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타지 드라마에 재현된 정의구현과 폭력의 문화정치학 - <시그널>과 <시공래전>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Cultural Politics of Justice and Violence Reproduced in Fantasy Dramas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and )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02
51P 미리보기
판타지 드라마에 재현된 정의구현과 폭력의 문화정치학 - &lt;시그널&gt;과 &lt;시공래전&gt;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9권 / 1호 / 279 ~ 329페이지
    · 저자명 : SUN CHEN

    초록

    본 연구는 폭력의 문제적 현실을 다룬 판타지 드라마 <시그널>과 그의 중국 리메이크 드라마 <시공래전>을 대상으로 드라마에 재현된 각종 폭력과 정의구현을 비교 분석하였다. 서사를 둘러싼 문화의 공통성과 변용에 초점을 맞추어 폭력의 문제적 현실의 근원을 고찰하였다. 제도를 뛰어넘어 시공간을 초월한 연대가 정의의 부재와 폭력이 난무하는 현실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이라는 드라마 서사의 사회적 기능을 탐색하였다. 이를 계기로 권력의 폭력을 재현한 드라마의 분석을 통해 한·중 두 나라에서 문제적 현실 속 권력의 폭력의 근원을 밝히는 비교연구의 공백을 메우리라 기대한다.
    장기미제사건으로 표현되는 과거의 폭력과 책임의 부재 그리고 이에 저항하는 삶의 고통을 재구성함으로써 구조적 폭력의 문화 정치학을 살펴보면서 억눌려 왔던 대중의 목소리와 당대 사회적 의미를 포착한다. 한·중 두 드라마의 서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화적 공통성과 회피의 문화적 변용을 고찰하여 어떤 정치적, 문화적, 이데올로기적 배경에서 비롯되었는지를 탐구한다. 더 나아가 인간성 내면의 특징을 통찰하며 권력의 횡포에 맞선 진실 추구의 깊은 문화적 함의를 밝혀낸다. 시공간을 초월한 연대라는 판타지를 통한 정의실현으로 현실 속 폭력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을 재조명한다. 궁극적으로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를 모색하는 데에 한·중의 문화 공유와 공감을 재사유하여 공평과 정의를 지향하는 공통의 대안을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에 의의를 둔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violence of various kinds and the realization of justice in the fantasy drama that reproduced the problematic reality of violence in both <Signal> and Chinese remake drama <Spatiotemporal call>. It focuses on the cultural commonality and transformation surrounding narrative so that investigate the root of the problematic reality of violence. Then explore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reality of the absence of justice and rampage of violence via solidarity to transcends time and space, which known as the social function of drama narrative beyond the system. It is hoped that fill the gap in between Korea and China about analyzing reproduced the violence of power in the medium of drama by revealed the source of the power violence in the problematic reality of comparative research.
    Through reconstructing the past violence and the absence of responsibility, together with the suffering of life that resists the violence expressed in long-term unsolved cases, this study explores the cultural politics of structural violence and meanwhile catch the repressed public voice and the social meaning. By means of comparatively analyzing of the narratives in Korean and Chinese dramas, it investigates the cultural commonality and avoidant cultural transformation and explores what political, cultural, and ideological backgrounds that they came from. Further, it has an insight into the inner characteristics of human nature and reveals the deep cultural implication of a pursuit of truth against the tyranny of power. It re-examines the possibility to resist violence in reality via that fantasy of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chieved justice. Ultimately, it is meaningful that rethink about the cultural sharing and sympathy of both Korea and China by introspecting the past and seeking the future, so that attempt build a common alternative for the aim of fairness and ju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