective and the subjective time. The ‘historical time’ means here ‘narrative time’ filled up with stories. That is why the story, the narrative form must be a key component in historical time. The stories of human beings as various aspects of their lives take part both in cosmic time(objective time) and phenomenal time(subjective time), mediate then between the two times. The narrative plays a key role of messenger and cross-linking, which connects both of the time categories. Therefore, Ricœur argues: “Time becomes a human time by being weaved in narrative form, the story reaches its fullness when it becomes a condition of temporal existence.” Time and narrative weave the fabric laced to each other in form and contents, make the complete structure. Thus for Ricœur the historical time was essentially a narrative, horizontal, and synchronic one.
    Historical time is not a singular, but a plural one based on each person's unique feeling of time rhythm which could change in every time. Historical time is standing, on the one hand, on the area of subjective time which consists of people's lives and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on the realm of objective time in so far as historian should work with the natural time. The time is being to eat the contents of history, but history cannot exist withou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