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세기 신라의 忠州 진출과 娘城 (A Study on Silla’s Entrance into Chungju in the 6th Century and the Nangseong fortres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03
33P 미리보기
6세기 신라의 忠州 진출과 娘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69호 / 119 ~ 151페이지
    · 저자명 : 홍성화

    초록

    본고에서는 그동안 문헌 사료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던 6세기 신라의 忠州 진출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신라의 충주 진출 루트를 통해 娘城의 소재지를 고찰해보았다.
    우선 551년 백제가 한강 유역 및 고토를 회복하기 이전 고구려와의 상쟁 상황을 보면 『日本書紀』 欽明 9년에 고구려가 공략하였다는 백제의 馬津城은 『三國史記』성왕 26년에 고구려가 濊와 공모해서 공격하였다고 하는 獨山城과 같은 지명으로 판단된다. 이 城은 신라와 북쪽 교통로로 통하는 충북 일원인 것으로 판단되며 만약 漢北이라는 기록을 전제로 한다면 忠州 인근에 비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550년 고구려와 백제가 공방을 벌이는 와중에 『三國史記』에서는 신라가 道薩城과 金峴城을 차지하게 되는데, 道薩城은 『日本書紀』의 기록을 면밀히 검토하면 東韓之地 중에 한 곳인 爾林城으로 판단되어 『三國史記』 地理志를 통해 伐嶺路에 해당하는 伊伐支縣에 비정하였으며 金峴城은 충주와 제천, 단양 사이의 지역에 비정하였다.
    551년에는 『三國史記』에 진흥왕이 竹嶺 바깥과 高峴 이내의 10군을 점령한 후 娘城에 순수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진흥왕이 앞서 신라가 경략했던 단양 지역을 순수하면서 忠州에 도달했던 루트를 보여주고 있다.
    娘城과 관련해서는 『大東地志』 충주조에서 옛 薍長城이 娘子城이라고 한 구절에 주목해야 할 것이며 신라의 진출 루트를 통해서도 娘城이 충주임을 재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tudies the process of Silla’s entry into Chungju in the 6th centur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data regarding this issue has not been properly conducted.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location of the Nangseong fortress based on Silla’s route to Chungju.
    Before Baekje restored the Han River basin and old territory in 551 AD on account of anticipating a war with Goguryeo, the Majinseong fortress was called the Doksanseong fortress, which Goguryeo attacked in the 9th year of Kinmei, Ilbonseogi and conspired with Ye in the 26th year of King Seong, Samguksagi. It is believed that this fortress was located in Chungbuk, which led to the northern transportation route used by Silla. However, based on Hanbuk’s record, it could be located near Chungju.
    In 550 AD, during Goguryeo and Baekje’s battle, Silla occupied the Dosalseong and Geumhyeonseong fortress in Samguksagi. The Dosalseong fortress was determined to be the Irimseong fortress, a part of Eastern Korea’s territory. However, when Ilbonseogi was carefully reviewed, it was ascertained based on the geography of Samguksagi that Ibeolji-Hyeon was Beolryeong-ro’s equivalent. The Geumhyeonseong fortress was located between Chungju and Jecheon, Danyang.
    There is a record from 551 AD which attests that King Jinheung was looking around the Nangseong fortress after occupying the 10th Gun outside Jukryeong and within Gohyeon in Samguksagi. The record shows the route that King Jinheung used to reach Chungju while looking around the Danyang area, which Silla previously invaded.
    Regarding the Nangseong fortress, it must be noted that the old Wanjangseong fortress was the Nangjaseong fortress in Daedongjiji. In addition, it can be reaffirmed that the Nangseong fortress was in Chungju, which was Silla’s entry rou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