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추모(醜貌) 연구* -<유씨삼대록>의 순씨와 <임씨삼대록>의 목지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Ugliness in Woman Characters in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Chosun Dynasty -centering on Sunssi of Yussisamdaerok and Mokjiran of Imssisamdaerok-)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09.06
36P 미리보기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추모(醜貌) 연구* -&lt;유씨삼대록&gt;의 순씨와 &lt;임씨삼대록&gt;의 목지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18호 / 483 ~ 518페이지
    · 저자명 : 조혜란

    초록

    이 논문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서 추모를 지닌 여성 인물에 대한 연구로, 작품 속에서 그녀들의 추모가 의미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고전소설의 주인공들은 대개 미남 미녀들이다. 남녀를 막론하고 추한 용모를 지닌 인물은 드물다. 그런데 낙선재에 소장되어 있던 가문소설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고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고전소설의 다른 하위장르들에 비해 가문소설의 경우에는 추모를 지닌 여성 인물들이 종종 등장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고전소설의 경우 미추(美醜)의 문제가 유교적 색덕(色德) 담론과 관련하여 인물 설정이 되는데 비해, 이들 작품에 등장하는 추모는 색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어 흥미롭다. 본고는 가문소설 중에서도 우선 그 하위 장르인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로 대상을 한정하고, 그 중에서도 <유씨삼대록>의 순씨와 <임씨삼대록>의 목지란을 대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연구 결과, 이 논문에서 도출된 결론은 가문소설 전체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순씨와 목지란은 둘 다 너무 못 생긴 용모를 지녔는데 순씨의 경우는 큰 키와 세련되지 못한 매너가 문제였다면 목지란의 경우는 인간보다는 짐승이나 야차 같은 이미지가 강조되었다. 추모에 대한 이 같은 차별적 묘사는 인물들의 삶에도 연관되어 순씨는 자식을 낳고 결국 남편과 시집에 의해 받아들여지는데 비해 목지란은 남편과 시집 구성원들에게 가문의 일원으로 인정받지 못한 채 타살당하고 만다. 본고는 인물 분석을 통해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서 추모는 시집 온 여성을 타자화시키는 계기로 작동하였음을 밝혔다. 여성의 추모는 주로 혼인을 둘러싸고 문제가 되는데, 시집 구성원들의 시선에 포착되면서 시집 문화에 동질화될 수 있을지 아니면 차별과 배제의 기제로 작동할 것인지가 그려진다. 순씨와 목씨는 시집에 비해 친정이 보잘 것 없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이 경우 추모는 문화자본의 결핍으로 이해 가능하다. 이들 작품군에서 추모형 여성이 종종 등장한다는 사실은 작품의 서술자는 물론이고 향유층 역시 그 서사를 즐겼다는 가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가문소설의 향유층 역시 이 타자화에 암묵적으로 동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s to consider the meaning of ugliness in woman characters in three-generation stories, questioning why those ugly women are often found in those novels. The man and woman protagonists of classical novels are usually portrayed as beautiful. Ugly characters are rarely found there regardless of their sex. On the other hand, as we became to know the presence of family novels which have been long kept in Naksunjae and started to read them, we could see that interestingly, some ugly woman characters appeared in three-generation stories unlike in other family novels. While in other classical novels, beauty and ugliness in woman characters is often related with the Confucian discourse of womanly beauty and virtue, in these three-generation stories, beauty and ugliness is described in other context. In order to explore its meaning, this study analyzed two women characters, Sunssi of Yussisamdaerok, and Mokjiran of Imssisamdaerok.
    Sunssi and Mokjiran were commonly portrayed as distinctively ugly women. But Mokjiran was more severely described than Sunssi. While Sunssi was unattractive in her tall height and an awkward manner, Mokjiran looked like almost animals. This distinction between them are fatally linked to their destiny. While Sunssi who had given birth to children was finally accepted by her husband and her in-laws, Mokjiran ended up being killed without any recognition from her husband and her in-laws. Considering these two woman characters came from poor family, their ugly appearance can be seen to demonstrate their lack of cultural capital. By analyzing the characterization of women in Yussisamdaerok and Imssisamdaerok, I found that in three-generation stories, the ugly appearance of women characters cause women to be treated as others in their husbands' family. The issue of beauty and ugliness in women became to be under focus around their marriage. At the moment when their in-laws came to know whether the brides are beautiful or not, it is decided whether the brides can be accepted in that household or not. The fact that ugly women characters are often found in those family novels shows that not only a narrator of a family novel, but also reading public of this kind of novel enjoyed novels which include ugly woman characters. This situation suggests that reading public of family novels also share the assumption which tended to treat ugly women as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