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와 스토리텔링 (A Study on Arirang’s Heritage of Globalization and Storytell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2.08
45P 미리보기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와 스토리텔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권 / 2호 / 233 ~ 277페이지
    · 저자명 : 이창식

    초록

    이 글은 아리랑 원형에 대해 정신소를 고려하여, 저항-상생-대동의 삼재론을 내세웠다. 저항성은 한민족의 천명적 신화론(天)과 관련이 있다. 상생성은 한민족의 숙명적 지역론(地)과 관련이 있다. 대동성은 한민족의 인본론(人)인데, 세계적 열린 마인드다. 이 셋은 아리랑의 잠재가치로 문화콘텐츠의 원형으로 값진 측면이 있다. 한류의 저항적 상상력, 지역기반 감성의 진행형, 치유의 융합원리는 아리랑 유산의 창조적 유전인자라고 정리해 보았다. 이는 현장경험론과 앞선 아리랑 인문론을 통해 얻어낸 결과이다. 스토리텔링의 사례와 창작 방향은 기존 글을 비판하여 아리랑 초장르론을 제기해 보았다. 팩션지향 상상력 스토리텔링, 놀이지향 재미 스토리텔링, 컨버전스지향 치유 스토리텔링이 그것이다. 세부 창작 사례는 아리랑피칭워크샵-생산, 유통, 소비 동시다발의 아리랑포럼-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 방안을 위한 국책급 아리랑 문화 프로젝트가 수행되어야 한다. 아리랑 유산의 창조성 연구는 아리랑의 융합학문의 방법이 가장 적절하다. 아리랑 유산에 대한 인문융합의 학제적 연구가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 기반의 보편적 가치를 심화시켜 가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후속 인재로서 이 방면 아리랑 전문가-아리랑학당의 아리랑 유산 스토리텔러-를 집중 육성해야 한다. 체계적인 정책을 통해 아리랑의 활성화를 지속시켜 가야 한다. 아리랑 유산의 원형성을 짚으면서 세계화의 당위성과 현재성, 소통성 등을 강조하였다. 항목별 연구는 아리랑 원형과 아리랑 콘텐츠의 가치창조를 통한 인류문화의 걸작으로 학제간의 융합프로젝트가 시도되어야 한다. 아리랑 문화콘텐츠산업의 확산은 K-팝과 같은 한류의 K-아리랑의 경제력과 감성공유의 코드에 맞춰야 한다. 아리랑 원형은 한류 킬러콘텐츠의 문화상품으로 드러날 것이다.
    아리랑 유산의 다양한 국면에 대한 검증과 해석을 바탕으로 생산, 유통, 소비 등 동시다발의 스토리텔링-스토리텔링마케팅을 구축해야 한다. 북한의 집체아리랑 공연 기획과 연출을 참고하되, K-아리랑과 아리랑굿 한류의 감성 스토리텔링 접합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자생적인 향토소스(지역의 아리랑자원 활용)와 디아스포라의 한인 향수소스(역사적 아리랑자원 활용)를 통해 이야기 가공과 세계인의 감성 자극 문제를 지속적으로 진단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아리랑의 세계화 센터 설립을 거듭 제안한다. 한류에 부합하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전문적으로 한류의 성과를 비판하고 아리랑의 감성적 확산을 정립하면서 통섭의 세계화를 되짚어야 할 것이다. 중국에서 아리랑 유산을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고 해서 반대 급부로 감정적 대응으로 추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오히려 아리랑 유산의 매력에 적절한 이야기의 감성DNA 찾기가 시의적절한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아리랑 유산의 진정성은 OSMU(One source multi use)에서도 유지되어야 한다. 김구의 민족적 문화주의 실현론이 가능하다. 아리랑 스토리텔링의 창조적 진행형은 한류의 또다른 국면이다. 한류 K-아리랑의 가치창조론은 21세기 대세이다. 다만 보편적 가치 소통 문제는 앞으로의 과제다. 또 역기능의 우려에 대한 반론도 기대된다. 이 글을 통해 향후 아리랑의 문화적 다양한 국면을 쟁점화하여 명실상부한 문화강국으로의 진입을 기대한다. 필자의 관심은 과거의 아리랑 예찬에 있지 않고 오래된 미래 아리랑 활용, 곧 소통의 세계화 프로젝트에 있다. 앞서 제시한 스토리텔링 사례는 인문학자로서 창조 스토리텔러로서 제안에 머물러 있어 분명 한계가 있다.

    영어초록

    The cultural content of Arirang has been accumulated for many years which provides the base for creating Arirang values in the 21st century. Transformation of Arirang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ies is unlimited. The area of Arirang as cultural products has infinite potentials. This study explores the identity and creativity of Arirang using the cluster-method as well as Arirang’s symbolic image and its perspective as fusion-learning. Attempts to create storytelling of Arirang will continue. This requires innovative ideas an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e justifiability, the necessity and the futurity of Arirang’s cultural content were examined. Many cases about the actual procedure of creating stori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Arirang’s images, events and factions are presented in depth. Arirang is a fountainhead for various genres such as poetry, fiction, drama, movies, music, dance and art. If this change can be viewed as creation of new genre, this can constitute not only an economic power but also symbolic power of the Korean Wave stemming from the energy of traditional culture. Arirang’s original story as a storytelling source may attract new changes.
    Arirang’s history has been studied and investigated carefully and the resource has been recycled continuously. However, in spite of Arirang’s wide acceptance, the value of Arirang as a creative genetic resource has not been examined seriously. A blended intellectual research for Arirang and developing new domain of intellectual creation should be accomplished to create values. It is more than finding and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It is actually finding an alternative that suits a trend in this era, where higher value-added business is so much important. The power of Arirang is that, Arirang has targeted responding demanders, and expressions and responses for it has continuously accomplished in every era. Arirang is more than a symbol of Korean culture. It should secure a prestige as a universal cultural heritage. The hunger for creating knowledges of Arirang is sincerely required.
    Arirang’s values such as multi-communications, principles of creation and laws of transmissions, both originality and universality of Korean culture will be shown in the world. Arirang harmonizes well with 21st century global trend. To raise experts in this area, a well-organized system and supports are required. This includes policies from the government, which cover universality. To Arirang there is heal cultural heritage. The mode of life strategy and commercialization plan with leadership from the Korean wave create harmonizing Arirang heritage. he Arirang research is necessary to achieve all of these potent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