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족 아리랑의 무대 수용 사례 연구 - 연변조선족자치주 정암촌 ‘청주아리랑’의 공연화를중심으로 (A Case Study of Ethnic Koreans Arirang Acceptance Stag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5.08
26P 미리보기
조선족 아리랑의 무대 수용 사례 연구 - 연변조선족자치주 정암촌 ‘청주아리랑’의 공연화를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55호 / 233 ~ 258페이지
    · 저자명 : 안상경

    초록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 량수진 정암촌(亭岩村)에서 전승되고있는 ‘청주아리랑’은 중국 내 충북 사람들의 애환이 담겨 있는 전통민요로서 지역적 특수성을 띠고 있다. 그러나 시각을 확대하면, ‘청주아리랑’은 중국 내 경상도사람들, 강원도 사람들, 전라도 사람들, 나아가 가팔랐던 역사적 부침을 억척스럽게 헤쳐 나간 한민족의 애환을 느낄 수 있는 전통민요로서 한국적 보편성을 띠고 있다. 한국적 보편성을 띠고 있다는 것은 ‘나’를 포함하여 ‘나의 지역’은 물론‘나의 나라’ 사람들이 어떤 동질적인 체험과 인식을 통해 ‘아리랑’을 하나의 통일된 주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청주아리랑’은 전통과 현대 그리고 국외와 국내라는 시공을 연결할 수 있는 ‘우리 문화원형’으로서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근간에 들어, ‘우리 문화원형’이라고 하는 것들의 무대적 수용이 활발히이루어지고 있다. 전통문화를 문화콘텐츠 개발의 문화자원으로 상정하고, 현대인의 감각과 문화 정서에 부합하도록 변용시켜 재창조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것이다. 극단 늘품에서 2014년에 제작한 〈랩소디 오브 C 아리랑〉도, 이러한전통문화의 무대적 수용으로 볼 수 있다. 이 공연물은 정암촌 사람들의 집단이주와 정착, 그리고 개척 과정을 이른바 팩션(faction) 형식을 빌려 형상화한 리혜선의 『두만강의 충청도아리랑』을 저본으로 전개하고 있다. 그리고 1978년에 민요독창회를 성황리에 개최했을 만큼 조선족 최고의 민간연예인으로 인정받았던 고(故) 신철의 ‘청주아리랑’을 리메이크하여 배경음악으로 활용하고 있다.
    꾸며낸 이야기로서 픽션이 아니라 실제 사건에 의거한 논픽션으로서 정암촌사람들의 이주 내력과 삶의 애환을 조명했다고 할 수 있다. 이들 공연물을 통해, 관객은 강제이주, 광복,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집체화와 문화대혁명을 조망한다.
    또 전통문화로서 민요가 어떻게 한민족을 단결시켰으며, 어떻게 생명력을 이어갔는지 이해한다. 그리고 궁극에는 일제의 집단이주정책이 한민족의 삶을 어떻게황폐화시켰는지 체득한다. 그러나 창작소재를 단일 작품에서만 추출했기 때문에, 한편 스토리의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청주아리랑’에 대한 정암촌 사람들의 저마다 인식과 사연을 포함하는 구술사 중심의 컨텍스트에 초점을 맞추어 자료를 집적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토대로 스토리를 개발한다면, 보다 특별한 ‘우리 문화원형’으로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Cheongju Arirang is tradition in China jeongam villages(亭岩 村) has implications for regional particularities as traditional folk songs contained joys and sorrows of Chungbuk people living in China. However, if you expand the view, Cheongju Arirang is the Chinese people living in Gyeongsang-do, Gangwon-do people, Jeolla-do people, and even to live a painful lif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generality of Korea as a traditional folk song that you can feel the joys and sorrows of our people it implies. It implies that the Korea of universality means that including the own my local as well as my country and people think Arirang with a unified theme through a common experience. In this position, Cheongju Arirang can be said that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and the value that can be connected to a foreign country and that time, space Our Cultural resources.
    But recently heard Our Cultural resources are actively changing takes place in the form of a concert stage. It assumed the traditional culture as a resource for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and will work to create new sensations and emotions to match that of modern man made. Produced by extreme neulpum 〈Rhapsody of C Arirang〉 is also a drama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The theater has developed a case on the basis of 『Chungcheong Arirang of the Tumen River』, written by the Immigration and Settlement, and pioneered the process of jeongam Village People in the so-called faction format. And he received recognition in 1978 as a traditional folk song - Chinese leading singers have performed as already remake of the Cheongju Arirang of dead sincheol is used as the background music.
    This fiction as well as fiction can deureonaetdago the joys and sorrows of migration history and the life of village people jeongam as a non-fiction based on real events. Through these plays, the audience sees the Forced Migration, liberation, communism, the Cultural Revolution. And how the traditional folk culture as a stylized ethnic unity, understands how to lead a life gone. And eventually that you have to experience how devastating the lives of our nation's policy of Japan. However, since only one of the work group drew only the material of cre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imit of a sto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data center with a focus on oral history and awareness of the context including the individual stories of people jeongam Village for the Cheongju Arirang. If you develop a story based on it, there will be more special can be a useful material as our cultural resour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