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80년대, 산업 현장과 아리랑-영화 <구로아리랑>의 사회적, 수사적 의미 (An Epoch of 1980’s and the Industrial Field’s Arirang: The Social and Metaphorical Meaning of Guro Arira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2.08
32P 미리보기
80년대, 산업 현장과 아리랑-영화 &lt;구로아리랑&gt;의 사회적, 수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권 / 2호 / 279 ~ 310페이지
    · 저자명 : 이채원

    초록

    한국인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 다양한 문화현상과 창작물로 변형 생성되어 온 아리랑은 ‘80년대’라는 시대적 배경과 만나 또 다른 텍스트를 생산하는 구심점이 되었다. 이문열의 단편소설 「구로아리랑」은 80년대라는 한국 현대사의 특수한 시대적 배경 하에서 탄생했는데, 당시 산업현장의 대명사격이었던 ‘구로’와 아리랑을 결합시켰으나, 이 때 아리랑은 제목으로서 상징성을 갖는 잠재적 기호에 불과했다. 또한 소설 「구로아리랑」에서는 변칙적인 일인칭 서술기법이 내포저자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서사장치로서 사용되었다. 소설 「구로아리랑」을 원작으로 한 동시대의 영화 <구로아리랑>은 매체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원작과는 다른 사회적 수사적 의미를 파생하며, 원작에서 상징적 잠재적 기호로서만 존재했던 아리랑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확장시켰다.
    민요 아리랑이 민초들의 끈질긴 생명력과 저항의지를 담보하고 있다면, 영화 <구로아리랑>에서 구체화 된 민중의 의미는, 한편으로는 짓밟히면서도 끝내 생존하며 저항하는 전통적인 민중의 의미를 공유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80년대의 특수성과 맞물리며 계급에 대한 각성이라는 변별적 함의를 내포한다. 여기서 아리랑이 역사적 맥락을 관통하여 그 의미가 변형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화 <구로아리랑>은 노동자들의 일상과 투쟁과정을 묘사한 최초의 제도권 영화이며, 노동자들의 각성과 변화를 담은 성장의 서사를 구축했다. 특히 여성노동자들의 각성과 성장이 전면에 부각되었는데, 계급과 젠더에 의해 이중으로 억압당하는 여성노동자들을 피해자로만 일반화하여 묘사했던 이전의 신파멜로 영화의 관습을 일정부분 차용하면서도 극복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영화 <구로아리랑>에서 아리랑과 결합한 ‘구로’는 상징적 어휘로서 사회적이며 수사적인 의미들을 파생하는데, 즉 시대를 관통하여 존재했던 ‘민중’ ‘저항’의 의미 외에도 개발독재에 의한 산업화와 계급의식, 민주화 운동 등 80년대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압축적으로 지시하는 기표로서의 함의를 가지고 있다. 즉 영화 <구로아리랑>은 소설 「구로아리랑」에서 작가의 무의식 속에 잠재된 기호로서 존재하여 제목에 제시된 아리랑의 새로운 사회적 수사적 의미망을 구축해 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Arirang motif in the 1980’s in the industrial field, concentrating on Guro Arirang. Guro Arirang, the original work and an adapted film, share symbolic meanings, which are ‘Guro, an industrial complex’ and ‘Arirang’, even though each constitutes thematic horizon and esthetics. The story is based on the epoch of 1980’s which has significant meaning in modern history of Korea. This paper deals with the network of meanings which are concentrated in the epoch’s backdrop, Guro industrial complex and the Arirang motif.
    Guro Arirang, the original work by Moon Yeoul Lee does not stand by the voice which desires democracy but contains a derision on that voice. The attitude of the implied author towards characters is revealed through a modified first person narration. In Guro Arirang, the original work’s connection with Arirang merely exists on the title, which shows that the Arirang motif exists as an archetype in the unconsciousness of Koreans. The adapted film, Guro Arirang presents another thematic horizon and aesthetics, even though the period is depicted the same as the original text. It specifies the Arirang motif and expands the territory of Arirang’s meaning. It is associated with the strong vitality of the masses.
    For a long time, Arirang has survived as the sign of incantation in Korean’s unconsciousness. It has been existing as the voice of the mass, although there are many versions. Arirang contains the meaning of a community, cooperation and union, and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the mass resistance, delight and grief. The resistance in the film, Guro Arirang is also accomplished by the solidarity of the mass. In Guro Arirang, this is connected with the epoch of 1980’s and the industrial complex, Guro, therefore expanding and transforming the meaning of Arirang. It is not something that binds people under the same ideology but is what the people have created by themselves. Arirang is the spontaneous will, soul and sympathy of the mass in Korea and it is shaped from a certain epoch and social class in the film Guro Arir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