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사량의 <토성랑(土城廊)> 판본 비교 연구 (Research into Different Versions of Toseongr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08.06
27P 미리보기
김사량의 &lt;토성랑(土城廊)&gt; 판본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35호 / 39 ~ 65페이지
    · 저자명 : 곽형덕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토성랑>의 생성과정을 밝히고, 두 판본의 상이(相異)한 부분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토성랑>의 생성과정을 살펴보면, 1934년에 초고를 썼음을 알 수 있다. 그 후 <토성랑>은 『제방(堤防)』(1936.10)에 처음으로 활자화되었다. 그 후 <토성랑>은 작가 본인이 밝히고 있듯이 『문예수도(文藝首都)』(1940.2)에 대폭 개고한 후 발표하기에 이른다. 두 판본이 실린 시기와 매체의 변화는 눈여겨보아야 할 점이다.
    즉 초판본 <토성랑>(1936)이 일개 동인잡지에 실린 것과 달리 개정판(1940)의 경우는 일본문단의 인지 범위 안에 있던 『문예수도』에 게재된 것은 매우 다른 위상을 갖고 있다. <토성랑>이 『문예수도』에 게재된 시기는 김사량의 출세작 <빛속으로(光の中に)>가 제 10회 아쿠타가와상 후보작에 선정된 시기와 겹치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두 판본의 내용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단적으로 요약해 보면, 초판본에서는 신랄할 정도로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민족간의 문제(일본인과 조선인)’ 및 ‘계급간의 문제(빈민 및 소작농과 부(府)의 권력자 및 부농)’를 통해 이항대립적으로 설정해서 고발하고 있는 것과 달리, 개정판에서는 그러한 문제를 <자연재해>로 환원함으로써 <운명론적 세계관(우회적 창작법)>으로 작품세계가 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김사량 본인 스스로가 그러한 <토성랑>의 개정판이 갖는 의미를 확실히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에 있다. 그러한 ‘자기비판’과 ‘현실인식’이 없었다면 <천마(天馬)>(『문예춘추』 1940.6)와 같은 후속 작품은 탄생하지 않았을 것임에 분명하다. <토성랑> 두 판본에는 그 이후 창작된 김사량의 일본어 소설이 지닌 방향성과 명암 모두가 내장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two version of Toseongrang. Toseongrang was written 1934 and appeared in a Teibou in October 1936. A revised version of Toseongrang was printed in the February 1940 issue of Bungei syuto. Especially of interest are the publishing date and the differences in the media between the two version of Toseongrang. Teibou is a (literary) coterie magazine of Tokyo Imperial University, whereas Bungei syuto is an established magazine in the Japanese literary world to promote young upcoming authors. Two magazine have a very different position.
    The first version in Teibou exposes the severe realities of colonial Chosun. Compared to it, the second version in Bungei syuto takes a more fatalist view, portraying the problems as the aftermath of natural disaster (the overwhelming force of water). It is clear that two version of Toseongrang represent a different reality in Colonial Chosun. In this article, I take the historical background into consideration in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this differenc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Kim Sa Ryang himself well recognized that matter. He wrote about it in the postscript of his first Japanese book Hikarinonakani (Oyama – Syoten 1940.12). This is exactly why Kim Sa Ryang could go on to write works like Tenma (A Flying Horse, Bungei syunjyu 1940.6.). Tenma is a mockery of Japan’s colonialism (and especially, their suppression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these two versions of Toseongrang, the changes in Kim Sa Ryang’s writing become clear, and they show to different realities in Colonial Chos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