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분의극략사기(四分義極略私記)』 「행상이설문(行相異說門)」의 연구 (A study of the chapter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ākāra (行相異說門) in the brief explanation about four parts of the consciousness (四分義極略私記))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3.12
35P 미리보기
『사분의극략사기(四分義極略私記)』 「행상이설문(行相異說門)」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66호 / 79 ~ 113페이지
    · 저자명 : 박인성

    초록

    소승은 바깥 대상의 표상 곧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데 반해, 대승유식은 견분을 행상으로 본다. 견분이 대상으로 향하는 지향성을 갖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법상종의 논사들은 영상상분은 견분의 지향적 상관물이기 때문에 이를 행상으로 보기도 한다. 행상과 관련해서 견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과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이 있는 셈이다. 중산은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은 견분이 영상상분 이외에 본질에도작용한다는 것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견분이 대상을 지향할때 지향되는 대상으로서의 상분과, 본질을 대상으로 하는 상분이라는,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두 가지 해석을 통합하기 위해, 포괄적 의미와 협소한 의미라는 기준에 의거해서 『유가사지론』의 “소연은 동일하고 행상은 동일하지 않다”와 『성유식론』의 “소연은 상사하고 행상은 각각 다르다”를 분석해서 먼저 두 정의의 한계를 지적한다. 그런 다음 다섯 단계를 설정해서 각 단계마다 이 두 정의의 통합을 보여주고, 마지막단계에서 앞의 단계들을 포괄하는 궁극적 통합을 제시한다. 중산은 상분을 행상으로보는 두 해석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견분의 지향적 작용에 다시 눈을 돌려야 한다고주장한다. 새롭게 확장된 견분의 지향적 작용성격에 따라 다시 새롭게 견분의 대상성이 규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ākāra in Buddhism can be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intentionality in Phenomenology. The Yogācāra school in Mahāyāna Buddhism understands the part of the seeing [見分] or the act of the consciousness as ākāra [行相], whereas the Hināyāna schools understand the part of the seen [相分] or the representation as akara. It is because the Yogācāra school claims that the seeing has the intentionality that makes it directed toward the object. The philosophers of the Yogācāra school also understand the seen or the object as ākāra, because the part of the seen is a correlate of the part of the seeing. In addition to the object there is also the preconstituted object. That is why they need to clarify the reason they sees the object that is based on the praconstituted object as ākāra. Chyuzan (中算) integrates two interpretations of the seen as ākāra, by means of the broad sense and the narrow sense in the one hand, by means of citing and comparing the proposition in the Treatise of Yogācārabhūmi,“the object is identical and ākāra is not identical” and the proposition in Cheng wei shi lun, “the object is similar and each ākāra is different” in the other hand.
    In this way, he demonstrates successfully that the act of seeing is not only directed toward the object but also toward the preconstituted o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