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풍류도로 본 우리 고유철학사상 - 난랑비서, 일연의 삼성기), 한단고기 삼일신고를 중심으로 - (Our unique philosophical thought as seen in Pungnyu-do - Focusing on Nanrang-Beseo, Il-yeon's Samseonggi, Handangogi, and Samilshingo -)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1.12
52P 미리보기
풍류도로 본 우리 고유철학사상 - 난랑비서, 일연의 삼성기), 한단고기 삼일신고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융합 / 9호 / 191 ~ 242페이지
    · 저자명 : 오종홍

    초록

    우리에게는 고유의 철학사상이 있다. 이것을 최치원은 현묘지도로써 풍류라고하였다. 최치원이 말한 國有玄妙之道의 나라[國]는 당대의 신라뿐만 아니라 우리 역사에 등장하는 한웅천왕의 신시 배달국, 단군조선 이래 모든 나라다. 고유한 철학사상을 밝히려면 고유하다는 의미를 먼저 밝혀야 한다. 고유하다는 것은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시기적으로는 우리 겨레가 공동체문화를 본격 시작한 것으로 보이는 벼농사가 시작된 때로 볼 수 있다. 이때는 충북 소로리 볍씨를 기준으로 할 때 약 1만 5천 년 전이다.
    풍류를 현묘한 도라고 하였는데 현묘하다는 것은 정의 내릴 수 없고 가늠할 수없으며 틀을 지울 수 없다. 잡힐 듯하나 잡히지 않는다. 풍류는 바람과 물의 흐름이다. 바람은 있으면서도 보이지 않는다. 잡을 수도 없고 어디서 와서 어디로가는지 가늠할 수 없다. 또 물은 막히면 돌아가고 저항하지 않는다. 부드럽고 걸림이 없으며 모든 것을 품는 바다와 같다. 이런 점에서 풍류는 현묘함이다.
    한편, 바람은 양 기운이고 불에 속한다. 물은 음 기운이다. 물과 불은 상극이다. 풍류는 이 상극이 조화, 합일됨을 뜻한다. 물과 불이라는 경계를 넘어 하나로 돌아간다.
    풍류는 유교, 도교, 불교 삼교를 포함하는데 接化群生으로 압축된다. 접화한다는 것은 신과 접하여 전일적, 근본적으로 탈바꿈한다는 뜻이다. 접화군생의 접화의 일차적인 의미는 접화군생을 할 주체에 신이 내려 개체로서 자아가 사라지고 신적인 존재로 거듭남이다. 접화군생은 너와 나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우주만물과 더불어 하나가 된다는 생명 사상을 담고 있다. 군생은 인간과 그 외 생명체는 물론 무생물을 포함한 만물을 뜻하고 이렇게 보아야 풍류의 본뜻을 잘 살릴수 있다.
    접화군생은 홍익인간과 재세이화의 이념을 품고 있다. 홍익인간은 인간 세상을 크게 이롭게 한다는 뜻이다. 이는 인간 이외의 자연물은 파괴해도 좋고 인간만 이롭게 한다는 이기적인 사상이 아니다.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것은 물질적인 이익도 있겠으나 갈등과 분열로 고통받는 인간에게 본성을 통하고 빛처럼 밝은 존재[性通光明]가 되게 하여 고통에서 자유케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알님이 깊이 내리는 것[一神降衷]을 의미한다. 이는 이미 우리 머리 위에 내려와 계셔서[降在爾腦] 모시고 있는[侍天主] 한알님을 깨닫는 것[吾心卽汝心]이며 이러한 상태가 되면 인간 세상을 한알님의 이치로 감화[在世理化]하고 크게 이롭게할 수 있다[弘益人間].
    「일연의 삼성기」는 우리 고유철학사상으로써 초월 사상을 담고 있다. 곰이 사람이 되게 해달라고 기도를 하고 어둠 속 굴에서 한웅천왕이 내려 준 쑥과 마늘만 먹고 견디다가 사람으로 화했다. 곰이 사람으로 초월한 것이다. 환웅천왕은하늘이고 곰은 자연(땅)이고 단군왕검은 인간이다. 단군왕검은 하늘인 한웅천왕을 아버지로, 웅녀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난 존재다. 단군왕검이라는 인간 속에서 서로 만날 수 없는 양극단의 하늘과 땅이 하나가 된다[人中天地一]. 하늘과땅과 사람이 하나라는 점에서 풍류도의 출발점이다. 풍류도는 인간 이외의 만물도 포섭하는 우주론 적인 신이 바탕을 이룬다. 이 신은 우리 고유의 심성에서 나온 신을 뜻하며 동학의 수운 최제우는 한알님이라고 불렀다.『삼일신고』는 이 신을 선악이 없는 존재로 묘사하였다. 끊임없이 선택과 가치판단을 하는 이원성을초월한 존재다.
    무당의 다른 이름 중에는 풍류도의 주인공, 화랑을 뜻하는 화랭이가 있다. 무당굿은 노래와 춤 그리고 신을 부르고 부린다. 화랑도 춤과 노래로 도를 닦았으며 기도로 신을 부렸다. 무당굿을 우리 고유의 토착 종교라고 하는데 화랑의 풍류도와 한 뿌리다. 우리 고유철학사상의 뿌리를 풍류도에서 찾을 수 있고 풍류도가 무당굿과 한뿌리라는 점에서 우리 고유철학사상은 무당굿에 터 잡고 있다.

    영어초록

    We have our own philosophical ideas. This was called Pungryu(風流) as a Hyeonmyojidop(玄妙之道) by Choi Chi-won. The country mentioned in the country that has hyeonmyojido refers not only to Silla, but all countries in our history Since God’s city, Baedalguk of King Hanungcheon[桓雄天王의 神 市倍達국], Dangun Joseon(檀君朝鮮).
    In order to reveal a unique philosophical thought, the meaning of uniqueness must first be revealed. To be unique means to be unaffected by external influences. In terms of timing, it can be seen as the beginning of rice farming, which seems to have started the community culture in earnest by the Korean people. At this time, it is about 15,000 years ago based on the Soro-ri rice seed in Chungcheongbuk-do(忠淸北道).
    Pungryu(風流) is said to be the virtuous Tao[玄妙한 道], but the virtuous is indefinable, unpredictable, and indescribable. It seems to be caught, but it doesn't. Pungryu(風流) is the flow of wind and water. The wind is there, but it is invisible. it can't catch. We can't figure out where it's coming from and where it's going. Also, if the water is clogged, it will return. it do not resist.
    it is soft no jamming And it is like the sea that embraces everything. In this respect, the wind is a subtlety.
    The wind, on the other hand, is a yang energy[陽氣] and belongs to fire.
    Water is yin energy[陰氣]. Water and fire are opposites. Pungryu(風流) means the harmony and unity of these two extremes. It crosses the boundaries of water and fire and returns to one.
    Pungryu(風流), which includes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is condensed into Jeobhwagunsaeng(接化群生). To come into contact with God means to be holistically and fundamentally transformed by contact with God. The primary meaning of Jeobhwa(接化) of Jeobhwagunsaeng(接化群生) is that God descends on the subject who will perform Jeobhwagunsaeng(接化群生), and the self disappears as an individual and is reborn as a divine being. Jeobhwagunsaeng(接化群生) contains the life idea of bre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you and me and becoming one with everything in the universe. Gunsaeng(群生) refers to all things, including humans and other living things as well as inanimate objects. Seeing this way, the true meaning of Pungryu(風流) can be preserved.
    Jeobhwagunsaeng(接化群生) embraces the ideology of Hong-ig-ingan(弘 益人間) and Jeobhwagunsaeng(接化群生). Hong-ig-ingan(弘益人間) means to greatly benefit the human world. This is not a selfish idea that it is okay to destroy natural objects other than humans and only benefit humans.
    Benefiting humans also has material benefits. However, it makes human beings who suffer from conflict and division a being as bright as light through nature. So it frees you from pain. This means that one grain descends deeply [一神降衷]. This is to realize [吾心卽汝心], the One Almighty God who has already descended over our heads and is serving [侍天]. And when it is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influence the human world with the principle of Han Alnim[ 一神] and greatly benefit it [弘益人間].
    「Illyeon's Samsung Ki 一然의 三聖記」contains the idea of transcendence as our own philosophical thought. After praying for the bear to become a human, she ate only the mugwort and garlic that King Hanung-cheon[桓雄天 王] gave her in a cave in the dark, and endured it until she became a human.
    A bear transcends a human.
    Hwan-ungcheon-wang(桓雄天王) is the sky, the bear is nature (earth), and DangunWanggeom(檀君王儉) is human. DangunWanggeom(檀君王儉) was born with the heavenly King Hanungcheon as his father and Ungnyeo as his mother. In the human being called Dangun Wanggum, the two extremes of heaven and earth that cannot meet each other become one [人中天地一]. It is the starting point of Pungryu-do(風流道) in that heaven, earth and man are one.
    Pungryu-do(風流道) is based on a cosmological god who embraces all things other than humans. This god means a god from our own heart, and Choi Jewoo, Suun of Donghak(東學), was called Han Al-nim. 『Samil Shingo 三一 神誥』 describes this god as a being without good and evil. It is a being that transcends the duality of constantly making choices and value judgments.
    Among other names of Mudang-gut(巫堂-굿), there is Hwarangi, the main character of Pungryu-do(風流道), which means Hwarang(花郞). Mudanggut( 巫堂-굿) sings, dances, and calls on and plays with gods. Hwarang(花 郞) also practiced the way through dancing and singing, and chanted the gods through prayer. Mudang-gut(巫堂-굿) is said to be our own indigenous religion, and it has the same roots as Hwarang's Pungryu-do(風流道). The roots of our own philosophical thought can be found in Pungryu-do(風流道).
    Pungryu-do(風流道) is one root with Mudang-gut(巫堂-굿). In this regard, our own philosophical thought is rooted in the Mudang-gut(巫堂-굿), shamanistic rit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