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멜랑콜리의 아나크로니즘, 혹은 트라우마의 타임루프를 절단하는 간극 : <여자, 정혜>와 <한공주>를 중심으로 (A Reflection on Melancholia’s Anachronism or Trauma’s Time Warp - Focused on This Charming Girl and Han Gong-ju)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06
20P 미리보기
멜랑콜리의 아나크로니즘, 혹은 트라우마의 타임루프를 절단하는 간극 : &lt;여자, 정혜&gt;와 &lt;한공주&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學硏究 / 41권 / 163 ~ 182페이지
    · 저자명 : 김소연

    초록

    우울증이라 통칭하지만 철학과 정신분석학, 심리학과 정신의학에서 우울증은 각각 멜랑콜리와 디프레션으로 상이하게 개념화된다. 이 글은 전자의 관점에서 <여자, 정혜>(2005) 와 <한공주>(2014)를 분석한다. 멜랑콜리는 대상을 상실한 주체가 자아(자기애)마저 상실하는 경험이다. <여자, 정혜>와 <한공주>는 많은 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우선 트라우마 사건과 연관된 플래시백 장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그’ 기억을 객관적 시점에서 보여준다. 또한 정혜와 공주 모두가 트라우마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엄마(-기능)와의 퇴행적 관계 속에 있으며 트라우마 기억하기의 과정에서 유령들을 상대하고 있다. 그 결과는애도의 성공(정혜)과 실패(공주)로 갈라진다. 트라우마 사건을 재현하는 객관적 시점은 초자아의 응시로 읽힌다. 그런데 정혜는 가해자를 벌하는 초자아의 위치와 동일시하는 반면공주는 또 다른 피해자인 친구 화옥을 외면한 자신을 초자아의 응시의 대상으로 만든다.
    정혜의 유령-엄마는 정혜의 영원한 보호자이지만 유령-화옥은 공주를 윤리적 죄의식에 시달리게 한다. 결국 멜랑콜리적 시간의 아나크로니즘적 성격은 정혜에게는 타임루프의 형태로, 공주에게는 타임워프의 형태로 경험된다. 그렇다면 오늘날의 파국적 세계에서 멜랑콜리적 주체성을 어떻게 사유할 것인가? ‘리비도 프롤레타리아’ 개념(슬라보예 지젝)과 멜랑콜리 주체의 ‘관조’를 통한 구원이라는 구상(발터 벤야민)에 근거하면, 두 영화는 ‘부정을 긍정하는 시간’의 구체화에 성공한 사례로 해석된다.

    영어초록

    Within the contemporary milieu, the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spheres surrounding individuals coalesce into a structure fostering melancholia and depression. While often conflated, philosophy, psychoanalysis, and related fields distinguish melancholia from depression based on their frameworks. This paper analyzes This Charming Girl (2005) and Han Gong-ju (2014) through psyhoanalytic and philosophical lenses. In melancholia, the subject loses the ego after losing an object. Thus, trauma victims experience profound melancholia, evident in the temporality of remembering traumatic events. Both films utilize flashbacks and feature characters (Jeong-Hye, Gong-Ju) engaged in regressive relationships confronting specters (mother, friend).
    However, the narratives diverge: Jeong-Hye achieves successful mourning, while Gong-Ju fails.
    The objective perspective represents the superego’s gaze. Jeong-Hye aligns with the superego, while Gong-Ju aligns with the gazed-upon perpetrator. The paper then explores how these films depict anachronistic temporality and its appropriation in today's catastrophic world based on Slavoj Zizek and Walter Benjam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人文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