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를 통한 장애인의 문화접근권 확대가능성에 대한 연구 - 점자의 형상화 작품 <trace of time>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anded participation of the Impaired in Interactive Media Arts - Focused on , Braille Visualization Work-)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08
18P 미리보기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를 통한 장애인의 문화접근권 확대가능성에 대한 연구 - 점자의 형상화 작품 &lt;trace of time&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2권 / 3호 / 129 ~ 146페이지
    · 저자명 : 양지현, 정재식, 김규정

    초록

    접근권은 삶에 대한 모든 범위를 아우르며 광범위한 인간의 권리를 설명하는 용어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접근권에 대한 인식이 매우 미비하며, 법률상 세 가지(이동권, 시설이용권, 정보접근권)로 정의되고 있는 장애인의 접근권에 관한 연구와 문헌의 대부분은 세 가지 접근권에 치우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문화접근권의 확장으로 정보접근권, 시설이용권, 이동권의 보장이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자연스럽게 교류할 수 있는 문화의 장의 마련에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가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장애인의 문화접근권의 보장으로 비장애인에게 역차별적인 요소를 제공하지 않으며, 비장애인의 인식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공감각적인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작품의 제작과 공유는 일반적인 예술에 비해 열려있는 장르이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매체가 될 수 있다.
    기획 단계에서 시간의 흐름과 흔적을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인터넷 기사에서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숫자표기방식의 시계를 읽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연구자는 청각장애인들 역시 숫자로 표기된 시간을 당연히 인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는데, 수화로 소통하는 청각장애인들에게 숫자는 단순한 이미지에 불과했던 것이다. 현재까지 진행해 왔던 연구가 시각장애, 청각장애, 비장애인의 소통가능성이 주를 이루었기에 숫자를 나타내는 수화가 시계에 표기되어있으며, 직접적인 터치를 통해 점자 숫자를 완성하여 VFD LCD에 숫자를 시간의 형태로 표현한다. 점자나 수화의 학습적인 측면에 치우쳐 제작되지 않았으며, 관객의 참여와 흔적이 고스란히 남겨질 수 있게 하였다.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서 장애를 주제로 제작되고 논의되는 작품들의 수가 많아지고 비장애인들의 참여가 많아질수록 장애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장애인들의 접근권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아질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expanded possibilities of the impaired person's voluntary participation within cultural milieu. Owing to the interactive technologies, there are various ways of communication using various senses of human. The implication of interactive technology to art allows the impaired to be able to enjoy and participate the art work easier than before. In this regard, interactive media arts can become an effective mediator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impaired people and non-impaired people. Because this interactive media art is an open art genre, which provides synesthetic experiences beyond a traditional art method to both the impaired and non-impaired viewer with audiovisual and tactile senses, it creates a new way of communication pattern in which the impaired and the non-impaired viewer have a cultural taste equally. Also this experimental work proposes the potential usage of integrated sense elements for the disabled people as well as general viewers in media art in order to resolve the limitation of interaction with the viewer. In the level of planning, the researcher designed a clock in terms of the co-existence of time flow and trace chaser. The clock has finger language images instead of 12 time numbers on its circle plate and a VFD LCD on its center. Time flashing on the VFD LCD is controlled by 6 touch buttons consisting of 6 LEDs and sensors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ouching buttons in Braille method. This synesthetic media art, entitled <Trace of Time>, is an ongoing research project.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a communication method by the means of finger language and tactile sense using a Braille board metaphor. We could transfer this tactile information into several types of visual information, which convey various synesthetic experiences to both the impaired and non-impaired viewer. They could share in the creation of a visual and tactile experience altogether in this project. As a result, the meaning of our research leads towards a new way of digital communications. We believe that tactile signal is being suggested for a great instrument in the future of our communication. Perhaps, there is a tactile-visual ‘vocabulary’ which might be developed from the infinite possibilities that will offer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ultural share into the impaired as well as the non-impaired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미디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