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랑 연구의 성과와 과제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후 10년간을 대상으로- (Research Achievements and Research tasks on Arira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10 years after Arirang's UNESCO registration–)

7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2.12
77P 미리보기
아리랑 연구의 성과와 과제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후 10년간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66권 / 87 ~ 163페이지
    · 저자명 : 박경수

    초록

    한국의 아리랑이 유네스코에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지 2022년 현재 10주년을 맞았다. 이 글은 지난 10년 동안 진행된 아리랑에 관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아리랑 연구의 과제를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10년 동안 이루어진 아리랑에 관한 연구는 전체 200편에 이를 정도로 많았다. 아리랑에 관한 연구는 독립된 학문 영역인 아리랑학으로 명명할 수 있다.
    아리랑학은 크게 아리랑전승론과 아리랑문화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아리랑전승론은 연구의 중요 주제에 따라 다시 아리랑특질론, 아리랑미디어론, 지역아리랑론, 아리랑정보론, 아리랑정책론으로 구분되고, 아리랑문화론은 아리랑을 수용 또는 활용하는 양상에 따라 아리랑문학론, 아리랑콘텐츠론, 아리랑치유론, 아리랑교육론으로 나누어진다.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이후 아리랑의 특질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초기 아리랑 관련 기록과 악보 연구, 아리랑의 문화형질과 하위문화로서의 특성 연구, 아리랑 담론 연구, 아리랑의 대중화 과정 연구, 북한과 해외에서의 아리랑 인식에 관한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 아리랑미디어론과 관련하여, 음반이나 방송 등 미디어를 통해 확산된 아리랑의 음악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졌다. 무엇보다 지역아리랑에 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기존에 잘 알려진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는 한편, 인천아리랑, 문경새재아리랑, 영천아리랑, 공주아리랑, 아산아리랑, 청주아리랑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으며, 일제강점기에 발매된 대구아리랑과 동래아리랑에 관한 논의가 새롭게 이루어졌다. 아리랑정보론으로 아리랑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보존, 활용하기 위한 DB와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연구가 관련 성과의 축적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아리랑 정보 알고리즘을 활용한 시도적 연구도 있었다.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이후 아리랑을 문화재로 활용하거나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문화정책을 제안하는 논의들이 많았다. 이런 가운데 지역아리랑에 대한 엄격한 학문적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관요화(官謠化) 현상에 대한 비판적 견해도 나타났다. 지역아리랑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을 둔 지역문화 브랜딩에 관한 견해도 제시되었다.
    아리랑문화론의 하나로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변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한편 아리랑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에 관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지역아리랑과 연계하여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아리랑 수용 창작 음악에 관한 연구, 아리랑 활용 체조와 무용 연구, 아리랑 관련 축제 연구도 아리랑 문화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아리랑의 가창이 갖는 심리치유적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인 아리랑치유론이 새로운 연구 경향을 이루었다. 음악교육을 중심으로 아리랑의 효과적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향후 아리랑의 남북 공동 등재의 과제가 남겨져 있고, 아리랑 관련 용어의 통일적 사용을 위한 학문적 대화가 필요하다. 전자매체 등 새로운 미디어 관련 아리랑 연구가 요청되는 한편, 지역아리랑 관련 쟁점에 대한 학문적 토론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구축된 아리랑 아카이브는 실제 활용성과를 보이도록 시급히 보완되어야 하며, 아리랑문화로서의 문학과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지속,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아리랑치유론도 마찬가지이다. 아리랑교육은 음악교육뿐만 아니라 문학교육, 한국어교육, 다문화교육의 측면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As of 2022, it is the 10th anniversary of Korea's Arirang being register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in 2012.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search achievements on Arirang over the past 10 years, and to explore future research tasks for Arirang based on the results. The number of studies on Arirang that has been conducted over the past 10 years amounted to 200 in total. We can name the study of Arirang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Arirang Studies.
    Arirang studi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rirang tradition theory and Arirang culture theory. Arirang tradition theory is further divided into Arirang Policy Theory, Arirang Characteristics Theory, Arirang Media Theory, Regional Arirang Theory, and Arirang Information Theory according to important themes of the study. Arirang culture theory is divided into Arirang Literature Theory, Arirang Content Theory, Arirang Healing Theory, and Arirang Educ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pattern of accepting or utilizing Arirang. After Arirang was registered as UNESCO, there were many discussions to suggest cultural policies to utilize Arirang as cultural assets or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In the midst of this, the need for a rigorous academic discussion on regional Arirang was raised, and critical views on the phenomenon of institutions leading folk songs also appeared. Opinions on regional cultural branding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Arirang's identity were also presented. Studie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Arirang were also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tudies on records and scores related to early Arirang, research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rirang and its character as a subculture, a study on the discourse of Arirang,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or folk song of Arirang, and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irang in North Korea and abroad were conducted. In relation to Arirang Media Theory,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Arirang spread through media such as records and broadcasting. Above all, research on regional Arirang has been very active. While research on the well-known Jeongseon Arirang, Miryang Arirang, and Jindo Arirang continues, interest in Incheon Arirang, Mungyeong Saejae Arirang, Yeongcheon Arirang, Gongju Arirang, Asan Arirang, and Cheongju Arirang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lso, discussions about Daegu Arirang and Dongnae Arirang, which were relea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newly held. With the Arirang Information Theory,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DB and archive to systematically preserve and utilize Arirang-related data, and there was also an experimental study using the Arirang information algorithm.
    As one of the Arirang cultural theory, research on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literature of Arirang has been conducted, while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using Arirang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research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in connection with regional Arirang has been the mainstream. Research on creative music that embraces Arirang, research on gymnastics and dance using Arirang, and research on festivals related to Arirang are also meaningful in that they increase and expand interest in Arirang culture. Arirang Healing Theory, a study that proves th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of Arirang singing, has formed a new research trend. A study on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of Arirang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there remains a task for the joint registration of Arirang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academic dialogue is needed for the unified use of Arirang-related terms. While research on Arirang related to new media such as electronic media is requested, academic debate on regional Arirang-related issues needs to be revitalized. It should be urgently supplemented to show the actual utilization results of the Arirang archive established so far, and interest and research on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s as Arirang culture should be continued and expanded. The same is true of Arirang Healing Theory. Arira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ot only in music education, but also in literary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