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귀금속 제품의 함유량 표준화를 위한 성분 분석과 실태파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state and Component analysis for the Components Standardization of Precious Metal Product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8.04
12P 미리보기
귀금속 제품의 함유량 표준화를 위한 성분 분석과 실태파악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9권 / 2호 / 437 ~ 448페이지
    · 저자명 : 임철민, 홍찬석, 한인옥

    초록

    과거, 귀금속은 희귀 금속에 대한 동경과 재화의 상징으로 여겨졌지만, 현대 시대에 이르러 제품의 미적 즐거움과가치 그리고 실용성까지 고려한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귀금속 주얼리 산업에서의 함량 미달 제품의생산과 음성적 유통의 관행은 국내 소비자 및 외국인 관광객의 불신을 야기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주얼리 산업의시장이 위축되는 위기 상황에 처해있다. 본 연구는 귀금속 주얼리 제품의 함유량에 대한 제도의 정립을 통해 한국귀금속 산업의 지속적인 안정과 소비자들의 신뢰 회복을 목표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로 하여금 양질의 제품 생산을 독려함과 동시에 한국 귀금속 주얼리 제품의 표준 함유량 정립에 기틀을 다지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통 중인 주얼리 상품을 대상으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4종의은 식기 모두 표기된 함량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브랜드제품 3종의 정량분석 결과 반지와 귀걸이, 펜던트의 경우 장식부분의 함량 우수하였으나 일부 브랜드의 귀걸이 침, 펜던트 체인의 부속품에 함량 미달이 분석되었다.
    이것은 부품을 외주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되며 개선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9종의 브랜드 제품은 2개사의 부속 부위에서 기준함량에 미치지 않았으며, 37종의 일반 은제품에서 17개 제품만이 기준함량에 충족하였다. 그러나 나머지 절반 이상의 제품이 함량에 미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함유량 미달 주얼리 제품에 대한 인식과 제도개선을 위한 관련인 대상의 설문을 실시한 결과 피험자의 다수가 주얼리 제품의 함유량에 대한신뢰를 하지 않으며, 함유량 미달 주얼리 제품의 유통이 근절되지 않는 이유는 함유량 표준화 제도의 미비와 음성적거래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주얼리 제품의 함유량 미달 제품의 유통에 가장 영향을 받는 대상은 소비자이며 유통의근원 또한 소비자라고 조사되었다. 함유량 표준화 정립을 통해 예상되는 가장 큰 변화는 소비자 만족을 가장 크게기대하고 있으며, 관련인 및 소비자 인식의 변화와 적극적인 제도 개선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어초록

    In the past, precious metals have been regarded as a symbol of longing and commodity for raremetals, but in the modern age, diversity has been demanded considering the aestheticenjoyment, value and practicality of the product. However, the current production and negativedistribution practices in the precious metal jewelery industry are causing distrust of domesticconsumers and foreign tourists, and the market of the jewelry industry is in a crisis. The purposeof this study is to stabilize the precious metal industry and restore the trust of consumers throughestablishing the system for the content of precious metal jewelry products. The results of thisstudy also suggest that related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should encourage the productionof high-quality products, while at the same time laying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standard content of Korean precious metal jewelry products. Therefore, quantitative analysis ofjewelry products currently in circulatio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analyzedthat all four silverware meets the indicated cont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ree brandproducts showed that the ring, earring and pendant had a good decorative effect, but some ofthem were not satisfied with the earrings and pendant chain accessories of some brands. This isbecause the parts we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outsourcing and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improve. Nine branded products did not meet the standard content in the parts of the twocompanies, and only 17 products in 37 kinds of general products met the standard contents.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 products were analyzed to be below the content. As a result ofquestionnaires of related persons to improve recognition and system of jewelry products, many ofthe subjects do not trust the contents of jewelry products. It was judged that the reason why thedistribution of the undercounted jewelry products is not eradicated is the inadequacy of thecontent standardization system and the negative transaction. Also, it was surveyed thatconsumers are the most influential consumers in the distribution of jewelry products andconsumers are the origin of distribution. The biggest change expected from standardization ofcontent is expected to be the highest consumer satisfaction, and it is expected that changes inrelated people and consumers' perceptions and active system improvement are exp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