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말 의료선교사 엘리 랜디스(Eli B. Landis)의 한국민속 연구와 동요 채록 (Medical Missionary Eli Barr Landis’ Studies on Korean Folklore and His Recordings of the Lyrics of Korean Children’s Songs in the Late 19th Centur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12
40P 미리보기
19세기말 의료선교사 엘리 랜디스(Eli B. Landis)의 한국민속 연구와 동요 채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39권 / 43 ~ 82페이지
    · 저자명 : 김승우

    초록

    본고는 19세기말 영국 성공회 소속의 미국인 의료 선교사 엘리 랜디스의 한국민속 관련 연구 성과들을 개관하고,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주목되는 「한국 어린이들의 노래」(Rhymes of Korean Children)(1898)의 자료적․연구사적 가치를 부각하는 데 목적을 둔다.
    탁월한 언어 학습 능력과 특유의 학구열, 그리고 한국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바탕으로 랜디스는 1895년 무렵부터 1898년 영면할 때까지 약 3년간 한국의 민속과 문학에 관해 여러 편의 글을 작성하여 발표하였다. 현상에 대한 분석과 논평을 폭넓게 섞어 가며 에세이를 작성하였던 이 시기 여느 서구인들과 달리, 랜디스는 견해를 최대한 배제한 채 자료 제시와 해제에 집중하였다는 점에서 그 방법론상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한국 어린이들의 노래」는 한국의 민속과 문학을 다룬 랜디스의 저술 가운데 거의 마지막에 나온 것으로, 랜디스는 이 무렵 고아원 운영을 시작하면서 한국 아동들과 자주 대면하였고 자연스레 유년기의 구비전승(children’s lore)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는 동요의 노랫말을 정확히 보존하기 위해 고심하였으며, 그 방안으로 제임스 스콧의 로마자표기안을 활용하여 한국어 음운을 로마자와 일대일로 대응시켜 음사하였다. 때문에 그의 채록 자료는 한국어로 무리 없이 재구될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19세기말 한국 동요의 형식과 음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작품을 영역할 때에도 랜디스는 한국 동요 본연의 특성을 최대한 되살리는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오직 가사의 뜻과 구성을 왜곡 없이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을 뿐 번역 작품 자체에 독자적인 가치를 부여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지향은 노랫말에 주석을 붙인 부분에서도 드러난다. 그는 개개 동요의 소통 방식과 함의를 다각도로 탐문하여 풀이하였으며, 한국의 문화적 특질이나 관습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설명을 전개하였다.
    이처럼 「한국 어린이들의 노래」는 랜디스의 한국학 연구가 지니는 주요 특질들을 응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초기 한국학자로서의 그의 위상을 정당하게 재평가하는 데 핵심적인 지표로써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 글은 한국시가가 19세기말~20세기초의 서구인들 사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논의되었는지 그 궤적을 보여주기도 하므로 동시기 게일, 헐버트, 스미스, 밀러 등의 소론과 견주어 볼 수 있는 상보적 자료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take a general view of the studies on Korean folklore of Eli Barr Landis, who did missionary work as a surgeon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in Korea with the foreign mission of the Anglican Church, and to examine his “Rhymes of Korean Children”(1898), which is regarded as one of his most notable writings.
    With his excellent ability to learn foreign languages, peculiar scholastic spirit, and special affection for Korea, Landis had contributed many essays dealing with Korean folklore and literature for about three years from 1895 to 1898. He just concentrated on presenting and annotating the original texts or materials exactly, which distinguishes him from other westerners who wrote on Korea with a lot of comments in the late 19th century.
    “Rhymes of Korean Children” is almost his last writing. It is presumed that Landis had more chances to meet Korean children and naturally took interest in children’s lore after starting to run an orphanage at Jemulpo area. Landis tried to record the lyrics of Korean children’s songs exactly, so he made use of James Scott’s system for the romanization of Korean language in which Korean and Roman letters match each other one to one. Therefore, Landis’ romanized lyrics are easily converted into those in Korean letters from which we can review the forms and tones of Korean children’s song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ranslating the lyrics, he also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represent the meaning of the original Korean texts; consequently, his English translations don’t have any individuality. Besides, he carefully and elaborately annotated the main words of each song with some supplementary explanations of Korean culture and customs.
    In this manner, “Rhymes of Korean Children” still has a certain level of importance for it not only indicates the features of Landis’ studies on Korean folklore, but also shows the way how Korean poetry and songs were introduced to the western world in the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