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노비의 속량과 생존전략 (The Sok’ryang (a lowborn becoming a commoner by paying a price) and Survival Strategy of Slav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3.06
30P 미리보기
조선후기 노비의 속량과 생존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6호 / 353 ~ 382페이지
    · 저자명 : 전경목

    초록

    노비의 도망이 상전 몰래 이루어지는 행위인데 비해 속량은 법적으로 공인된 절차를 밟아 노비에서 풀려나는 것이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조선시대는 신분사회였기 때문에 만일 신분상으로 최하층민인 노비에게 속량의 기회가 자주 주어진다면, 곧바로 신분 질서가 어지럽혀지고 신분 체계가 붕괴될 것이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에는 그 기회가 엄격히 제한되어 사족(士族)의 천첩자녀(賤妾子女)에게만 주어졌다. 그러나 조선후기에는 그 범위가 크게 확대되어 노비의 자녀도 여건만 갖추면 속량할 수 있었다. 실제로 현전하는 고문서를 살펴보면 이러한 사례를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선후기에 노비 속량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었던 원인이나 배경 중에는 노비의 신분해방에 대한 열망과 그들의 재산 집적이 크게 작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전들이 그들을 풀어주려는 의사가 있어야 했다. 사족들은 대부분 후손에게 노비를 물려주면서 대대로 보전을 잘하여 길이 부려먹도록 유언하였기 때문에 후손들은 노비 해방을 주저할 수 밖에 없었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노비의 매매가와 속량가가 크게 달랐다. 속량가가 매매가보다 두세 배 비쌌다. 그러자 노비들은 생존전략으로 가짜 주인을 내세워 실제로는 속량을 하면서 겉으로는 매매하는 것처럼 위장하였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서 상전들도 이들의 전략을 알아채었으나 그렇다고 해서 이를 저지할 처지가 되지 못했다. 노비를 방매할 수 밖에 없는 상전들의 사회경제적 처지가 그만큼 열악했기 때문이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바로 이와 같이 조선후기의 지방사회에서 이루어진 속량의 실상을 고문서를 통하여 밝히려는데 있다.

    영어초록

    While the escape is a secret action of a slave from his owner, Sok’ryang is an official liberation through legally approved process. As widely known, Chosun was a feudal society. Therefore, if permission of Sok’ryang, which was an opportunity of the ascent of status given to the lowest social class, had been allowed, it would have disturbed the social structure and order, resulting in the collapse of the social status system. Therefore, the authorization was strictly limited during the early Chosun. It was only allowed to the sons and daughters of a concubine of low birth to a classical scholar. However, the system expanded widely in the late Chosun and thus the children of a slave could be subject to Sok’ryang as long as they were qualified.
    Those cases are actually found in the existing old literatures.
    The causes or reasons for the easier permission of Sok’ryang during the late Chosun were much influenced by the aspiration of the slaves for the emancipation of social status and their accumulation of wealth. Besides it, there must have been a clear intention of their owners to liberate the slaves. Since most of classical scholars bequeathed slaves to their sons and daughters or left a will to keep them for hard works, the gap between the selling price and Sok’ryang of a slave was very wide. The price of Sok’ryang was two or three times higher than the selling price. For the reason, the slaves made a surviving strategy that they nominated a fake person as their owners and had him to liberate them through Sok’ryang. Later but soon, their real owners noticed it but were not in a position to do something against it because their social and economic position had deteriorated. So they could not help but sell their sla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ctual status of Sok’ryang in the local areas of the late Chosun through old docu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