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양아리랑 선율의 음악적 변이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transition of Miryang Arirang melod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2.12
42P 미리보기
밀양아리랑 선율의 음악적 변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66권 / 165 ~ 206페이지
    · 저자명 : 서정매

    초록

    밀양아리랑은 일제강점기에 음반화가 이루어졌고 대중화되면서 국외에서는 항일운동가로도 활용되었다. 그런데 밀양아리랑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라선법만 있는 것이 아니라, 미선법으로의 변이가 일제강점기부터 생성되었다. 그런데 현재 국내에는 라선법만 노래되는 반면, 연변과 북한에서는 미선법으로도 노래되고 있어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선법의 양상이 언제부터 생성되고 발전되었는지 그 현황을 검토하였다.
    밀양아리랑은 1926년 김금화가 부른 라선법이 원형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인기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1931년에 미선법의 변이가 처음으로 등장하였고 이후 라선법과 미선법의 혼합된 선법이 생성되기도 했으며, 노래는 라선법이고 반주는 미선법인 연주 형태도 등장했다. 미선법은 ‘라↘솔↘미’의 완전4도 하행선율이 ‘라↘솔↘파’로 장3도로 음정이 축소되면서 최저음 미가 반음 높여진 형태로 변형된 것으로, 어사용토리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즉 라선법에서는 반경토리와 메나리토리로 이루어진 반면, 미선법은 어사용토리의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주의 형태는 장구, 가야금 등의 국악기 중심이었으나, 점점 발전하여 양악기로 반주 또는 양악기와 국악기의 혼합 반주로도 발전되었다. 심지어 1936년 장경순의 음원에서는 노래 반주는 국악기로 9/8박자의 세마치장단인데 전주와 간주는 양악기로 3/4박자로 반주하는 독특한 형태도 등장했다.
    미선법과 라선법의 이러한 두 양상은 해방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나, 한국에서는 원형인 라선법으로 고착된 반면, 중국 연변에서는 라선법보다는 변이형인 미선법이 점차 자리를 잡았고, 가사가 새롭게 생성되면서 확장된 선율의 형태로도 발전하였다. 반면에 북한은 연변과 마찬가지로 라선법과 미선법이 공존하고 있고 후렴구 선율의 다양성을 그대로 수용하였으나, 대부분 서양관현악단의 화려한 반주체계에 의해 대중가수에 의해 노래되고 있고, 가사는 대부분 2~3절 정도로만 이루어져서 한국과 연변에 비해 노랫말이 매우 한정된 형태로 나타난다.

    영어초록

    Miryang Arirang was widely recorded and populariz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was used as an anti-Japanese activist abroad. However, in Miryang Arirang, there is not only the well-known la mode, but the mi mode transition has been creat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currently only la mode is sung in Korea, but it is also sung in mi mode in Yanbian, China and North Korea.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status of when Miryang Arirang was created and developed in these two ways.
    In Miryang Arirang, la mode can be said to be the prototype as in Kim Geum-hwa's album in 1926, but mi mode first appeared in 1931 as the popularity of Miseonbeop increased. Afterwards, a mixed method of la mode and mi mode was created, and even a case where the song was la mode but the accompaniment was a mi method appeared. In Mi mode, the perfect 4th descending melody of ' la↘sol↘mi' was transformed into 'la↘sol↘fa', where the pitch was reduced in a major 3 degrees and the lowest note Mi was raised by a semitone. It was influenced by Eosayong-tori. In other words, Miryang Arirang is composed of Ban-gyeong-tori and Menari-tori in La mode, while Mi mode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Eosayong-tori.
    The form of accompaniment was initially centered on traditional instruments such as janggu and gayageum, but since then, it has been developed only with Western instruments or mixed accompaniment with Western instruments and Korean instruments. In particular, in Jang Gyeong-sun's album in 1936, the song consisted of a 9/8 time semachi jangdan with accompaniment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while the prelude and interlude were played in 3/4 time with Western instruments accompaniment.
    These two aspects of Miseonbeop and la mode continued after liberation, but in Korea, they are only sung in the original la mode. On the contrary, in Yanbian, China, the transition type mi mode was popularized rather than la mode, and the lyrics were newly created and developed into a form in which the melody was expanded. North Korea, like Yanbian in China, coexists in la mode and mi mode, and accepts the diversity of the melody of the chorus as it is. However, most of them are sung by popular singers with splendid accompaniment by Western orchestras, and the lyrics are only sung in about two verses, so the lyrics are developed in a very limited form compared to Korea and Yanbi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