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드워드 콘즈와 람버트 슈미트하우젠의불교연구방법론 (A Study on the Research Methods of Edward Conze and Lambert Schmithause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6.06
31P 미리보기
에드워드 콘즈와 람버트 슈미트하우젠의불교연구방법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8호 / 119 ~ 149페이지
    · 저자명 : 이병욱

    초록

    이 글에서는 콘즈와 슈미트하우젠의 학문세계의 일부분을 소개하고 그 내용을 통해서 이 둘의 연구방법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콘즈의『불교: 그 핵심과 발전』(『한글세대를 위한 불교』로 번역됨)의 2장과 3장의 일부내용을 살펴본다. 이 책의 2장 ‘승가불교’에서는 승가생활의 핵심적 덕목으로청빈, 독신, 불살생을 거론하고, 아울러 각각의 항목에서 그 주제와 어긋나는여러 사례를 시대와 나라를 넘나들면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의 3장‘대중의 불교’의 일부내용에서는 세속의 군주가 불교를 보호한 이유에 대해검토한다. 그 가운데에서 콘즈는 역시 시대와 나라를 넘나들면서 여러 사례를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콘즈의 거시적 안목을 읽을 수 있다. 그렇지만, 콘즈가한국불교에 대해 언급한 내용에 틀린 부분이 있다. 3장에서는 슈미트하우젠의 주저 『알라야식』에 소개된 연구방법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그의두 편의 논문을 검토한다. 『알라야식』에서는 문헌학의 연구 성과에 근거를두고 개념의 차이에 주목하고, 그 개념의 변화과정을 섬세하게 검토하고 있다. 이것을 선행연구에서는 ‘용어법의 분석에 의한 사상사적 해명’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의 논문 「불교적 전통에서 본 자연의 가치」에서는 개념의 차이에 주목해서 논의를 펼쳐가고 있고, 「불살생의 기원에 대한 고찰」에서는 개념의 변화과정을 섬세하게 검토하고 있다. 필자는 「불교적 전통에서 본 자연의가치」의 주장 속에 보편타당하지 않은 논법이 있다고 주장하고자 하며, 또 「불살생의 기원에 대한 고찰」의 내용도 개설서에 실릴 만큼 탄탄한 논증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이 두 논문에서 발휘된 그의 섬세한 분석은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 이 두 사람의 연구방법이 한국불교학계에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가? 콘즈의 거시적 안목을 수용하고, 동시에 슈미트하우젠의 섬세한 분석도 겸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둘을 겸비하는것이 학자의 이상적 모습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will introduce one aspect of scholarly work of Edward Conze and Lambert Schmithausen and examine their methods of research.
    In Chapter 2 I study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of Chapter 2 and Chapter 3. In Chapter 2 of Conze’s book, the chapter on monastic Buddhism, he says that poverty, celibacy and inoffensiveness are the essentials of monastic life, and he also presents many examples to be contrary to each subject through many periods and countries. In Chapter 3 on popular Buddhism, Conze explains why kings protected Buddhism, and he presents many examples from many eras and countries. In this point of his presenting many examples, we can see all inclusive eye of Conze. But he is mistaken in what he says about Korean Buddhism. In Chapter 3 of this paper, I studied the research methods of Schmithausen used in writing Ālayavijñāna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of other person, and I studied two of his papers. In Ālayavijñāna, Schmithausen keeps an eye on the difference of conception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duct of philology, and he studies the change of conception delicately.
    This is called the explanation of thought history by analyzing terminology in the previous research. Schmithausen keeps an eye on the difference of conception in his paper, “The Value of Nature in Buddhism Tradition”.
    And in “A Study on the Origin of Asiṃsā”, he studies the change of conception delicately. I would like to say that there is the reasoning not to be universal valid in “The Value of Nature in Buddhism Tradition”.
    And I will say that the content of “A Study on the Origin of Asiṃsā” is not strong demonstration enough to be recorded the outline book. But I think that we can appreciate Schmithausen’s delicate analysis in two papers high. Then what do the research methods of Conze and Schmithausen suggest in 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We can accept Conze’s all-inclusive eye and Schmithausen’s delicate analysis. I think that to have both all-inclusive eye and delicate analysis is the ideal scho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