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실의 시대 체험과 멜랑콜리의 미적 전략 - 이동하의 90년대 이후 소설을 대상으로 (The experiences about period of loss and aesthetic strategy of melancholy -For novels since the 1990s by Lee Dong H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08.02
26P 미리보기
상실의 시대 체험과 멜랑콜리의 미적 전략 - 이동하의 90년대 이후 소설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34호 / 277 ~ 302페이지
    · 저자명 : 김은하

    초록

    본고는 이동하의 90년대 이후 소설에 나타난, 중장년 세대 남성들의 멜랑콜리의 정서를 통해 전쟁과 전후 한국 남성의 근대체험을 형상화해온 작가의 글쓰기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동하 소설의 주인공들은 해방 직후 태어나 국가 재건 프로젝트에 동원되어온 남성 주체들인데, 90년대 이후 발간된 창작집 ≪문 앞에서≫, ≪우렁 각시는 알까≫는 이들의 황폐한 내면과 강렬한 허무의 정조를 서사의 무대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멜랑콜리(Melancholy)의 그림자를 가시화한다. 멜랑콜리는 작중 인물들의 체험적 감각에 그치는 게 아니라, 한국의 근대화에 대한 작가의 분석과 비판의식이 함축된 미적 전략이다. 작가는 한국 근대화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온 중산층 아버지들의 무분별하게 비어져 나온 눈물과 허물어진 모습을 전략적으로 가시화함으로써 멜랑콜리를 치명적 정조를 벗어날 수 없는 숙명이 아니라, 한국적 근대체험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으로 주목하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먼저, 멜랑콜리는 일상을 훼손한다는 점에서 폭력인 양 제시되지만 기실 작중 인물들이 찾아 헤매던 감정이다. 우리들의 일상이 혐오스러운 것의 회피나 승화 위에 구축된 것이라면 이동하는 우울과 폭력을 연동시킴으로써 일상에 균열을 내고자 한다. 다른 한편으로 멜랑콜리의 정서는 전후 집을 얻기 위한 남성들의 분투와 그러한 과정에서 생존 기계로 내몰린 남성들의 훼손된 주체성에 대한 비감한 인식의 표현이다. 궁극적으로 이동하는 트라우마에는 말할 수 없는 어떤 진실이 잠재되어 있으며, 그것은 오직 고통의 외침으로만 들려질 수 있을 뿐 통상적인 역사 내러티브에 의해 표상 불가능한 것임을 암시함으로써 전쟁의 트라우마를 국가근대화를 통해 치유하려한 한국의 근대 기획을 비판하는데, 이는 트라우마가 온전히 기억될 수 없음을 반증하는 듯한 원체험의 반복적 글쓰기와 서사적 완결성의 폐기로도 드러난다.
    이동하의 소설은 공허와 우수 혹은 의혹과 분노 등 멜랑콜리의 감정이 문화적ㆍ역사적 객관성을 구비한 현실임을 암시한다. 그는 현대사를 애도할 수 없는 치명적 상실의 감각, 즉 멜랑콜리의 정서로 담아낸다. 그는 규정할 수도 표상할 수도 명명할 수도 없는 트라우마를 상실의 이름으로 불러내어 실체화하고 현존하지 않는 그것을 존재의 영역으로 불러내기 위해 다양한 미적 전략을 선보인다. 그의 소설은 간혹 통속적인 보상심리에 이끌리기도 하지만, 멜랑콜리를 한국인의 근대적 시간의 의미를 성찰하는, 침통한 지혜로 전략화한다.

    영어초록

    The thesis is examined that meaning and characteristic of writing by author, forming the Korean man for the modern age experience after the War and war through the emotion of melancholy of elderly generation male, mentioned in novels since the 1990s of Lee Dong Ha.
    The heroes of Lee Dong Ha novels are the male subjects that mobilizing in project for country rebuilding, are born directly after liberation, On his door step and Does the ponds nail wife know that?, were published since the 1990s, these would see the shadow of Melancholy by posting the devastate dinner and chastity of a strong nothingness in the front side of stage. The Melancholy is not the experience sense of characters in a novel but the aesthetic strategy that implying analys is and criticism conscious ness about modernization of Korea. The author is emphasized the Melancholy necessity of new culture creation and watched the mental social reaction about Korean modern times experience not fate that can’t get out of a fatal sentiment with seeing the tears and unglued face of fathers strategically.
    First of all, the Melancholy is suggested that destroying the daily routine ‘pretend’ violence but actually this is gave a hint the emotion that characters in the novel are searching around. If daily life is established on avoidance or sublime of disgusted something, this would be crack in the daily life by connecting the moving depression and violence. On the other hand, the emotion of melancholy is the wound that leaving by war, the struggles to gain the house after war and an expression of sad recognition about damaged identity of the male men that are driven out as existence machine during the process. Ultimately, moving trauma has latent unspeakable any truth and this can be heard only a cry for pain also criticized the recent time planning of Korea substitute the desire about modernization for the trauma of war by suggested that impossible to symbol by an ordinary history narrative. This is showed that repetitive writing of original experience, trauma looks like to prove the contrary that can’t remember in its entirety, disuse of descriptive conclusion.
    The novel of Lee Dong Ha is suggested that emotion of melancholy , sense of emptiness, anxiety, suspicion , anger and so on are reality that fulfilled with cultural, historical and objectivity. He puts into a emotion of melancholy, a fatal sense of loss that can’t mourn for the contemporary history. He calls out a trauma that can’t prescribe, express a symbol and give a name as a name of loss and presents various aesthetic strategies to call into the realm of existence for it, substantiated and in existent. His novel is guided common compensation mind in a while but he makes the melancholy to strategy mournful intelligence that reflecting the meaning of modern time of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