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족 민요 정암촌본 ‘청주아리랑’의 전승 현황과 자원화 방안 (The PresentStatus and Resources of the ‘CheongjuArirang’ of the KoreanFolkSongs and JeongamVillag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9.08
25P 미리보기
조선족 민요 정암촌본 ‘청주아리랑’의 전승 현황과 자원화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56권 / 7 ~ 31페이지
    · 저자명 : 김성희

    초록

    민요는 예술의 한 장르이기에 앞서 한 민족의 역사 속에 깊이 뿌리 내린 문화적인 형태로, 민족 특유의 심미적 양상과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다. 그중 ‘아리랑’은 ‘민요의 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겨레의 한결같은 사랑을 받아왔다. 이렇듯 ‘아리랑’이 지니는 막중한 의의와 함께 이에 대한 전승과 보호 역시 오래 전부터 논의되어 왔고, 괄목할만한 성과를 축적하였다. 그러나 ‘아리랑’의 방대한 체계 가운데서 일부는 시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해 전승과 보호에 있어 난항을 겪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곧 ‘청주아리랑’이다. 한국에서의 ‘청주아리랑’에 대한 연구는 관련 기록의 부재로 오랫동안 공백을 이어오다가 1990년대 중반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 정암촌에서 온전하게 전해지고 있던 ‘청주아리랑’이 세상에 알려지고, 1978년에 조선족 민요학자 김봉관 선생이 작성한 채록 자료가 알려지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과정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연변조선족자치주 정암촌본 ‘청주아리랑’의 발굴을 중심으로, 그 역사적 연원과 전승 현황 및 지속적인 자원화 방안에 대해 통시적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Folk songs are not only a genre of art, but also a cultural form rooted in the history of a nation with unique aesthetic features and innate sentiments of a nation, among which, Arirang, renowned as ‘Cream of Folk songs’, has always been popular with the public. While great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ed since issues about inheritance and protection of Arirang have long been discussed by the academic circles of music, undeniably, it is hard for some of the ballads in the huge system of Arirang to be either protected or inherited owing to factors such as time and space, ‘CheongJu Arirang’ as a typical example. In Korea, for a long time, further researches on ‘CheongJu Arirang’ failed to be conducted due to the lack of records related to ‘CheongJu Arirang’ until the mid-1990s when CheongJu Arirang (collected by Kim Pongguan a Chinese Korean scholar in 1978) circulated in Tingyan Village, Tumen City,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of China.
    Based on the discovery of “Cheong Ju Arirang” in Tingyan Village, Tumen City, Yanbian Chinese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China, this paper explores its historical origin, inheritance status and sustainable archive scheme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