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중국에서 미신의 비판과 옹호 — 량치차오와 루쉰을 중심으로 — (The Criticism and Utilization of Superstition in Modern China —The Differing Approaches of Liang Qi-chao and Lu Xu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2.12
32P 미리보기
근대 중국에서 미신의 비판과 옹호 — 량치차오와 루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10호 / 265 ~ 296페이지
    · 저자명 : 강중기

    초록

    이 글에서는 량치차오(梁啓超, 1873∼1929)와 루쉰(魯迅, 1881∼1936)을 중심으로 미신 내지 종교라는 표면상 동일한 개념이 각자의 문제의식과 사상적 지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서구 근대와 구별되는 중국적 근대 기획의 일단을 엿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량치차오와 루쉰의 경우 미신 내지 종교가 때로는 비판하고 때로는 옹호하며, 나아가 적극적으로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여 주는 양상을 살펴보고, 거기에 담겨 있는 문제의식과 사상적 지향점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량치차오는 서구 근대 계몽사조의 영향으로 미신·종교에 대해 비판하지만,다른 한편으로 종교·미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기도 했다. 량치차오는 미신·종교가 사회 통합 능력을 발휘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절제하게 하며특히 불교의 업보설이 자기제어와 절제의 면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고 보았다. 또한 불교는 인간을 절대자에 비해 유한하고 왜소한 존재로 설정하는다른 종교와 달리 깨달음을 통해 교주와 평등한 지혜에 도달하게 한다고 보았다. 참된 믿음에서 유래하는 진실성·진정성은 사람과 사물을 움직이는 힘이 있어 위대한 사업을 이룰 수 있게 하고, 나아가 불교에서 말하는 보살심·보살행은 국가에 대한 헌신, 애국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량치차오는 근대 국민국가의 건설과 국민의 양성에 종교·미신, 특히 불교를 활용하고자 했다.
    루쉰은 마을제사에서 볼 수 있듯이 미신이 인간사회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루쉰에 따르면, 미신은 ‘신사(神思)’의 산물인데, 이 ‘신사’는 삼라만상의 신비에 감응하여 경외나 불가사의를 느낄 수 있는 감수성으로 예술 창조의 원동력이며, ‘물질생활에 안주하지 않고향상을 추구하는’ 형이상학적 욕구와 더불어 종교를 낳은 심적 기반이다. 또한 ‘신사’는 과학지식 건립에 필수적인 가설을 세우는 데 필요한 상상력이라는 측면에서 과학 발전의 주요 기제이기도 하다. 루쉰은 물질적 이해에 골몰하는 공리주의나 도구적 이성의 과도한 팽창에 따른 과학만능주의에 매몰되지 않는 근대적 주체를 정립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자기정체성을 갖추고예술적 감수성과 형이상학적 욕구를 구비하며 과학 발전에도 주요한 기제가되는 풍부한 상상력을 갖춘 인간상을 구축하려는 목적 아래 미신을 적극 옹호하였다.
    량치차오와 루쉰이 미신 내지 종교를 활용하여 추구하는 목적은 달랐지만,미신을 일방적으로 비판하거나 배척하지 않은 점에서는 다르지 않았다. 여기서 우리는 근대 중국에서 다층적인 의미를 지닌 개념을 각자의 문제의식에따라 선택적으로 전유해 내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는 서구의 근대와 구별되는 또 다른 근대의 기획이 함축되어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rious modernization projects which gave rise to modern China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attitudes to superstition(and thus to religion) of Liang Qi-chao(梁啓超) and Lu Xun(魯迅).
    Liang Qi-chao was critical of superstition and religion at the initial stages of modernization, but intended to make use of them subsequently. He believed that they hinder the determination of truth and the progress of learning, but intended ultimately to utilize superstition and religion to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and to develop moderation(in the sense of self-control). In particular, Liang was interested in the role that Buddhism might play as an effective means to cultivate moderation and self-control.
    Liang’s view was that Buddhism could be helpful in realizing a modern nation, because, by emphasizing that every human being is capable of acquiring wisdom equal to that of the Buddhist saints(Bodhisattvas), it inspires devotion to the state and encourages a patriotic spirit.
    In contrast, Lu Xun rejected criticisms of superstition, considering that superstition performs an invaluable role in human society, as can be seen from communal ceremonies. According to Lu, superstition is a product of Shen-Si (神思), which is the sensibility to feel awe and wonder in response to the mysteries of nature. He felt that this sensibility is the driving force of the creative arts; and that it also provides the psychological foundation,along with metaphysical desire, for the birth of religion. He also believed Shen-Si (神思) to be essential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because it is a sort of imaginative power which is needed for the formulation of the hypotheses required by science.
    Liang Qi-chao sought to criticize, and ultimately to utilize, superstition (and religion) in order to establish and develop a modern nation-state,whereas Lu Xun focused on the cultivation of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for which he sought to protect superstition. From this study, we can confirm that people tend to appropriate the same concept in different ways,according to their own particular questions and motiv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념과 소통”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