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정래의 『아리랑 』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A Study of Placesness in Arirang written by Jo Jeong-Ra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6.03
28P 미리보기
조정래의 『아리랑 』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61권 / 61호 / 187 ~ 214페이지
    · 저자명 : 변화영

    초록

    조정래의 『아리랑 』의 공간적 배경은 김제만경평야이다. 김제만경평야에 살던 농민들은 일제의 토지수탈과 기만정책으로 어쩔 수 없이 만주와 연해주, 하와이 등지로 비극적 이산을 감행해야 했다. 만주와 연해주로 이주한 사람들은 수전농업의 경험과 기억으로 농사를 지으며 중국과 러시아 사회에 정착하였으며, 하와이의 사탕수수 노동자로 팔려간 사람들은 몸에 체득된 끈질기고 부지런한 기질로 미국 사회에 정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본 강점의 홋카이도나 남양군도로 강제 징용과 징병을 당한 수만 명의 청장년들과 처녀들은 대부분 죽거나 행방불명이 되었다. 『아리랑 』에 호명되지 않았더라면 이름 없이 죽어간 사람들 혹은 사라진 수많은 사람들, 지만복, 박용화, 복실이에 대한 기억은 망각의 지층 속에 파묻혀 버렸을 것이다. 한편, 신채호, 나철, 홍범도, 김좌진, 박영만, 김원봉 등 항일운동과 독립투쟁에 나섰던 실재인물들이 집단기억의 대상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송수익, 방대근, 방영근, 이광민과 같은 민초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희생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600여 명의 허구적 인물과 실재인물을 서로 실타래처럼 얽어 사실성을 구현하는 가운데 작가 조정래는 김제만경평야를 사회적인 공론의 장으로 확대시켜 장소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김제만경평야를 중심으로 만주, 연해주, 홋카이도, 하와이로의 공간 확장은 김제만경평야가 개인적인 장소애착에만 머무는 곳이 아니라 강제노역과 이산의 슬픔, 그리고 ‘반쪽짜리’ 해방을 기억할 수 있는 장소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영어초록

    The spatial background of Arirang is Kimje Mangeong plain. The folklore who lived in Kimje Mangeong plain forced to leave their homeland due to the land-grab and deceptive policy of Japanese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y dispersed to Manchuria, Maritime Province in Russia, Hawaii and other regions. The people who migrated in Manchuria and Maritime Province in Russia, cultivated rice with the memory and experience of their rice-producing at homeland, and finally settled down the societies of China or Russia. The others who went down the sugarcane farm in Hawaii settled down in American society with the persistent and hard-working disposition learned through their experience. But many young adults and women who were drafted as military service or comfort women almost died or were missing. If they were not mentioned in Arirang, they might be forgot without knowing their names, such as Ji Man-bog, Park Yong-hwa, and Boksili. Many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the anti-Japanese movements and struggles for independence, like Sin Chae-ho, Na Cheol, Hong Beom-do, Kim Jao-jin, Park Yeong-man, Kim Won-bong and others, could be an objective of collective memory with the help of active involvements and sacrifices of the ordinary people, like Song Su-geon, Bang Dae-geon, Bang Young-geon, Lee Gaong-min. In Arirang the writer Jo Jeong-rae tried to find out the placeness of Kimje Mangeong plain as an public place of society, by implementation of authenticity mixing fictional characters and real persons more than 600s. Space extension from Kimje Mangeong plain to Manchuria, Maritime Province in Russia, Hawaii, Hokkaido and others, means that Kimje Mangeong plain to be not only the place attachment of individuals but also the sites of memory of the forced labor, pain of separation, half-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