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를 활용한 플로랄 디자인 제안에 관한 작품 연구 (A Study on the Proposal of Floral Design Using Color Images reminiscent of Urban Agriculture and Smart Farm)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3.02
12P 미리보기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를 활용한 플로랄 디자인 제안에 관한 작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48권 / 48호 / 39 ~ 50페이지
    · 저자명 : 이사무엘, 노경란, 유금명, 전영희, 서지현, 김유선

    초록

    전세계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각각의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구축하고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환경구성과 마케팅 전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색채이미지 데이터 구성을 위해 20~30대 디자인전공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단어와 색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농업에 연상되는 단어는 스마트팜 23%, 텃밭 19%, 환경 1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는 자동화 38%, 식물공장 15%, 친환경 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각 연상되는 단어를 포탈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한 이미지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도시농업에서 연상되는 단어(스마트팜, 환경, 텃밭)에서 Green Yellow, Green, Yellow Red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톤(tone)은 white톤이 가장 많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자동화, 친환경, 식물공장)에서 Green, Blue, White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톤(tone)은 deep톤과 white톤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환경, 이미지, 연상색채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 이미지는 같은 계열의 색상은 맞지만, 도시농업은 좀 더 연하고, 스마트팜은 도시농업보다 조금 짙은 색이 연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하려고 할때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이미지를 두각시킬 수 있으며 톤(tone)은 vivid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스마트팜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 할 때는 Green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톤(tone)은 deep톤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플로랄 디자인 작품을 제안하였으며,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분석 데이터와 이를 활용한 사례 제안을 통해 각 분야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사업과 교육의 운영 시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net function of the flower not only gives a person a sense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ut also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physical health through direct cultiva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cultural level, the higher the consumption of flowers, and in some developed countries, flower consumption has already become a very natural phenomenon in daily life. While there is a consumption culture for decoration that suits each person's taste, in Korea, flower consumption per person is less than 120,000 won, which is very small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according to the 2018 statistics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reality is that many view flower products only as luxury goods or consumer goods or gifts that are used without recognizing them as cultural product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e and quickly wither away. In addition,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Illegal Solicitation and Money and Collection" and COVID-19, the decrease in demand for flowers used in graduation ceremonies and various events, such as collection bans, have dealt a heavy blow to the flower industry and plunged into a long-term recessi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can be described as a connected network and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to exchange opinions on common interests with others. For companies, not only securing customers but also creating economic value as a new revenue model such as advertising and social ripple effects are drawing keen attention, and are recognized as a new marketing channel.
    In line with this trend, companies are strategically participating in SNS to promote and market their products and brands. When new products are released through SNS such as Instagram and Facebook, which can communicate with customers in real time, companies are establishing network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by promoting new product information, brand news, and event information. In particular, SNS is known t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qualitative limitations of information on empirical attributes that have been known after using goods and services unlike in the past. Therefore, flower shops also use SNS as a marketing tool to survive only when changes are mad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the times. In this study, we will provide flower-related companies with effective strategies and basic data to promote sales and operating profit of flower shops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loral design works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 were proposed. Color analysis data associated with urban agriculture and smart farms through case suggestions using th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used in the operation of various projects and education in each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