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차이밍량 영화의 공간: 밤의 체제가 떠도는 미궁(迷宮) (The Spaces of Tsai Ming Lyang’s Films: Régime Nocturne Floating around Maz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8.06
29P 미리보기
차이밍량 영화의 공간: 밤의 체제가 떠도는 미궁(迷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74권 / 89 ~ 117페이지
    · 저자명 : 김소영

    초록

    영화의 공간이란, 비록 그것이 상상의 공간일지라도, 그 곳에 존재하는 인물과 함께 고유한 의미와 기능을 갖는다. 대만의 뉴웨이브를 잇는 영화감독인 차이밍량(蔡明亮, Tsai Ming Lyang)의 작품에서도 이러한 인물과 공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찾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차이밍량 영화 속 인물의 행위와 공간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의 낮의 체제(Régime Duirne)와 밤의 체제(Régime Nocturne)을 차용한다. 뒤랑이 인간 중심의 인문학을 성립시키려고 노력했듯, 낮의 체제와 밤의 체제는 인간 본성, 즉 원형의 두 측면을 포괄한다. 특히 그의 초·중기와 최근 작품인 <애정만세(Vive L'Amour, 愛情萬歲, 1994)>, <홀로 잠들고 싶지 않아(I Don't Want to Sleep Alone, 黑眼圈, 2006)>, <행자(Walker, 行者, 2012)>는 낮의 체제에서 밤의 체제로 이행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상술하자면 낮의 체제에 해당하는 분열형태적 구조의 공간인 빌딩숲과 집을 지나, 밤의 체제에 해당하는 신비적 구조의 공간인 매트리스 위를 거친 뒤, 종합적 구조의 특성을 보이는 일상의 거리라는 비일상적 미궁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종합적 구조를 통해 이분법적 구분의 한계를 보완해주는 뒤랑의 이론은 비주류 영화의 주제를 단순히 퀴어 영화 담론으로 풀어내는 것이 아니라, 창작자로서 더 높은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감독의 의도를 이해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더불어 이후 유사한 영화의 해석에 있어, 단순히 소수자 연구가 지닌 범주로부터의 확장을 이행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목할 내용은 세 작품에 내재된 공통된 사유인 인간 존재의 고독은 타자 없이는 존립할 수 없는 인간의 나약함을 비일상적 일상의 공간으로 묘사했다는 점이다. 그러하기에 우리는 그의 영화 속 인물로부터 소수자 혹은 타자가 아닌 나를 발견하며, 나아가 인류의 존재론적 운명에 관한 철학적 메시지를 읽게 된다. 이는 차이밍량 영화에 나타나는 탈장르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을 계속 주목하는 이유다.

    영어초록

    The spaces of films, although it is imaginary space, have a special meaning with characters. Tsai Ming Lyang, who is descended from Taiwan New Wave, represents very clos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and spaces in his films. This study explores the spaces images in his works based on Gilbert Durand’s theory which is composed of Régime Duirne and Régime Nocturne. As Durand tried to perform the humanities centralized with human, two things include human basic instinct, in other words, archetype. The three films of his early, middle, and recent period among his all works, Vive L'Amour (1994), I Don't Want to Sleep Alone (2006), Walker (2012) show the movement from Régime Duirne to Régime Nocturne gradually. To be more particular, Vive L'Amour deals with buidlings and houses relating to the spaces of schizomorphes. After we can see mystiques in mattress and then synthétiques daily street as non everyday myth. This analytic tool that overcomes the limit of binary analysis explains not queer cinema but message of director. Also when we understand similar genre, this way can extend the area of minority studies. The thing is that three films represent human being’s weakness who cannot exist without the others using daily spaces. So we are able to find out not minority or others but ourselves from characters and read philosophical messages about human destiny. This is the main reason why we focus on his works in spite of trans-media characteristics in his current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