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을 부르는 질병인가, 인간 실존의 근원적 조건인가?: 서구의 철학사, 의학사, 예술사, 신학사 전체를 관통하는, 멜랑콜리 개념에 관한 총체적 고찰 2) - 로버트 버튼에서 슬라보예 지젝까지 - (A Disease which Causes Death, or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Concept of Melancholy through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Medicine, Art and Rel)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5.04
25P 미리보기
죽음을 부르는 질병인가, 인간 실존의 근원적 조건인가?: 서구의 철학사, 의학사, 예술사, 신학사 전체를 관통하는, 멜랑콜리 개념에 관한 총체적 고찰 2) - 로버트 버튼에서 슬라보예 지젝까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80권 / 2호 / 113 ~ 137페이지
    · 저자명 : 김동훈

    초록

    이 논문은 우울증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토대 마련을 위해 근대부터 오늘날까지 멜랑콜 리 개념이 철학, 의학, 예술 등의 영역에서 어떻게 다뤄졌는가를 총체적으로 고찰한다. 멜 랑콜리에 대한 상세한 임상연구서인 로버트 버튼의 『멜랑콜리의 해부』 이후 우울증에 대한 임상적 연구가 발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칸트는 멜랑콜리에 대해 초기에는 긍정 적인, 후기에는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는 이중적 태도를 보였다. 그와는 달리 낭만주의자들 은 멜랑콜리를 노스탤지어와 함께 자신들에게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보았다. 프로이 드는 멜랑콜리를 일종의 질병, 나르시시즘적인 대상의 선택에서 나르시시즘에로의 퇴행의 과정으로 파악한 반면, 크리스테바는 주체가 성공적인 사회화과정을 위해 겪어야 하는 어 머니로부터의 분리를 거부하는 것을 멜랑콜리의 원인으로 파악한다. 반면 오늘날의 임상 의학에서는 멜랑콜리를 더 이상 의학용어로 사용하지 않고 우울 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한 다. 철학 영역에서는 여전히 멜랑콜리가 활발한 토론의 주제다. 니체나 키르케고르에게 멜 랑콜리는 한편으로는 사랑과 찬탄의 대상이지만, 다른 한편으론 그들을 비참하게 만드는 ‘악한 여신’이기도 했다. 멜랑콜리의 이러한 변증법적 성격은 하이데거가 불안이나 권 태와 함께 멜랑콜리를 근본기분이라 파악할 때나, 발터 벤야민이 독일 바로크 비극의 비천 한 멜랑콜리와 보들레르의 영웅적 멜랑콜리를 대비시켜 파악할 때, 지젝이 한편으로는 철 학의 출발점이라 긍정적으로 파악하면서도 대상에 대한 욕망의 상실 때문에 발생하는 일 종의 퇴행으로 파악할 때도 그 속에서 관철되는 중요한 특징이다.

    영어초록

    This treatise examines systematically the concept of melancholy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 of the theories on it throughout western history of philosophy, medicine, art and religion, especially from the publication of Robert Burton's Anatomy of Melancholy to the contemporary theory of melancholy such as developed in Slavoj Žižek's Did Somebody say Totalitarianism?,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of the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melancholy which is considered nowadays as one of the most serious psychological diseases. In modern period, Melancholy became an object of detailed clinical study as in the case of Robert Burton's The Anatomy of Melancholy. Kant had in the first period of his philosophical career a positive attitude toward Melancholy, but afterwards changes his point of view and estimated it negatively. Among the Romanticists for whom as artists the feeling and insight is very important, the feeling of Melancholy occurs from the sense of frustration which comes from the impossibility to reach their ideal. For this reason, Melancholy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for the Romanticists along with the concept of nostalgia. Freud sees Melancholy as a sort of psychic disease which is caused by the patient's regression from the narcissistic selection of object to narcissism. To Kristeva, the cause of Melancholy lies in the patient's refusal to separate him/herself from his/her mother in order to be autonomous. On the other hand, many medical doctors and scholars do not treat Melancholy as theoretical term any more. Instead, they use terms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or unipolar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epressive disorder. But in the field of philosophy, Melancholy is still the subject of vigorous discussion. Nietzsche and Kierkegaard are the philosophers who treat it intensively. They hold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it. On the one hand, it is for them an object of love and admiration. But on the other hand, it is the bad Goddess who drives them to misery. For Heidegger, it is elevated to a high status of a fundamental sentiment as Angst(anxiety), Langeweile(boredom). Walter Benjamin interprets the dialectic character of Melancholy as opposition between abject Melancholy in German Baroque Drama and Melancholia heroica 죽음을 부르는 질병인가, 인간 실존의 근원적 조건인가? 137 which comes into sight in the poems of Charles Baudelaire. According to Slavoj Zizek, Melancholy does not occur from the clinging to the lost object of love, but from the loss of desire for the object which remains to be the possession of the melancholiacs. This means that Melancholy appears when the meaning of the world disappears. Precisely here begins philosophy which is the pursuit of the meaning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