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문·연구 자료의 형상화와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영상인류학’과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Visualization of the Academic Research Data & Evolution in Academic Communications: Mainly on the ‘Visual Anthropology’ & ‘Interactive Documentar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5.11
25P 미리보기
학문·연구 자료의 형상화와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영상인류학’과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27호 / 207 ~ 231페이지
    · 저자명 : 차민철, 이상훈

    초록

    ‘인류학’은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통시적․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연구하는학문으로, 연구의 대상, 범위, 방법에 따라 고고학, 민족학, 민속학, 사회인류학, 문화인류학, 인지인류학 등 다양한 하위 분과를 포괄한다. 인류학은 19세기 이후 학문적 체계화 과정을 거치면서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발전시켜왔다. 사진과 영화의 등장과 발전, 특히 동시녹음, 비디오, 디지털 장비 등 영화 촬영기술의 발전은 인류학의 연구방법론은 물론 연구결과물의 형식에 있어서 커다란변화를 가져왔다.
    한편, 학술(學術)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이론의 제시, 새로운 현상의 발견, 발명등 연구의 성과를 발표하고 공유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학술지(學術誌)를 통한것이다. 학술지의 원형적 시도는 17세기(마랭 메르센)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일차적 기능은 학문적 발견에 대한 기록과 연구자의 지적 재산권 보호이며, 연구성과의 확산과 연구결과물의 보존도 학술지의 중요한 역할이다. 1665년 최초의 학술지 발간 이후 인쇄술과 출판 산업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학술지는 지금까지도 학문적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 창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급속도로 발전해온 디지털, IT,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보급은 학문적 커뮤니케이션에 새로운 현상과 패러다임을 등장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학문 및 연구 자료의 형상화’를 영화와 인류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오랫동안 문자 매체에 의존해 왔던 학술 커뮤니케이션이 2000년대이후 새로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이자 플랫폼으로 등장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에 의해 어떤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Anthropology is a study to analyse and research all about humanity in terms of both synchrony and diachrony. It includes such diverse disciplines as archaeology, ethnology, folklore, social anthropology, cultural anthropology and cognitive anthropology, according to study objects, categories and approaches.
    The anthropology has been developing various study methodology especially since 19th century when it had processed to be systemized as a full-fledged science. Along with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photography and motion pictures, mainly the innovations in filming technology (such as real-time recording, video, digital, etc.), the anthropology faced a drastic changes in the form of the result of research as well as the approaching methods themselves.
    Meanwhile, the academic journal is the most general means to announce and share the result of a scientific research in terms of new theorization, revelation and invention. The chronological prototype of the journal might check back to the 17th century (Marin Mersenne), and the primary functions of an academic journal are to record scientific revelation and to protect researchers’ intellectual properties as well as to spread and conserve the results of researches. Owing to continuous development in printing technology and publication industry which have kept pace with the sciences since the first issue in 1665, the academic journal has held the most significant means in academic communications.
    However, a new phenomenon and paradigm have introduced in the field of academic communications in consequence of rapidly evolving digital and ICT technology since 1980s.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visualization of research or academic data’ and the ‘evolution in academic communications’, mainly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photographic and cinematic media in the field of anthropology (progressed since the 19th century) and how the academic communication, which has largely depended on text-based media for a long while, is evolving into, by means of the ‘interactive documentary’, a newly emerging trans-media contents and platform in the 2000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