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랑>과 할리우드 (Arirang and Hollywo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05
36P 미리보기
&lt;아리랑&gt;과 할리우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14호 / 265 ~ 300페이지
    · 저자명 : 김상민

    초록

    이 논문은 <아리랑>이 조선영화사에서 가지는 의미에 대해 재고했다. <아리랑>(나운규 감독, 1926)은 조선/한국영화사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논쟁적인 작품이다. <아리랑>은 필름이 남아있지 않아 실체를 확인할 수 없음에도, 이 영화의 민족적 성격을 두고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논쟁의 결과와는 상관없이, 이러한 이분법적 틀은 근본적으로 한계를 가진다. 왜냐하면 이러한 틀 내부에서, <아리랑>은 민족영화로 환원될 수 있는가 또는 없는가의 문제로서만 사유되고, <아리랑>이 조선영화사에 출현하게 된 배경이나 이 영화가 초래한 변화는 쉽게 간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아리랑>이 조선영화사에서 가지는 변별적 특징의 하나로 할리우드 영화의 수용 문제를 적극 검토했다. 식민지 조선영화사에서 <아리랑>과 관련한 할리우드 영화의 영향은 주로 활극을 중심으로 한 연속영화를 중심으로 파악되어 왔다. 그러나 당시의 영화담론을 보면, 할리우드 영화는 단순히 대중영화로만 수용되지는 않았다. <아리랑>이 참조했다고 여겨지는 영화들의 상당수는 일본영화나 할리우드의 연속 영화들보다 문화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실제로 나운규가 제작 모델로 밝힌 영화들은 할리우드 장편영화들로, 이 영화들은 1920년대 중반의 담론 상에서 ‘고급’영화로 언급되며 조선에서의 영화매체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아리랑>역시 할리우드 장편영화를 학습함으로써 조선영화에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장편 할리우드 영화가 제공한 새로운 시각적 언어는 동시대 조선을 담론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었다. 물론 변사가 개입하는 조선의 특수한 상영방식에 대한 의존은 여전했지만, 영화 자체가 영화의 모델이 됨으로써 영화의 이미지는 고전소설의 세계에서 벗어나 비로소 동시대 조선을 시각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전환은 할리우드 장편 영화가 전해준 시각적 내레이션이 신소설과 강담(변사)이 가진 서사적 명징성을 압도한 뒤에야 가능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film Arirang in Chosun cinematic history. Arirang (directed by Na Woon-kyu, 1926) is the most important and controversial work in Chosun/Korean cinematic history. Although the film reel for Arirang has never been found and its existence cannot be verified, there survive appraisals lauding it as the best piece in all of Chosun’s cinematic history, and even after independence the film has constantly held a place of mention as a canonical piece of minjok cinema. But after opposing opinions were presented about these views, the flow of research on Arirang took on a new phase. Cho Hee-moon said that the director of Arirang was not Na Woon-kyu but a Japanese person, the film was an entertainment-oriented popular film without much relevance to the minjok, and the passage of time had exaggerated its meaning. Thus the mythology surrounding the movie Arirang, which had till then been maintained in a relatively solid form, encountered a crisis. A long fight on the discourse level had begun, surrounding a film whose existence could not be confirmed.
    But regardless of the results of these debates, such dichotomizing frameworks of opposition fundamentally comprise limitations. This is because within such frameworks, Arirang is only considered in terms of whether it can or cannot be considered a minjok film, and its background and the changes it wrought in Chosun cinematic history can easily be overlooked.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how Arirang embraced Hollywood film and how that was the movie’s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Hollywood movies related to Arirang were usually understood as low-class popular art such as serial films. But a look at the cinema-related discourse of the time reveals that Hollywood films were not considered merely to have the simple appeal of lower-class genres. A great number of the movies that Arirang is considered to have drawn on were on a higher cultural plane than Japanese movies or Hollywood serial films. Indeed, the movies that Na Woon-kyu revealed to have been models for his work are Hollywood feature films, considered ‘high-class’ movies in the discourse of the mid 1920s. According to research on the Chosun movie scene of this period, the mid-1920s was a period in which the focus shifted from serial films to feature films.
    The new language of visual narration which Hollywood feature films provided allowed for a method of visually narrating the Chosun of that era. Of course reliance on unique screening methods such as the intervention of the byon-sa narrator persisted, but when the Chosun films themselves became models for future films, the images in the movies became a visual language, gaining significance in their own right. Although still imperfect, when cinematic images became a means for direct communication, films were able to discourse on contemporary Chosun, without being hampered by the original works of literature. Arirang was the first Chosun film that made all this pos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