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객의 자아인식 성찰을 위한 인터랙티브 디지털 미러의 구현과 의미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Its Meaning of Interactive Digital Mirror to Awaken Viewer to Self-awarenes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0.05
25P 미리보기
관객의 자아인식 성찰을 위한 인터랙티브 디지털 미러의 구현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16호 / 325 ~ 349페이지
    · 저자명 : 이주헌, 김형기

    초록

    자아를 탐구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은 오랫동안 수많은 철학자들의 주된 주제였으며, 많은 작가들에 의해 자화상이라는 작품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자신을 인식하는 도구로서 오랫동안 거울이 사용되어 왔다.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자아의 의미와 정체성을 상실하고 소외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개인화된 미디어의 확산 속에서 개인은 더욱 고립되고 소외되어 자아인식 및 정체성의 혼란을가져온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디지털 미러’를 통한 ‘인터랙티브 자화상’이라는 형식의 작품을 통해서 자아의 정체성 규명의 필요성을 느낀다.
    본 연구에서는 관객의 모습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주면서 관객의모습을 디지털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관객의 참여를 통해 표현된 영상 이미지를 통해서 관객 자신에 대한 자아인식의 문제에 천착하게 하는 몰입의 경험을 제공하는 작품을 구상하고 설치를 통해 구현하였다. 차영상을 이용하는 영상신호처리 기술을 응용하여 구성된 디지털 미러를 통해서 관객은 자아를 관찰하게 되는데, 이때에 보여지는 자신의 모습은 실제 모습이 아닌 자신의 실루엣만 남은 투명인간의 형태를 가진다. 이는 진정한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라캉의 거울이론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즉, 그동안 비디오와 스크린, 혹은 모니터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 감상하면서 그것이 실제의 자신이라고 믿었던 현대인으로 하여금 그와 같은 ‘디지털 미러’를 통해 본 자신의 모습이 자신의 실제가 아님을 인식하게 하려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관객은 물리적 거울을 보았을 때 나타나는 실제와 같은자신의 모습에 대한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받고 자신의 본질에 대한 의문을 품게된다. 또한, 화면 전체에 디지털적인 변화를 준 기존의 디지털 미러 작품들과 달리,관객이 서있는 배경은 거울과 같이 있는 그대로 비춰주고 관객의 모습만 디지털적인 처리로 투명하게 지움으로써 관객은 보다 자신의 문제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객이 작품의 중심이 되어 표현되고 관객의 모습에 작품이 변함에 따라, 관객은 작품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인터랙티비티를 경험함으로써, 인터랙티브 디지털 미러에 몰입하게 된다.

    영어초록

    For a long time, many philosophers have studied a human’s desire to investigate himself as one of main theme and many painters have left their own self-portraits to express their inner sides. Also, for human, mirror has been used as one of tools to recognise theirselves. In modern society, peoples live with being lost the meaning of their exist and even their identities so to exprience a sense of alienation. Especially, in overflow of personal media, each person become more isolated and alienated so to, finally, feel confused about his selfperception and identity. Under this kind of environment, the investigation of self identity of human becomes needed using ‘digital mirror’ as one of ‘interactive self-portrait’.
    In this study, video camera takes the images of a viewer and projector shows the digitally-processed images of them in real time. For viewer to watch his processed self-images make him to investigate his identity. By using the difference of two images, the prerecorded background image and the current image, the viewer finds only him an invisible man with background shown normally. This represents one case of the subject theory of Jacques Lacan. In his theory, real ego does not exist. Generally, people believe that the self-images shown through screens or monitors are real themselves. However, by the works of interactive digital mirror based on the theory of Lacan, they become realized that their self-images in mirror are not real themselves.
    By this kind of works, viewer faces a question that the self-image shown even in the normal mirror equals a real ego when he stand in front of mirror.
    Finally, he experience a feeling of being immersed in a question of his identity.
    The works of interactive digital mirror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previous digital mirror because they focus only on the transformation of viewer’s image not on the background image. This make it possible for the viewer to concentrate only his existence and identity problem. Also, the viewer becomes main theme of the works. Consequently, he participates in and reacts to works on his own initiative. This reveals the true sense of ‘interactive digital mirr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