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레짜까(Recaka), 뿌라까(Pūraka), 꿈브하까(Kumbhaka)의 정의 -라그후비라(Raghuvīra)의 『꿈브하까 편람』(Kumbhakapaddhati)을 중심으로- (A Definition of Recaka, Pūraka, and Kumbhaka Based on of Kumbhakapaddhati Raghuvīr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1.04
30P 미리보기
레짜까(Recaka), 뿌라까(Pūraka), 꿈브하까(Kumbhaka)의 정의 -라그후비라(Raghuvīra)의 『꿈브하까 편람』(Kumbhakapaddhati)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요가학회
    · 수록지 정보 : 요가학연구 / 25호 / 9 ~ 38페이지
    · 저자명 : 박영길

    초록

    『고락샤의 백송』(Gorakṣaśataka)을 비롯해서 『하타의 등불』(Haṭhapradīpikā) 등 전통적인 하타요가 문헌에 따르면 ‘뿌라까’(Pūraka)는 ‘들숨’을 의미하고 ‘레짜까’(Recaka)는 ‘날숨’을 의미하며 ‘꿈브하까’(Kumbhaka)는 ‘멈춤’을 의미한다. 그리고 바로 이 세 가지 작용에 의거해서 ‘쁘라나야마’(prāṇayāma)의 기법 역시 ‘뿌라까-쁘라나야마’(Pūraka-Prāṇayāma, 들숨 후 멈춤), ‘레짜까-쁘라나야마’(Recaka-Prāṇāyāma, 날숨 후 멈춤), ‘꿈브하까-쁘라나야마’(Kumbhaka-Prāṇāyāma, 멈춤에 의한 멈춤)로 나누어졌다. 물론 풀무(bhastrikā), 승리(ujjayī) 등 전통적인 하타요가 문헌에서 설명된 쁘라나야마의 기법들은 모두 ‘뿌라까-쁘라나야마’(들숨 후 멈춤) 범주에 속하고 ‘숨을 마시는 기법’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쁘라나야마의 기법들’과는 별개로 뿌라까, 레짜까, 꿈브하까의 경우 그 작용이 세분화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대표적인 용어는 ‘안따라-꿈브하까’(Antara-Kumbhaka), ‘바히야-꿈브하까’(Bāhya-Kumbhaka), ‘바히야-레짜까’(Bāhya-Recaka) 등이다. 하지만 이 용어들의 경우, 그 실체가 분명치 않았을 뿐만 아니라 원전적 근거도 명확치 않았다.
    17-19세기에 아사나(āsana)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듯이 쁘라나야마, 무드라의 기법 역시 적지 않게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대부분의 하타요가 문헌이 필사본으로 잠들어 있고 따라서 ‘안따라-꿈브하까’를 비롯한 용어들의 원류와 의미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 근래, 새로운 필사본의 발굴과 더불어 하타요가의 다양한 꿈브하까를 설명하는 새로운 문헌이 출현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라그후비라(Raghuvīra)의 『꿈브하까 편람』(Kumbhakapaddhati)이다.
    『꿈브하까 편람』은 ‘바히야’(Bāhya), ‘바히야비얀뜨라’(Bāhyābhyantara), ‘안따라’(Antara)와 같은 세부적 작용에 의거해서 뿌라까, 레짜까, 꿈브하까의 작용을 각각 세 종류로 분화해서 설명하는데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뿌라까, 레짜까, 꿈브하까의 개별적 정의와 작용구분 (개별적 정의) 뿌라까Pūraka (들숨) Ⓟ1 바히야-뿌라까 Bāhya-Pūraka Ⓟ2 바히야비얀따라-뿌라까 Bāhyābhyantara-Pūraka Ⓟ3 안따라-뿌라까 Antara-Pūraka 레짜까Recaka (날숨) Ⓡ1 안따라-레짜까 Antara-Recaka Ⓡ2 바히야비얀따라-레짜까 Bāhyābhyantara-Recaka Ⓡ3 바히야-레짜까 Bāhya-Recaka 꿈브하까Kumbhaka (멈춤) Ⓚ1 안따흐-꿈브하까 Antaḥ-Kumbhaka Ⓚ2 바히야비얀따라-꿈브하까 Bāhyābhyantara-Kumbhaka Ⓚ3 바히흐-꿈브하까 Bahiḥ-Kumbhaka 본고에서는 『꿈브하까 편람』에 의거해서 위의 아홉 작용 각각을 정의한 후 ‘들숨-멈춤-날숨’의 순서에 의거해서 아홉 작용의 순서를 분석할 것이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Hatayoga literature, including Gorakṣaśataka, Haṭhapradīpika etc, ‘Pūraka’ means ‘inhalation’ and ‘Recaka’ means ‘exhalation’, and ‘Kumbhaka’ means ‘stop-breathing’. And based on these three functions, ‘Prāṇāyāma’ is also divided into ‘Pūraka-Prāṇāyāma’, ‘Recaka-Prāṇāyāma’, and ‘Kumbhaka-Prāṇāyāma’. However, as can be seen in terms such ‘Antaḥ-Kumbhaka’, ‘Bāhya-Pūraka’, ‘Bahiḥ-Kumbhaka’... Pūraka, Recaka and Kumbhaka were subdivided into according to their action. But, It was not clear whether these terms were neologisms or were actually used in sanskrit text, and there meaning was also unclear.
    In this respect, the noteworthy text is Raghuvīra's Kumbhakapaddhatī which explains Pūraka, Recaka and Kumbhaka in nine categories in terms of ‘Bāhya’, ‘Bāhyābhyantara’, and ‘Antara’.
    Acconding to Kumbhakapaddhati, the detailed action of Pūraka, Recaka, and Kumbhaka are as follows.
    Detailed Definition and Action of Pūraka, Recaka, and Kumbhaka ( Viśeṣalakṣana----- Action ) 1. Pūraka Ⓟ1 Bāhya-Pūraka-----Inhaling through the nose Ⓟ2 Bāhyābhyantara-Pūraka----- Filling vāyu from the nose to lungs Ⓟ3 Antara-Pūraka -----Filling vāyu from lungs to Suṣumṇā . 2. Recaka Ⓡ1 Antara-Recaka -----Vāyu comes out of Suṣumṇā and goes to the lungs Ⓡ2 Bāhyābhyantara-Recaka -----Vāyu goes from lungs to nose Ⓡ3 Bāhya-Recaka----- Vāyu goes 12 aṅgula-s out of nose 3. Kumbhaka Ⓚ1 Antaḥ-Kumbhaka----- Vāyu stays in the Suṣumṇā Ⓚ2 Bāhyābhyantara-Kumbhaka-----Vāyu stays in the lungs Ⓚ3 Bahiḥ-Kumbhaka----- Vāyu stays 12 aṅgula-s outside the body . According to this chart, Pūraka→Kumbhaka→Recaka movements are arranged as follows.
    Classification of Pūraka, Kumbhaka, Recaka Action Ⓟ1 Bāhya-Pūraka Inhale the Vāyu that was 12 aṅgula-s outside the body through the nose ↓ Ⓟ2 Bāhyābhyantara- Pūraka Vāyu enters the lungs Ⓚ1 Bāhyābhyantara- Kumbhaka Vāyu stays in the lungs ↓ Ⓟ3 Antara-Pūraka Vāyu enters the Suṣumṇā ↓ Ⓚ2 Antaḥ-Kumbhaka Vāyu stays in the Suṣumṇā ↓ Ⓡ1 Antara-Recaka Vāyu gets out of Suṣumṇā ↓ Ⓡ2 Bāhyābhyantara- Recaka Vāyu goes from the lungs to nose ↓ Ⓡ3 Bāhya-Recaka Vāyu goes out 12 aṅgula-s from nose ↓ Ⓚ3 Bahiḥ- Kumbhaka Vāyu stays 12 aṅgula-s outside the body * Ⓟ1 : Sāmanyalakṣaṇa of Pūraka * Ⓡ3 : Sāmanyalakṣaṇa of Recaka * Ⓚ1 : Sāmanyalakṣaṇa of Kumbhak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