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칭(誤稱)된 그림 제목의 위력: 양해(梁楷) 필 〈이백행음도(李白行吟圖)〉 재고(再考) (The Power of a Misleading Title: Revisiting Li Bai Chanting a Poem by Liang Kai)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1.11
22P 미리보기
오칭(誤稱)된 그림 제목의 위력: 양해(梁楷) 필 〈이백행음도(李白行吟圖)〉 재고(再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28호 / 210 ~ 231페이지
    · 저자명 : 장진성

    초록

    현재 토쿄국립박물관(東京國立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는 양해(梁楷, 13세기 초에 활동)의 〈이백행음도(李白行吟圖)〉는 시를 읊으며 천천히 걸어가는 이백(李 白, 701-762)을 감필체(減筆體)로 그린 작품이다. 〈이백행음도〉는 현존하는 양해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그림이다. 그런데 〈이백행음도〉의 주제가 과연 무엇인지는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 본래 〈이백행음도〉에는 그림 제목이 적혀 있지 않다. 중국의 회화 작품 대부분에는 제목이 쓰여 있지 않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개별 그림의 제목은 모두 후대에 편의적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백행음도〉도 마찬가지로 후대에 붙여진 그림 제목이다. 현재 남아 있는 이백을 주제로 한 대부분의 작품들은 술을 마시고 있는 또는 술에 취한 이백을 그린 그림들이다. 이백을 주제로 한 그림의 화제(畵題) 중 술에 취한 상태에서 시를 읊는 모습인 ‘취음(醉吟)’, 즉 ‘이백취음(李白醉吟)’은 존재한다. 그러나 ‘이백행음(李白行吟)’은 존재하지 않는다. 토쿄국립박물관에는 에도시대(江戶時代, 1615-1868)에 카노파(狩野派) 화가가 임모(臨摹)한 〈양해이백행음도모본(梁楷李白行吟圖模本)〉과 〈양해동방삭도모본(梁楷東方朔圖模本)〉이 소장되어 있다. 이 두 그림은 본래 대폭(對幅)으로 한 세트를 이루었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동방삭(東方朔, 기원전 154-93)의 상대가 되는 인물은 이백이었을까? 동방삭과 이백은 역사적으로 아무런 연관이 없다. 동방삭은 굴원(屈原, 대략 기원전 343년경-277년경)의 추종자였다. 그는 굴원과 마찬가지로 충직(忠直)한 관료로 서한(西漢)의 무제(武帝, 재위 기원전 141–87)에게 조정의 시책에 대해 간언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는 정치적으로 불우했던 인물이다. 동방삭은 『초사(楚辭)』에 들어 있는 시인 「칠간(七諫)」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칠간」은 굴원의 『이소(離騷)』를 모델로 한 시이다. 굴원은 ‘물가를 거닐면서 읊조리는(行吟澤畔)’ 인물로 그림과 판화에 주로 그려졌다. 따라서 〈이백행음도〉에 그려진 인물은 이백이라기보다는 굴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영어초록

    Li Bai Chanting a Poem by Liang Kai (active early 13th century) in the Tokyo National Museum is an imaginary portrait of the eminent poet Li Bai (701-706) walking with head raised and reciting. Simple and abbreviated brushwork is employed to portray the poet. The drawing is extremely simplified. Li Bai Chanting a Poem is his best known work. But, the identity of the figure in the painting has not yet been fully scrutinized. The painting has no original title. Thu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figure in the painting is Li Bai. The title of the painting was given later, most probably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Most of the extant paintings portraying Li Bai show him drinking wine or being heavily drunken. Li Bai Chanting a Poem and Dongfang Shuo, a set of two hanging scrolls, currently in the Tokyo National Museum, are Edo-period (1615-1868) close copies of the originals by Liang Kai. They are known to have been created by an unidentified painter of the Kano school.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i Bai and Dongfang Shuo (154-93 BCE)? There is no clue to illuminating their relationship. Dongfang Shuo was an admirer of Qu Yuan (approximately 343 BCE-approximately 277 BCE), a Chinese poet and politician in the state of Chu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475-221 BCE). Passionately concerned with the fate of his state, he argued for an alliance with Qi. He was slandered by rivals and banished to the Miluo River region, where he wandered about in great distress of mind through mountains, plains, and marshes and finally drowned himself. Like Qu, Dongfang Shuo was an unsuccessful politician. He periodically offered admonitions to the emperor Wu (r. 141-87 BCE) of the Western Han dynasty. But they were never accepted. He is credited with a poem in the Chuci (Songs of Chu or Songs of the South) titled “Qijian (Seven Admonitions)” that is modeled on the long poem “Lisao (Encountering Sorrow)” by Qu Yuan. Qu is often depicted as a solitary man strolling by a marshy bank in paintings and woodblock print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figure in Li Bai Chanting a Poem is not Li Bai but Qu Yu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