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 30년대 한국 지식인의중국 신문화운동 수용 -양건식, 정래동, 김태준의 경우- (The introduction of New Culture Movement of China in 1920, 30s Korea -The activities of Yang, Geon-sik, Jung, Nae-dong and Kim, Tae-ju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5.11
27P 미리보기
1920, 30년대 한국 지식인의중국 신문화운동 수용 -양건식, 정래동, 김태준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63호 / 71 ~ 97페이지
    · 저자명 : 송인재

    초록

    1915년에 시작되어 중국 사상과 언어의 개혁을 이끈 신문화운동은 중국 문제에 관심을 가진 1920,30년대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문학 영역에서 새로운 문학 형식의 탄생, 문학을 통한 현실 자각, 계몽 등은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문화 그리고 사상혁명을 고민하는 지식인들의 참조점이 되었다. 양건식은 1920년대 초 중국 신문화운동에 깊이 공감하며 중국의 신문학작품을 열성적으로 번역했다. 이를 통해 조선문학의 성장과 사상혁명에 기여하기를 희망했다. 정래동은 신문화운동이 퇴조된 1923년 중국 유학길에 올라 중국전문가로 성장했다. 따라서 1920, 30년대에 걸쳐 중국신문화운동의 의미를 인정하는 한 편 사후적으로 거리를 두고 평가함으로써 신문화운동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데 기여했다. 김태준은 1930년의 짧은 중국 체류를 통해 문예운동이 사상운동의 기반임을 목도하면서 신문화운동의 의미에 공감했다. 그러나 프로문학이 성행하던 당시 한-중 프로문학의 관점에 공감하면서 신문화운동을 극복해야 할 과거로 간주했다. 중국신문화운동은 수용자의 환경과 사상에 따라 각자 다른 편차를 띠고 인식되고 소개되었다. 1920,30년대 한국의 중국 신문화운동 수용은 당시 한국의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기 위한 하나의 매개였다. 특히 이 네트워크 안에서 중국의 문학 담론과 창작물이 근대 한국의 시대적 과제에 대처하는 계기로 작동하고 있었다. 동시에 이 시기 한국의 중국신문화운동 담론은 당시 존재하던 한중 지식네트워크 안에서 형성된 것이다. 더 나아가 단절이나 무기력으로 인식되던 한일합병 이후 한중 지식네트워크의 존재양상을 탐색할 수 있는 유력한 실마리가 된다.

    영어초록

    The New Culture Movement, which started in China at 1915, leaded the reform of idea, language and literature. Yang, Geon-sik, Jung, Nae-dong and Kim, Tae-jun, who can be called as 1st generation sinologist in modern Korea, had interest in it during 1920s~30s. Especially, the birth of new writing style, perceptions of reality through literature, enlightenment in thoughts became the main references for them to seek the way the Korean revolution of literature, culture and thoughts. Yang, Geon-sik expressed sympathy with New Culture Movement of China deeply therefore translated several volumes of novels and plays of modern China and hoped Chinese literature can be helpful to the growth of literature and the revolution of ideas in modern Korea. Jung, Nae-dong went to China to study after New Culture Movement declined, it made him evaluate New Culture Movement more objectively, although he also hoped to learn from Chinese literature. Kim, Tae-jun on the one hand witnessed literature movement played the role of useful means in social and ideological movement, but on the other hand regarded New Culture Movement as the past of current proletarian literature, all his views is bases on socialist idea. These three types of view constructs the multi images of New Culture Movement of China in 1920s~30s Korea. All of these views are relevant to the effort of Korean intellectuals to accomplish the reconstruction of Korean literature. It can be important historical resources for describing the knowledge communication and network of Korea and China between 1910s and 193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