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래된 미래로서의 현대 예술: 빙켈만론을 통해 본 페이터의『르네상스』와 랑씨에르의 『지각』 (Modern Art as Time-old Future: Winckelmann in Pater’s Renaissance and Rancière’s Aisthesi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6.02
24P 미리보기
오래된 미래로서의 현대 예술: 빙켈만론을 통해 본 페이터의『르네상스』와 랑씨에르의 『지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19세기영어권문학회
    · 수록지 정보 : 19세기 영어권 문학 / 20권 / 1호 / 123 ~ 146페이지
    · 저자명 : 윤미선

    초록

    In this paper I review the parallel structure of aesthetic ideas expounded in Walter Pater’s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Renaissance (1873) and Jacques Rancière’s Aisthesis (2011). Significantly, Johann Joachim Winckelmann, German historian of art in classical antiquity of the 18th century, is a shared touchstone through which Pater and Rancière develop their aesthetics, a provisional end of the Renaissance for Pater and a distinct beginning of, for Rancière, what he has called the “aesthetic regime” of art. Both critical philosophers explain the importance of Winckelmann in a similar manner: Winckelmann, unlike usual classicists of his time, emphasized the dissociation of artworks from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ir production and thus endowed art-perceivers with freedom in how to perceive them. I argue that, if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Rancière, Pater’s aestheticism reveals its political characteristics that defends radical democracy. If seen through the eyes of Pater, Rancière’s concept of the “aesthetic regime”, whose objective has been often misconstrued as constant innovation in the forms of art, can be clarified. My analysis will reveal that Pater and Rancière’s shared emphasis on the principle of perception and the structure of logics to endorse it results from the fact that both develop their defense of individual perception within Hegel’s historicist perspective of art. Both thinkers regard Winckelmann as a precursor to Hegel but with an emphasis upon the experience of individuals. In the Renaissance, Pater shows well that the ultimate value which the “aesthetic regime” defends in its denouncing any norm in creating and receiving art is a sense of freedom of individual being, confirmed with historical reflection.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review the parallel structure of aesthetic ideas expounded in Walter Pater’s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Renaissance (1873) and Jacques Rancière’s Aisthesis (2011). Significantly, Johann Joachim Winckelmann, German historian of art in classical antiquity of the 18th century, is a shared touchstone through which Pater and Rancière develop their aesthetics, a provisional end of the Renaissance for Pater and a distinct beginning of, for Rancière, what he has called the “aesthetic regime” of art. Both critical philosophers explain the importance of Winckelmann in a similar manner: Winckelmann, unlike usual classicists of his time, emphasized the dissociation of artworks from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ir production and thus endowed art-perceivers with freedom in how to perceive them. I argue that, if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Rancière, Pater’s aestheticism reveals its political characteristics that defends radical democracy. If seen through the eyes of Pater, Rancière’s concept of the “aesthetic regime”, whose objective has been often misconstrued as constant innovation in the forms of art, can be clarified. My analysis will reveal that Pater and Rancière’s shared emphasis on the principle of perception and the structure of logics to endorse it results from the fact that both develop their defense of individual perception within Hegel’s historicist perspective of art. Both thinkers regard Winckelmann as a precursor to Hegel but with an emphasis upon the experience of individuals. In the Renaissance, Pater shows well that the ultimate value which the “aesthetic regime” defends in its denouncing any norm in creating and receiving art is a sense of freedom of individual being, confirmed with historical refl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