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인이 느낀 아리랑의 이미지 (Arirang in Chinese Ey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06
14P 미리보기
중국인이 느낀 아리랑의 이미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6호 / 33 ~ 46페이지
    · 저자명 : 강보유

    초록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키워드로서의 아리랑이 세계 유네스코 무형문화재로 등재되면서 한국문화의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한민족의 민요 아리랑은 한국음악 대표로서의 아리랑, 한국문화 전령으로서의 아리랑, 세계문화 유산으로서의 아리랑으로 중국인에게 이미지화되고 있다.
    오늘날 중국에서 아리랑은 슬픔의 벽을 넘었다. 슬퍼도 아리랑, 기뻐도 아리랑이다. 모국에 대한 향수를 부르던 조선족만의 노래로부터 민족의 동질성 향상과 진흥을 부르고 흥과 멋이 우러나는 대중가요로 거듭났다. 중국인들이 ‘아리랑’의 친화력에 매료됨으로써 아리랑은 범아시아적인 노래로 승화될 개연성이 높아가고 있다.
    아리랑은 또 음악으로서의 민요를 넘어 문화상품으로 거듭나면서 한민족의 DNA의 성격을 띠고 있다. 중국에서 아리랑은 조선족을 상징하고 한국과 한민족을 상징하면서 아리랑은 이미 조선족 그리고 한국과 한민족을 인지하는 문화 키워드로 되었다. 중국인들은 아리랑을 통해 조선족문화와 한국문화를 이해한다. IT로 한국의 경제를 보고 있듯이 아리랑으로 한국의 문화를 읽고 있는 모습이다. 그래서 한국 하면 ‘아리랑’을 연상하고 한국인 하면 ‘아리랑 민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리랑으로 한국을 부르고 아리랑으로 한국인을 그린다.
    아리랑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되면서 세계 속의 아리랑이 됐다. 문화는 나만의 것이 아니다. 공유할수록 커지고 다듬어지고 더욱 빛난다. 세계화된 다문화사회에서 아리랑은 한국과 한국인 그리고 해외동포 사회를 넘어 아시아인, 세계인의 체질에 맞는 아리랑으로 거듭나야 한다.
    결국 중국인들은 아리랑을 한을 극복한 한국인의 아름다운 멋의 멜로디로, 한국문화 상징의 하나로, 세계인의 공동문화유산으로 인지하고 있다.
    한국 음악 가락에 묻어나는 아리랑의 선율로 한국문화의 전통과 현대와 미래를 아우르는 세계화의 길이 더 활짝 열리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A key word to ou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rirang, as recently added to UNESCO’s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lays a positive role in promoting the cultural image of Korea.
    In the eyes of Chinese people, Arirang, which originates from Korea folk-song, is now visualized as that in Korean songs, Korean culture and the world’s culture heritage in whole.
    In China nowadays, Arirang is unchained from the single emotion of pathos, and can now represent both joy and sadness. Originally a nostalgia folk-song by which the Korean people chant their pining for home land, Arirang is re-interpreted as a popular song of passion and gentleness, bearing the chance of solidarity and revitalization of a people. The Chinese people are also infatuated with the natural affinity brought by Arirang, thus paving the way for it’s ascending popularity in Asia as a whole.
    Transcending its one-fold significance of music and transforming into cultural product, Arirang is deeply branded with the characteristics, or rather, DNA of the Korean people. In China, Arirang standsasa symbol of not only the Korean people,but also the Republic of Korea and Hanguk-in. It has now become a cultural keywor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people, the Republic of Korea and Hanguk-in. As a result, Arirang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 Chinese people and the cultures of both the Korean people and the Republic of Korea. We can have a keen observation of Korean culture through Arirang, as IT industry plays the same role in our observation of Korean economy. Therefore, we tend to for man instant connection with Arirang and the Republic of Korea, and even label Hanguk-in as the Arirang people. Arirang thus becomes a common addres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Hanguk-in.
    Standing in UNESCO’s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irang is now a cultural symbol of the entire world. As culture is not to be confined within a single ethnic group, it tends to become even more solid if shared, and even more splendid after being carefully carv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at celebrates the chemistry of different cultures, Arirang has walked beyond the cultural circle of the Republic of Korean, Hanguk-in and their expatriates, and is remolded into one that caters for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different peoples.
    In final words, the Chinese people is now taking Arirang as the castaway of hatred, the melody that praises the beauty of Korea, and the cultural heritage shared by not only the Korean people, but also the world as a whole.
    With the beat and rhythm of Arirang, we expect to see a path of globalization being paved, mingling the traditions of Korean culture, ancient, modern and that of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