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鄕歌의 근대 1-金澤庄三郞와 鮎貝房之進의 향가 해석이 이루어지기까지- (The modern of Hyangga 1-About the Hyangga interpretation of Kanazawa Shousaburo and Ayugai Husanoshi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08.11
32P 미리보기
鄕歌의 근대 1-金澤庄三郞와 鮎貝房之進의 향가 해석이 이루어지기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25권 / 5 ~ 36페이지
    · 저자명 : 고운기

    초록

    이 글에서 먼저 19세기말 전후 『삼국유사』의 재발견에 대해 논하였다. 특히 그 가운데 향가의 존재를 두고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가나자와 쇼사부로(金澤庄三郞)와 아유가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의 <處容歌> 해독을 중심으로, 20세기 초 근대의 여명기에 재발견된 향가가 어떤 학문적 조명을 받기 시작하는지 밝혔다.
    메이지(明治) 27년은 1894년, 곧 淸日戰爭이 일어난 해이다. 이 연도와 관련해서 우리의 비상한 관심을 끄는 것은, 바로 이때부터 일본의 사학계가 조선사 연구에 관심을 갖고 그 성과물을 내놓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거기서 『삼국유사』는 재발견된다. 그리고 그 해제나 서문을 통해 한 가지 뜻밖의 사실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역사학자인 그들에게 번외의 일이나 마찬가지였을 향가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다. 향가를 실은 사실을 가장 큰 ‘一然의 공’이라 했고, 십여 수가 남았을 뿐인 향가를 ‘滄海遺珠’라 부르고 있다.
    어문학적으로 가장 먼저 향가 연구에 뛰어든 가나자와는 이를 통해 朝日兩國語同系論을 주장하려 하였다. 향가의 철자법은 곧 일본의 만요가나(萬葉假名)와 같다는 결론을 내보이면서 동계론의 증거로 삼았다. 가나자와가 강조해 마지않고 싶었던 주장은 한일 두 나라의 말이 동일 계통이며, 표기 방법이 하나도 다르지 않다는 것이었다. 그가 이토록 동조동근에 집착한 까닭은 식민지 경영의 시대 논리에 부응하고자 하는 일념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아유가이는 먼저 복잡한 언어 구성원을 가진 고대 한국어에 주목하였고, 일본어처럼 간단명료한 차자 표기 체제를 갖출 수 없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언어에서 朝日同祖論은 성립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우회적으로 나타낸 것이었다. 한마디로 한국어와 일본어는 同祖도 아니지만, 借字의 방법을 썼다 하더라도 이후에 같은 길보다는 서로 다른 길을 걸어갔다고 보았다.
    우리는 여기서 향가 해독이 가나자와나 아유가이로부터 불쑥 시작된 것이 아니라는 점, 일본의 근대화 이후 『삼국유사』와 향가에 관한 츠보이 쿠메조(坪井九馬三) 같은 先鞭에 충실한 응답으로 나왔다는 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國是에 일조하려는 쪽과 학문의 엄정성에 堡壘하려는 쪽으로 갈렸음을 확인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본격적인 향가 해독을 이루어 낸 오쿠라 신베이(小倉進平)는 아유가이의 입장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discussed rediscovery of the Samkukyusa(三國遺事) around the later 19th century at first. Furthermore I showed there were some kinds of discussion about existence of Samkukyusa expecially, and I revealed in the dawning of 20th century what kind of scholastic lighting was given to rediscovered Hyangga(鄕歌) with the interpretation of Kanazawa Shousaburo(金澤庄三郞) and Ayugai Husanoshin(鮎貝房之進).
    In 1894,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Relates with this year and putting out the interest which us flies, rightly from that time, the field of history of Japan had an interest in Korea history research and put out the results. From that, Samkukyusa were rediscovered. And through the a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and preface we can know an unexpected thing. It rightly about the mention about Hyangga which would be a outside work to them as historians. They said the fact they mention Hyangga was a kind of honor, and they called Hyangga a treasure in the world even Hyangga was about 10 works left.
    Kanazawa researched Hyangga in literarily at first, and he maintained that Korea and Japan's language have in same family line. He tried to make that kind of conclusion because he thought the Hyangga rules of spelling was not different from Japanese Manyo-Kana(萬葉假名). What Kanazawa want to emphasize is that the languages of Korea and Japan is in same family line, and the method of spelling is not different. He clung to this theory because he wanted to answer the periodic logic of colony management.
    However, Ayugai paid a attention in the ancient Korean language which has the complicated language elements, and emphasized Korean language could not have simple and clear system like Japanese. This means Kanazawa's opinion is not right. That is Korean and Japanese is not in same family and different even both of them lent Chinese character in some way.
    This Ayugai's opinion is very important in searching the interpretation of Hyangga. That is because whether his intention was there or not, even in linguistic field the ideology of the times which was Korean and Japanese in same family didn't have an affect on him narrowly. Ayugai said that in Chosun period, there were not any prose which express perfect ideas with Korean, and premised it is a miracle some Hyangga was handed down to us today. He decoded 3 works like Dongyo(童謠), Pungyo(風謠) and Choyong(處容), also because he attached a Hangul(Korean alphabet) and notes, it is different from Kanazawa.
    Okura Shinbei(小倉進平) who buckled to the interpretation of Hyangga seems to accept the position of Ayugai. He commented on him favorably, as Ayugai who read through 3 works among 14 works of them did interpret in linguistic way, not miss the 1 character for 1 phrase style, and use in full exemplified reference. Okura checked all of 3 interpretaion of Ayugai, so we can notice Ayugai was a kind of guide, not a critical o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