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산지역 아리랑의 전승 양상과 생성 국면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and Oral Transmission of Arirang in Busan)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7.02
47P 미리보기
부산지역 아리랑의 전승 양상과 생성 국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 수록지 정보 : 항도부산 / 33호 / 335 ~ 381페이지
    · 저자명 : 박경수

    초록

    부산지역 민요 조사는 일제강점기부터 이루어졌다. 조선총독부에서 주관한 민요 조사에는 부산지역 민요는 보이지 않고, 개인적인 노력을 통해 정리, 조사해서 보고한 여러 민요집들과 각종 보고 자료에서 부산지역 민요를 상당수 볼 수 있다. 그런 중에 부산 구포에서 채록한 아리랑 11편이 김소운의 『언문조선구전민요집』(1933)에 올라 있다. 한국전쟁기(1950~53) 이전에 부산지역에서 채록된 아리랑으로 유일한 자료이다. 이 아리랑은 잡가계 민요 <아리랑타령>을 이어받으면서도 ‘본조아리랑’인 <경기아리랑>에 가까웠다.
    한국전쟁기 이후에도 부산지역 민요는 꾸준히 조사, 보고되었다. 그러나 2000년 이전까지 조사된 부산지역 민요 중에는 김승찬이 해운대구 송정에서 채록한 <밀양아리랑> 6편이 전부였다. 2000년 이후 부산지역 민요 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당수의 아리랑 자료들이 채록되었다. 가창 횟수에서 <경기아리랑>이 25회로 가장 많았고, 밀양아리랑(20회) 〉진도아리랑(8회) 〉정선아리랑(6회)의 순서로 나타났다. 아리랑’의 각편 수에서는 밀양아리랑(42편) 〉경기아리랑(35편) 〉진도아리랑(34편)〉정선아리랑(20편)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런데 <경기아리랑>이 평균 가창 각편이 1.40편으로 가장 낮았고, <밀양아리랑> 2.10편, <정선아리랑> 3.33편, <진도아리랑> 4.25편으로 조사되었다. <정선아리랑>과 <진도아리랑>은 <경기아리랑>과 <밀양아리랑>에 비해 가창되는 빈도는 낮았지만, 가창자의 가창 능력은 두 아리랑의 가창자들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그리고 권역에 따라 가창되는 아리랑의 빈도에서 차이가 났다. 서부산권에서는 <진도아리랑>의 각편이 많이 불렸고, 동부산권에서는 <정선아리랑>의 각편이 많이 불렸다.
    여러 향토민요 아리랑이 부산지역에서 불리는 가운데 새로운 아리랑이 다양한 방면에서 생성되었다. 1937년에 오케이레코드사 음반에 취입된 서영신의 <동래아리랑>은 정선아리랑 곡조로 부른 신민요로, 대중의 호응을 별로 받지 못했지만, 부산의 장소성을 나름대로 반영한 아리랑이었다. 이후 하춘하의 <부산아리랑>(1973), 강해라의 <부산아리랑>(2007), 이상번의 <부산아리랑>(2009), 함명희의 <부산아리랑>(2015), 김연숙의 <부산아리랑>(2015), 황태자의 <다대포아리랑>(2016) 등이 신민요와 유행가로 이어지면서 대중적 공감을 얻고자 했다. 한편 국립부산국악원을 중심으로 부산지역 관련 아리랑을 창작, 공연하는가 하면 국악뮤지컬로 <자갈치아리랑>을 창작, 공연하면서 부산지역 아리랑 공연예술의 새로운 활로를 열었다. 아리랑은 부산지역 시인들의 시와 시조 작품의 창작에도 새로운 에너지로 작용했으나, 그 성과는 미비한 편이었다. 소리꾼 김희은과 최윤영은 서영신의 <동래아리랑>을 각자 복원하여 가창하는 한편, 김희은은 <부산아리랑>(2007)과 <신동래아리랑>(2009)을, 최윤영은 <동래온천아리랑> 등을 작사․작곡하여 가창하면서 지역사회에서 부산지역 아리랑의 새로운 가창 판도를 만들고 있다.

    영어초록

    A research on folk songs of Busan region dates back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 research ra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d not specify any folk songs originating from Busan region. However, researches ran by individuals excavated many Busan-born folk songs. Meanwhile, of them are 11 Arirang songs in 『the colloquial and the literary Joseon folk songs transmitting by word of mouth』 excavated in Gupo, Busan, which is the only documented record on Arirang in the area before the Korean War from 1950 to 1953. It is very close to the original <Gyeonggi Arira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onjo Arirang,' which is same as <Arirang taryeong>.
    Since the Korean War, researches have been run on folk songs in Busan region. All the folk songs excavated in Busan region until the year 2000 are only 6 <Milyang Arirang> songs from Songjeong, Haeundae-Gu by Kim Seung-chan. However, many more have been found ever since 2000, the researches have been run on folk songs in Busan region in earnest. <Gyeonggi Arirang> have been sung 25 times, which is the most followed in frequency by <Milyang Arirang>(20 times), <Jindo Arirang>(8 times), and <Jungsun Arirang>(6 times). There are 42 versions of <Milyang Arirang>, 35 versions of <Gyeonggi Arirang>, 34 versions of <Jindo Arirang>, and 20 versions of <Jungsun Arirang>. However, the regularity of <Gyeonggi Arirang>'s each version of songs were sung 1.40, which is the least, <Milyang Arirang> was 2.10, <Jungsun Arirang> 3.33, and <Jindo Arirang> 4.25. Although <Jungsun Arirang> and <Jindo Arirang> were sung less than <Gyeonggi Arirang> and <Milyang Arirang>, the abilities of the singers of these Arirangs were twice greater than the other two. A different area favored a different version of Arirang. In West Busan, each version of <Jindo Arirang> was sung more than the others while <Jungsun Arirang> was popular in East Busan.
    Arirang songs have diverged into many different versions in Busan region. In 1937, <Dongrae Arirang> recorded by Seo Young-shin at Okay Record was Shinminyo developed from <Jungsun Arirang>. It did not gain popularity but carried a regional identity of Busan. This has led to various versions of <Busan Arirang> by Ha Chun-hwa(1973), Kang Hae-ra(2007), Lee Sang-bun(2009), Ham Myung-hee(2015), Kim Yeon-sook(2015), and to <Dadaepo Arirang> by Hwang Tae-ja. Kim Hee-eun remade <Dongrae Arirang> recorded by Seo Young-shin and changed the dynamics of the song in Busan region by writing, composing and singing it through <Busan Arirang> in 2007 and <New Dongrae Arirang> in 2009. Furthermore, the National Busan Gugak Center runs concerts on a regular basis, and 'Busan Arirang' is being recreated in the forms of the modern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항도부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