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취학아동의 1일 활동량, 활동계수 평가 및 유아보육시설의 실외놀이 실태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Activity Coefficient of Preschool Children and Actual Condition of Daycare Center Outdoor Pla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09.12
12P 미리보기
미취학아동의 1일 활동량, 활동계수 평가 및 유아보육시설의 실외놀이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4권 / 6호 / 777 ~ 788페이지
    · 저자명 : 김재희, 김은경

    초록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시에 소재한 K 어린이집 미취학아동 42명(남아 17명, 여아 25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신장, 체중, 상완위, 삼두근의 피하지방두께) 및 체성분 측정을통하여 이들의 비만도와 신체조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평일(수요일)과 휴일(일요일), 총 2일간 어린이집 담임교사와 부모가 직접 관찰을 통하여 아동의 활동 내용과 시간을 기록하였다. 기록된 활동일기를 토대로 미취학아동의 활동계수를산출하였으며, 미취학아동의 실외놀이 소요시간 및 활동 강도를 평가해 보았다. 아울러 강릉 및 인근지역의 유아교육기관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실태를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 아동의 평균 연령은 5.0세였으며 평균 신장 및 체중은 각각 108.9 cm와 18.9 kg이었고, 비만도는100.8%이었다. 또한 이들의 평균 체지방량은 17.7%, 근육량은 26.8%로 나타났다.
    2. 일본인 영양소요량 5차 자료의 18단계 활동분류표를토대로 본 연구 대상자의 생활시간을 살펴보면, 평일의 경우‘매우 가벼운 활동’에 소비된 시간은 1269.7분으로 하루 중88.1%를 차지하였고 ‘가벼운 활동’에 소비된 시간은 163분으로 11.3%인 반면 ‘보통 활동’ 및 ‘강한 활동’은 각각 0.4%, 0.2%를 차지하였다. 휴일의 경우에는 ‘매우 가벼운 활동’에소비된 시간은 1300분으로 90.3%를 차지하였고, ‘가벼운활동’에 소비된 시간은 131분으로 9.1%, ‘보통 활동’ 및‘강한 활동’은 각각 0.3%를 차지하였다.
    3. 활동일기를 토대로 계산된 본 연구 대상아동의 활동계수는 평일과 휴일에 각각 1.34와 1.33으로 유의한 차이가없었다. 성별에 따른 활동계수는 여아의 평일과 휴일의 활동계수는 각각 1.32, 1.31, 남아의 활동계수는 평일과 휴일 각각 1.35, 1.36으로 나타났다.
    4. 연구대상 아동의 실외놀이 시 신체활동량 분석결과 어린이집에서의 실외놀이 평균 강도는 ‘가벼운 활동’에 해당하는 6.4정도에 해당되었으며, 1회당 소요시간은 28분으로 미취학아동의 평일 어린이집 생활시간의 5.8%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87.7% 의 교육기관에서 실외놀이 공간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95.2% 는 실외놀이 공간이 '마당'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실시빈도는 ‘주 3~4회’ (38%), ‘주 1~2회’(30%), ‘매일’(30%), ‘2주 1회’ (2%)의 순이었으며, 1회 소요시간은 ‘21~30분’(64%), ‘31~40분’(18%), ‘10~20분'(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41~50분’, ‘51분 이상’은 각각 6%, 4%로 나타났다. 반면바람직한 실외놀이 실시빈도에 대한 교사 인식은 ‘매일’ (48%), ‘주 3~4회’(46%), ‘주 1~2회’(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요시간은 ‘21~30분’(48%), ‘31~40분’ (26%), ‘41~50분’(12%)의 순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기대하는 실외놀이 실시 빈도와 소요시간은 실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아동은 여러 가지 성장발달 과업을 지닌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부족한 실정이다. 아동의 신체활동도가 비만의 중요한 요인이고 이 시기의 성장발달은 일생을 통한 성장발달및 질병이환율에 영향을 끼치므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위한 비만의 예방 및 치료 시에는 식사요법과 함께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생활습관의 훈련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실외놀이는 이 시기의 아동들에게 신체적 발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더불어 개방된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감 및 사회성 발달 등을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적 활동이 포함되어 있는 실외놀이 시간의 증가가 미취학아동에게 미치는 바람직한 효과에 대해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 실외놀이 공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 방안의 토대위에 원장, 부모, 행정가의 실외놀이 활동에 대한 새로운인식과 관심이 요구된다. 더불어 가정에서는 부모에 의해서신체 활동량 증가를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며,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지도교사에 의한 신체 활동량의 의도적인 증가를 위한 계획적 실천 및 다양한 실외놀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적용 등이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hysical activities and activity coefficient of preschool children and was to give some concrete information to activate outdoor play and to probe the suggestions to activate outdoor play. 42 preschool children (17 boys and 25 girls) were included. Body weight and height were measured and one-day activity diaries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with their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during outdoor play, this study was researched the current conditions and content of outdoor play activity in daycare cent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at outdoor play.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5.0 years. Average height, weight, body fat and body muscle of subjects were 108.9 cm, 18.9 kg, 17.7% and 26.8%, respectively. The subjects spent about 10 hours 39 minutes sleeping; 4 hours 16 minutes personal hygiene and computer working. They spent 88.2% of 24 hours (one day) in “very light activities” and 11.3% in “light activities”. Activity coefficient (1.34) of weekda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eekend (1.21). An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of daycare centers (87.7%) have outdoor play space, 95.2% of them were garden.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have a outdoor play frequency everyday (48%), three or four times (46%) in a week but they have three or four times (38%), one or two times (30%) because of various indoor program. Also, they recognized that have a outdoor play expending time 21- 30 minutes (48%), 31-40 minutes (26%) but they have 21-30 minutes (64%). They answered that have frequency and expending time less than their recognition of outdoor play. Most of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ived outdoor play to be as important as indoor play, and the teachers believed outdoor play supports children's physical, cognitive, social, and languag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utilize as a basic data for estimate physical activity for preschool children and developed that exercise program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of daycare center outdoor pla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6) : 777~788, 200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