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융합예비량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of Fusional Vergence Reserve Amount Using Digital Camer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7.12
12P 미리보기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융합예비량 측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시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시과학회지 / 19권 / 4호 / 411 ~ 422페이지
    · 저자명 : 최민규, 고경호, 전인철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프리즘이 가해짐에 따라 변화된 눈의 영상을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융합예비량을 타각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조사하여 기존 자각식 측정법과의 유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세 이상 교정시력 1.0 이상인 남녀 30명(평균연령 23.77±1.52세)을 대상으로 원거리(3m) 및 근거리(40cm)에서 프리즘 바를 이용한 스텝버전스법으로 음성융합버전스와 양성융합버전스를 각각 3회 측정하였다. 그리고 캐논 6D DSLR 카메라와 100mm macro 렌즈를 사용하여 융합예비량 측정 시 프리즘 단계별로 촬영하였으며, 동시에 자각적으로 분리점, 회복점을 보고 받아 기록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리즘 단계별 사진의 동공 간 거리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고 자각적 측정값의 보고 지점과 대조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사진으로 촬영 후 측정한 동공 간 거리 변화 그래프가 음성융합버전스 측정의 경우 동공 간 거리가 일정하게 증가 또는 감소 하다가 분리점과 회복점으로 보고한 지점에서 그래프 기울기 변화가 나타났고, 양성융합버전스 측정의 경우 동공 간 거리가 일정하게 감소 또는 증가 하다가 분리점과 회복점으로 보고한 지점에서 그래프 기울기 변화가 나타났다. 기울기의 변화가 나타난 지점을 타각적 측정값으로 결정하고 자각적 측정 지점과 비교한 결과, 측정값 평균은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의 경우 타각식 12.63±5.48⊿, 자각식 11.41±3.88⊿, 회복점은 타각식 9.15±4.12⊿, 자각식 8.11±3.47⊿,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의 경우 타각식 16.74±4.01⊿, 자각식 15.93±4.66⊿, 회복점은 타각식 12.55±3.43⊿, 자각식 11.91±3.90⊿이었다.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타각식 18.52±4.84⊿, 자각식 18.58±5.73⊿, 회복점은 타각식 13.36±3.89⊿, 자각식 13.17±4.34⊿,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타각식 22.85±6.33⊿, 자각식 22.96±6.21⊿, 회복점은 타각식 17.13±4.61⊿, 자각식 17.48±5.37⊿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한 타각적 측정값과 프리즘 바를 이용한 자각적 측정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타각적 측정법이 자각식으로 검사를 할 수 없는 유아나 장애인의 융합예비량 측정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measuring the fusional vergence amount by analyzing the image of the eyes chang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prism using a digital camera an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is method with a conventional subjective measurement method.
    Methods: The subjects were 30 adults (mean age 23.77 ± 1.52 years)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1.0 or more and were measured negative fusional vergence (NFV) and positive fusional vergence (PFV) three times, respectively, using a step vergence method with a prism bar at distance and near. When measuring fusional vergence, each prism stage was photographed using a Canon 6D DSLR camera and a 100mm macro lens. At the same time, we recorded subjective break and recovery points. Finally, we measured that pupillary distance (PD) on photograph of each step of prism diopter and convert them to graph. The significance was identified by comparing subjective and objective values.
    Results: In the case of the NFV measurement, the graph showed a steady increase in the pupillary distance change measured after photographing, and a graph slope change at the point reported as the break and recovery points. In the case of PFV measurement, the PD decreased steadily, and the slope of the graph was changed at the point reported as the separation point and the recovery point. The mean value of the NFV at distance was that objective ‘12.63±5.48⊿’, subjective ‘11.41±3.88⊿’ at the break point, objective ‘9.15±4.12⊿’, subjective ‘8.11±3.47⊿’ at the recovery point. For near NFV break points were that objective ‘16.74±4.01⊿’, subjective ‘15.93±4.66⊿’ and recovery points were that objective ‘12.55±3.43⊿’, subjective ‘11.91±3.90⊿’. The break points of distance PFV were that objective ‘18.52±4.84⊿’, subjective ‘18.58±5.73⊿’ and the recovery points were that objective ‘3.36±3.89⊿’, subjective ‘13.17±4.34⊿’. The break points of near PFV were that objective ‘22.85±6.33⊿’, subjective ‘22.96±6.21⊿’ and the recovery points were that objective ‘17.13±4.61⊿’, subjective ‘17.48±5.37⊿’.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sured values between that the objective measurements using a digital camera and the subjective measurements using a prism bar. Therefore, it would be useful to measure the convergence reserve in infant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can not perform self - examinations using a digital camera. It is thought that the method of measuring fusional vergence range using a digital camera is useful for the measurement of infants and the disabled who can not be measured by subjective meth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