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파스토랄, 자연의 변화와 위기에 따른 전원교회의 정체성에 대한 제언 (Suggestions for the Identity of the Junwon Church in Korea: Under the Changes and Crisis of the Nature and Pastoral)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4.12
31P 미리보기
파스토랄, 자연의 변화와 위기에 따른 전원교회의 정체성에 대한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67호 / 248 ~ 278페이지
    · 저자명 : 황원숙

    초록

    파스토랄(Pastoral)은 목가시의 전승을 말한다. 목가시의 전승은 성경의 양과 목자라는 비유와 만나며 서양에서는 그리스도교적으로 낙원, 낙원의 삶이란 뜻으로 쓰여 왔다. 파스토랄의 전승은 한국에 들어오면서 전원, 목회적이라는 두 단어로 번역되었다. 전원이란 말은 동양의 전승에서 이상적인 자연이라는 의미와 도시와 세속을 떠난다는 도피 장소라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전원교회라는 형식의 교회가 생겨났고 그 교회들은 자연에서의 휴식을 목회적 목표로 삼고 있다.
    세계적인 산업화와 개발은 자연과 파스토랄이란 의미를 위태롭게 한다. 파스토랄의 전승은 파괴된 자연과 그것을 주동하는 사고와 권력들에 대처하는 형식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자연 위에 군림하는 인간의 힘에 의해 자연의 생태조차 위기에 처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전원교회는 생태계의 파괴를 주동하는 정치적, 경제적 힘과 논리에 대응하는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더 나아가서 전원교회의 목회는 그리스도교적 이상향을 추구하면서 영적인 치유를 위한 목회라는 주체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원교회의 정체성은 공간적 개념을 넘어 자연과 영성의 회복을 가능하게 하며, 선교의 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Pastoral is a genre in literature, which deals with the idyllic life since Greek Roman age in western culture. This is a classical literary genre and the way of life described in the tradition. This tradition met with the idyllic elements of the Bible and the pastoralism began to mean the earthly paradise and leadership in the Christian church. When this tradition came into Korea the word pastoral is translated into two words: junwon(전원[田園])and mokhoe(목회[牧會]: pastoral work in churches).
    The first word has its own tradition in Asian tradi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erfect nature, or natural paradise. It also means the life in the countryside far from the central political positions. The second translation is still used only related with the Christian church and its clerical leadership.
    Recently in Korea, we have churches called themselves "Junwon church", which are located in the countryside. The vocabularies used in that churches are related with the pastoral tradition of the western culture. They can be the places of rest and offer healthy life styles like organic farming and the ways of eating and living, which is very limited and can be offered by the non-christian organizations as well. The identity of the junwon churches can be very limited and blurred with the secular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s well.
    One of the major challenges for them is the pastoral tradition itself is changed facing danger in the industrial age where nature is ravaged by human beings even the most natural areas in the Earth. Junwon churches cannot be just churches in the countryside anymore. They need to define themselves not just by the environment they are situated. The clerical pastoral leaders should show the congregation what they should do instead of just escape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junwon churches in the rural area, where they do not know how long could it be rural in the future.
    They should recognize that junwon as in traditional meaning cannot be naturally continued in this age. If they can identify themselves as churches which confront the danger of the eco-system of the Earth to give Christian spiritual healing wherever they are, their pastoral leadership can be an international missionary model. This model will recreate the original creative order of the God-created nature. Therefore, this will be the model for the even the most plundered natural places and give them hope in Christian church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