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이징의 상방촌을 기록/기억하기 – 자오량의 다큐멘터리 <상방>(2009)을 중심으로 (To Record/Remember the Petition Village in Beijing: Focusing on Zhao Liang’s Petition(2009))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9.10
26P 미리보기
베이징의 상방촌을 기록/기억하기 – 자오량의 다큐멘터리 &lt;상방&gt;(2009)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도시인문학연구 / 11권 / 2호 / 47 ~ 72페이지
    · 저자명 : 김정구

    초록

    중국의 베이징에는 ‘상방촌’이라고 불리는 마을이 있다. 중국의 지방에서 억울한 사연을 안고 중국 중앙정부에 청원을 위해 몰려든 사람들이 함께 사는 임시거주지이다. 그들은 지방에서 해결하지 못한 억울한 사연을 해결하기 위해 베이징에 왔지만,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그곳에 정착하여 오랜 시간 마을을 이루고 살고 있다. 그들의 모습은 정부의 외면과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주류 매체에서 거의 다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들의 존재는 중국 독립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간헐적으로 소개되고 논의될 뿐이다. 1990년대 이후 출현한 중국의 신다큐멘터리는 중국의 경제발전과 도시화에서 소외된 사람들을 영상으로 기록하고 그들의 문제에 개입한다. 일종의 사회운동으로 중국 다큐멘터리는 보이지 않는 도시의 그늘을 카메라로 비추고 그들과 함께한다. 중국의 다큐멘터리 감독 자오량의 <상방>(2009)은 1996년부터 베이징 올림픽이 열렸던 2008년까지 12년의 시간에 걸쳐 그들의 이야기를 카메라에 담아낸다. 중국 정부는 그들을 성가신 존재로 취급했고, 관방의 매체에서는 철저하게 외면했지만 자오량은 자신의 방식으로 그들을 목격하고 기록했다. 관방에서 재현되지 않는 그들의 이야기는 쓰여 지지 않았을 역사였지만, 다큐멘터리 <상방>은 그들을 오롯이 기록하고 기억한다. 동시대 중국의 다큐멘터리는 정부의 간섭과 검열 속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고 기록하면서 대안적 역사서술로서 기능하고 있다. <상방>은 관찰자의 시선에서 참여적 시선으로, 그리고 다시 성찰적 시선으로 그들을 바라본다. 이러한 자오량의 태도 변화는 그들에 대한 이해의 변화 뿐 아니라 다큐멘터리의 재현이 본질적으로 수반하는 윤리의 문제를 함의한다. 이 글은 자오량의 <상방>을 통해 이 영화가 어떻게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을 가시화하고 들리지 않는 이야기를 들릴 수 있게 만드는지를 살펴보고, 동시대 중국 다큐멘터리가 수행하는 기록과 기억의 역할을 통해 대안적 역사서술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re is a village called “Petition village” in Beijing, where people live together who have moved to the city to petition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since they could not solve their problems in their local areas. Although they had arrived in Beijing with their unsolved cases, they have come to settle down there for very long time. Their existence has been hardly known because it is rarely dealt with in the Chinese mainstream media under the ignorance of the government and the indifference of people. They have been introduced intermittently only in Chinese independent documentaries. China’s New documentary, which has emerged since the 1990s, has recorded and intervened in people who were marginalized from the Chinese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As a sort of social movement, China’s New documentary has illuminated the shadows of the city with its camera. A Chinese documentary filmmaker Zhao Liang’s Petition(2009) made a picture of them for almost 12 years from 1996 to 2008. Although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mainstream media ignored them, Zhao Liang witnessed and recorded them in his own way. Their stories, which were not represented in the governmental media, were a history that might not have been written, but the documentary Petition records and remembers them. Contemporary Chinese documentaries function as alternative historiography, listening to and recording the voices of the marginalized under the interference and censorship of the Chinese government. Petition looks at them from the observational mode to participatory mode, then to reflexive mode. Such a shift of Zhao Liang’s attitude implies at once the shift of understanding of them and the ethical problem which documentary’s representation entails. Scrutinizing Peti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this documentary makes the invisible visible and the voiceless audible, and als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historiography in a way that contemporary Chinese documentary films record and rememb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