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키나와의 아리랑 -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잔류 조선인들과 남북한 (Okinawa's Arirang ―"Leftover Koreans" on Okinawa and the Two Korea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5.03
38P 미리보기
오키나와의 아리랑 -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잔류 조선인들과 남북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89호 / 547 ~ 584페이지
    · 저자명 : 임경화

    초록

    본고에서는 식민지기부터 오키나와에 거주했다가 패전 이후에도 잔류하게 된 조선인들이 전후 냉전질서 속에서 방치된 후 발견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오키나와에서미군의 직접통치가 실시되고 20여 년이 지난 후에 이들이 발견된 데에는, 1965년한일협정 이후 이들의 법적 지위를 둘러싼 ‘국가의 논리’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초기에는 소극적으로 대처했으나, 오키나와 반환협정 체결 전후로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했다. 반환으로 인한 총련의 오키나와 진출에 위기감을느꼈기 때문이다.
    총련은 오키나와에 오자마자 오키나와 전투에서 희생된 조선인에 대한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이 조사는 군대의 논리에 의한 오키나와 전투의 역사화에 대항해서 전개된 오키나와 주민 주체의 전투 기록운동을 계승한 것이었다. 오키나와 주민들은‘주민의 논리’에 입각한 오키나와 전투 역사화 과정에서 조선인들을 발견했다. 총련은 이 성과들을 이어 받으면서도 조선인이 주체가 된 오키나와 전투의 실상을 그리려 했다. 그 결과 조사단은 오키나와 전투 준비를 위해 동원되었던 조선인들 중에패전 이후 미군의 전쟁준비에 동원된 사람들도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조선인들에대한 일제와 미군의 전쟁범죄를 고발함으로써 오키나와에는 식민지주의가 지속되고있었음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한국정부와 총련의 잔류 조선인에 대한 인식 차는 남북한의 미군정기 오키나와인식이 반영된 것이기도 했다. 한국은 미군의 오키나와 통치를 적극적으로 지지했고오키나와에 친미반공 독립국의 형성을 지원하기도 했다. 한편 북한은 제3세계해방운동 속에서 민족 재결합이라는 공동 목표 하에 오키나와의 조국복귀운동과 연대했다. 당시 주민의 다수가 복귀를 희망했으므로 남한은 ‘군대의 논리’에, 북한은 ‘주민의 논리’에 서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군정기의 오키나와에 접근할 수 없었던 총련의 ‘주민의 논리’는 대다수가 민족 해방이 아닌 귀화를 선택했던 잔류 조선인들의 현실에 부합하지 못했다.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전쟁과 냉전의 틈바구니에서 국가와 역사로부터 망각당한피해자가 발견되었을 때, 피해자의 존재를 품고 역사 속으로 이끄는 안내자의 논리가 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se how the "leftover" Koreans, who survived thebattle of Okinawa and then ended up settling down there, were first left totheir own devises and neglected, and then re-discovered. One of the reasonswhy they were re-discovered 20 years after Okinawa came under the directcontrol of the US military was the "state logic", to be applied to OkinawaKoreans under the terms of 1965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Agreement. However, in the beginn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idnot show an active interest in Okinawa's Koreans; it started to do so onlyafter Okinawa's reversion to Japan was agreed by Japan and USA in 1971.
    The reason for that was the feeling of crisis, as it was understood that thereversion would allow the pro-North Korean Chōsen Sōren to move freelyinto Okinawa.
    The first thing Sōren did on Okinawa was the investigation on theKoreans who died during the battle of Okinawa. This investigation continuedthe civilians-centred history recording movement which took momentumsince the late 1960s as a counterforce to the conventional, military-centreddescriptions of the battle of Okinawa. As the movement for re-writing thehistory with the "residents' logic" put squarely in the centre was booming,the remaining Koreans were discovered on Okinawa. The Sōren investigationinherited the successes of this movement, while aiming at creating analternative image of Okinawa battle, with Koreans being its main subject. Itwas discover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at a number of Koreans mobilized in preparation for war by the imperial Japan, were then re-mobilizedagain by the US military authorities after the Japanese defeat. The aim ofthe investigation report was thus to accentuate the persistence of colonialismin Okinawa by denouncing the war crimes committed both by imperialJapan and USA.
    The difference in the view on the "leftover" Koreans between the SouthKorean Government and Sōren reflected the divergence of South and NorthKorean views on the American military-ruled Okinawa. The South KoreanGovernment was positive on US military rule in Okinawa, supporting alsothe idea of establishing a pro-American, anti-Communist independent statethere. By contrast, North Korea solidarized since the mid-1950s with Okinawanreversion movement as a part of the Third World liberation movement,sharing the common aim of national re-union with the Okinawans. From thisviewpoint, we can define South Korea's logic as more military-based, whileNorth Korea's logic was closer to the wishes of the majority of generalpopulation, which supported the reversion.
    Sōren, however, could not operate in US military-dominated Okinawa. Its"residents' logic", in fact, did not fit into the realities of Okinawa-based"leftover" Koreans, who mostly wished to naturalise rather than to participatein a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Despite such limitations, Sōren stillmanaged to play the role of an aid organization in relation to the "leftover"Koreans. On the discovery of these people victimized and forgotten by thestates and official history amidst the vicissitudes of the World War and ColdWar, it recognized them and offered them assistance and solida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