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랑>의 문화적 변용에 따른 음악적 특징: 유성기 음반의 아리랑을 중심으로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Acculturation of Arirang: Based on the Sound Sources of the Short Recording (SP))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06
40P 미리보기
&lt;아리랑&gt;의 문화적 변용에 따른 음악적 특징: 유성기 음반의 아리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학학회
    · 수록지 정보 : 音.樂.學 / 21권 / 1호 / 39 ~ 78페이지
    · 저자명 : 이소영

    초록

    아리랑은 한민족을 표상하는 가장 대표적인 민요이자 노래로서 연행 및 수용되는 맥락에 따라 유형을 나누어 보면 대체로 향토민요 아리랑, 통속민요 아리랑, 신민요 아리랑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 중에서도 유성기 음반으로 유통된 통속민요 아리랑과 신민요 아리랑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통속민요 아리랑과 신민요 아리랑의 가장 큰 차이는 전자가 탁곡에 의해 파생곡을 만드는 반면, 신민요 아리랑은 창작에 의해 파생곡을 만든다는 점이다. 이렇게 파생곡을 만드는 방법의 차이는 음악적 특징의 차이와도 연관된다. 통속민요 아리랑이 지역의 토리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음악 어법으로 이루어진 반면 신민요 아리랑은 통속민요 아리랑을 모본으로 하면서도 서양음악적 요소가 많이 침투된 혼종적 양상을 보여준다. 신민요 아리랑은 아리랑의 탈전통화와 혼종화를 통해 민요계뿐만 아니라 대중가요계에서도 아리랑이 확산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통속민요 아리랑의 향토적이며 유흥적인 속성을 상업화시켰다. 이렇듯 유성기음반을 통해 확인되는 아리랑의 이중적 정체성, 즉 전통민요와 대중가요를 모두 아울렀던 아리랑의 존재 방식은 아리랑의 문화적 변용의 모습을 잘 드러내면서 오늘날까지도 지속되어 민족의 아이콘으로 자리잡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Arirang is considered the most representative folksong in Korea and Arira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folksong categories: indigenous (hyangto minyo), popular (tongsok minyo) and newly-composed or new folksong (sin minyo),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erformance culture and reception history. Among them, arirang(s) which fall into the categories of hyangto minyo and tongsok minyo are widely recognized as the "traditional folksongs"that have been performed and transmitted among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while thosecompo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re considered as sin minyo, as circulated in the stream of popular music.
    This paper focuses on the cultural aspects of the developmental stage and performance environments of arirang during the 1920s and 1930s based on in-depth research of the SP recordings. The paper further explor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sin minyo and tongsok minyo versions of arirang.
    The most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ongsok minyo and sin minyo arirang versions are found in that the former are derived and developed from the variations of the existing melodies, takgok, while the latter are created by the specific composers, jakgok, and these differences of the creative subjects affect musical content and characteristics. Tongsok minyo, an oral tradition that is created by a group of miscellaneous individuals, is based on the regional melodic idioms and stylistic tendecies, tori, while in sin minyo it is apparent that both composer and lyricist participate in creating the new song and popularized by popular singers at that time. These newly-composed songs are considered as "hybrid musical activities," influenced by both Korean indigenous melodies and Western musical elements. The sin minyo arirang have contributed to the opportunities that accelerate the popularity of arirang not only in the traditional music market but also 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By the same token, the popularization of tongsok minyo arirang has further supplied the needs of commercialization for the mass popular mark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音.樂.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