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다매체 환경과 문학의 새로운 유통 양상 - 바이럴(Viral) 문학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The Digital Multimedia Environment and a New Distribution Pattern of Literature: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Viral Literatur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7.09
21P 미리보기
디지털 다매체 환경과 문학의 새로운 유통 양상 - 바이럴(Viral) 문학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46호 / 153 ~ 173페이지
    · 저자명 : 이지원

    초록

    본 논문은 개인 미디어와 소셜네트워크의 확산으로 대변되는 디지털 매체 환경속에서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문학의 향유 방식과 유통 방식의 특성을 살펴보고그 과정에서 나타난 전통적 문학 유통 구조의 균열 양상과 그 의의를 검토해 보고자한다. 급변하는 디지털 다매체 환경은 ‘실시간 연결된 미디어 생태계’로서 새로운플랫폼과 네트워크를 통해 독자들의 문학 소비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소비 방식의 변화에 의해 새로운 문학 유통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변화들 가운데 특히 개인 미디어로 무장한 독자들에 의해 능동적 문학 소비 형태로서나타나고 있는 바이럴(Viral) 현상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한 명의 수용자가 콘텐츠를 공유하고 다른 수용자를 불러들여 스스로 네트워크를 만들고 확장해 가는 ‘바이럴루프(Viral Loop)’ 개념을 통해 독자의 능동적 참여와 네트워크로 이루어지고 있는새로운 문학 유통 양상을 진단해 보고, 이를 바이럴 문학으로 정의하여 향후 디지털공간에서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실시간 즉각적 참여, 공급자와수용자간의 쌍방향 소통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매체 환경은 수평적 문학 유통의장을 열고 있으며 독자에게 수동적 수용자를 넘어 능동적 생산자이자 비평가, 더나아가 배급자가 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독자와 작가간의 수직적 위계가 허물어지고 문학 텍스트에 대한 능동적 향유와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이런 변화의 양상들을 통해, 본 논문은 수용자들 스스로 생산자가 되는 문학과 독자의 새로운 관계맺기 가능성을 제시한다. 결국 디지털 미디어가 형성한 소셜웹의 공간에서 대중적공감이라는 가치로 연대된 독자들은 자신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문학 콘텐츠를 향유하고 확산시킬 것이며, 독자 주도의 문학 소비를 더욱 활발하게 이끌어 낼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독자들은 스스로 문학적 각성효과를 만들어 내며 문학의수동적 소비자가 아닌 능동적 생산자로 진화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a new enjoyment method and distribution method of literature which appear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represented by the spread of individual media and social network and investigating the rift in and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distribution structure of literature which was found in the course of the examinatio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multimedia environment, as a real-time connected media ecosystem, is changing readers’ way of consuming literature through a new platform and network, and these changes in the way of consumption are causing the development of a new distribution pattern of literature. Among the changes above, this study tried to particularly focus on the viral phenomenon, which is being presented as an active way of consuming literature by readers armed with individual media. Through the concept of viral loop, in which one consumer shares contents and calls in another consumer, creating and expanding a network for himself, this study examined a new distribution pattern of literature being carried out by readers’ active participation and network and named the literature being distributed in such way viral literature, thereby seeking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in the digital space in the future.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real-time immediate participation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 supplier and a consumer, opens a place for horizontal literature distribution and provides readers the opportunity to become more than a passive consumer and to become an active producer, critic and distributor. Through changes such as the collapse of the vertical hierarchy between readers and authors and vigorous active enjoyment and sharing of literature texts,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n opportunity of form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readers in which consumers themselves become producers. After all, in the space of social web formed by the digital media, readers united under the value of public empathy will enjoy and spread literature contents through their network and elicit more vigorous literature consumption led by readers. Furthermore, through this process readers will generate literary awakening effects for themselves, evolving into active producers of literature, not passive consum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