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영화 문화 양상과 대중적 전유 : 잡지 『『아리랑』을 중심으로 (Aspects of film culture and popular appropriation in the 1950s : Focusing on the magazine Arirang)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12
37P 미리보기
1950년대 영화 문화 양상과 대중적 전유 : 잡지 『『아리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44권 / 219 ~ 255페이지
    · 저자명 : 한영현

    초록

    이 글에서는 1950년대 대중 오락 잡지 『아리랑』에 나타난 영화 문화 전유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1950년대 중후반 형성되기 시작했던 한국 영화 문화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영화의 제작 환경 변화와 영화 작품의 양적 증가 현상 그리고 극장 관람 문화 그리고 영화 비평 담론의 전개 양상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당시 영화 문화의 성격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영화 문화 형성 과정에서 많은 대중이 영화 문화를 충분히 향유하지 못했던 점 그리고 멜로 드라마를 중심으로 하여 대중의 관심이 집중되어 있던 상황 이로 인해 비평 담론 차원에서 영화의 질적 수준 저하 문제가 거론되었던 양상을 도출해냈다. 한편 대중 오락 잡지 『아리랑』은 당시 형성되었던 영화 문화를 대중성과 교양성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호출했다. 대중이 관람하고 싶어했던 멜로 영화 중심의 작품을 마치 영화를 보듯 생생하게 읽을거리로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스타 파워를 적극 활용하여 각종 화보와 기사를 생산해냄으로써 대중적 파급력을 확산했던 것이다. 이로써 이 잡지는 영화 문화를 적극적으로 전유하고 생산해내는 역할까지 담당했다. 이는 당시 영화 문화의 질적 저하 문제를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대중 저널리즘은 1960년대 4.19 혁명과 5.16 쿠데타로 인해 변화하여 달라졌지만 이후 전개되었던 영화 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we attempted to examine the patterns of film cultural appropriation in the popular entertainment magazine Arirang in the 1950s. To this end, we first analyzed in detail the aspects of Korean film culture that began to form in the mid-to-late 1950s. Changes in the film production environment,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film production, theater viewing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film criticism discourse were generally reviewed to identify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film culture at the time. Through this, in the process of forming film culture, many people were unable to fully enjoy film culture, and the public's attention was focused on melodramas. As a result, the issue of the decline in the quality of films was discussed at the level of critical discourse. Derived it. Meanwhile, the popular entertainment magazine Arirang called on the film culture that was formed at the time as a way to achieve the goals of popularity and sophistication. Not only did it present melodrama-centered works that the public wanted to see as vivid reading material as if watching a movie, but it also spread its influence among the public by actively utilizing its star power to produce various pictorials and articles. As a result, the magazine took on the role of actively appropriating and producing film culture. There were concerns that this would further deepen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quality of film culture at the time. Although this type of popular journalism changed due to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e May 16 Coup in the 1960s, it can be said to have served as a fundamental cause that could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film culture that developed l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