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요에서의 ʻ아리ʼ 사용 양상과 아리랑의 범주 확장 (The Meaning of Ari and The Category Expansion of Arirang through The Use Aspect)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8.06
15P 미리보기
민요에서의 ʻ아리ʼ 사용 양상과 아리랑의 범주 확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기전문화연구 / 39권 / 1호 / 113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정

    초록

    우리가 흔히 ‘아리랑’이라 부르는 노래는 ‘아리랑’을 후렴구로 부르는 노래를 지칭한다. 그러나 ‘아리랑’이라는 후렴구는 19세기 말에 등장하는 것으로그 이전의 악곡에서는 ‘아리랑’보다는 ‘아리’라는 단어가 더 자주 발견된다. 아리랑이나 아리의 의미에 대해서는 온갖 설이 난무하다. 하지만 음악학의 입장에서 ‘아리’의 대해 정리한 바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민요에서의 ‘아리’가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고, ‘아리’와 아리를 둘러싼 민요의 존재 양상을 통해 아리랑을 어떤 방향으로 전승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아리’라는 단어는 여러 지역 민요의 악곡명에서 사용된다. 각 지역의 아리에서 음악적 공통점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으나 지역의 특성에 맞는 느린속도의 악곡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 서용된 ‘아리’의 의미는 민요를 지시하는 고유 용어로서의 ‘소리’를 말하는 것이므로 ‘아리’는 민요를지칭하는 대명사라 확대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아리랑의 범주는 더 확장하여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아리랑을특정 악곡에만 한정하면 시대를 넘어서는 변화 무쌍한 아리랑 문화를 살릴수 없게 된다. 아리랑은 감정을 표현하는 민족적 고유성을 담보한 음악모국어인 ‘아리’에서 출발한 노래이며, 여전히 ‘아리’의 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아리랑이라 지칭해 왔던 것을 협의의 아리랑이라 한다면 광의적의미의 아리랑은 ‘소리’라 불리는 민요 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식 아래에 음악적 모국어로서의 민요 운동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What is often call 'arirang' is a song that has 'arirang' as the chorus.
    However, the chorus 'arirang' became prevalent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songs predating that has 'ari' more frequently. There are numerous rumors about the meaning of arirang and ari. However, ari has not been yet examined in musicolog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how 'ari' appeared in folksongs. Through the existence aspect of folksongs around 'ari', the direction to transmit arirang is discussed.
    Firstly, the word 'ari' should be looked up among the names of folksongs.
    Secondly, 'sori' is a indigenous term meaning folksongs. 'Norae' is a fixed, formal song while 'sori' is a musical language that can be selected and changed flexibly by the singer.
    Ari = sori(mucical first language that secures national identity to express emotions) = folksongs If the suggested formula is verified, the category of arirang should be reset.
    Arirang should not be confined to certain songs. Arirang is a song which originated from 'ari' which is a musical first language that secures national identity to express emotion and is still one kind of 'ari'. Therefore, what has been referred to as arirang is arirang in the narrow sense while arirang in the broad sense can include all folksongs that are called 'sori'.
    Arirang i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UNESCO. Before its designation, the efforts to widen the transmission of arirang is led by the government under the title of 'the song of Koreans'. In planning the business of arirang and transmitting arirang, we should look beyond arirang as a folksongs. With a few songs as materials and goals, it is difficult to plan a sustainable and meaningful project. There should be efforts to reflect the nature of arirang and transmit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