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쇄미록』에 투영된 임진란에 대한 책무의식과 감정의 파고 (The Sense of Commitment and The Emotional Wave Height to Imjin War Shown throughout 『Shaemirok』)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1.08
37P 미리보기
『쇄미록』에 투영된 임진란에 대한 책무의식과 감정의 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54권 / 217 ~ 253페이지
    · 저자명 : 이유진

    초록

    壬辰亂(1592-1598)은 丁卯亂, 丙子亂으로 이어진 고통과 치욕의 유발점으로, 국내 전후담론사에서 가장 중대한 위상에 놓여있다고 평가받는다. 임진란은 전란 및 외교사, 의병운동, 사회문화사 등 다채로운 역사적 시각을 통해 쉼 없이 복원, 재해석되었으며, 그 연구의 폭과 깊이를 일일이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확장되어왔다. 이렇듯 연구가 다채로운 분야로 확장될 수 있었던 토대에는 일종의 ‘責務意識’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고는 그간 임진란 연구가 복합적이고도 폭넓은 연구영역 안에서 다양한 성취를 이루어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임진란의 역사적 국면에 대해 국가, 조직, 개인이 각각의 책무를 어떻게 인식하고 완수했는가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실록』보다는 임진란의 개별적 체험을 담아낸 문학작품에 이러한 관점이 다채롭게 투영되었을 것이라 상정하고, 조선중기 사대부 오희문의 『쇄미록』을 분석하였다. 『쇄미록』은 이념적 해석으로부터 자유로운 전란의 실체에 대한 증언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전란의 참상을 온몸으로 실감하면서, 왕실의 안위를 걱정하는 것부터 냉소와 비판적 시선을 노출하는 등 다양한 시각과 감정의 파고가 확인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mjin War has been regarded as some sort of trigger point caused a long time of humiliation and suffering and stretched to the First Manchu Invasion in 1627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in 1636, and as the most critical significant status in Korean postwar discourses. It has been reinterpreted and reevaluated through many different eyes on the prism of war and foreign policy, volunteer soldier movement to defeat Japanese invaders and social cultural history. The breadth and depth of its researches have been expanded beyond assessment, which could be assumed there must be some strong national debt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them.
    The hidden side of the history of Imjin War research, there lie deep introspection and the responsibility and strong competitive spirit getting abreast of Japanese academic achievements for it. It should be overlooked not only as serious aspect in the Korean history but also world-history perspective for the comprehensive and detailed extensive study. Why does this consciousness of duty still exist after about 400 years went on? It can be explained they have possibly looked for much more further interpretation than simple and clear diagnosis that it’s just a teleological view of political phenomenon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historical memories and social ideology.
    The intelligentsia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had criticized sharply the bad powerful of the society in the course of alternative investigation opposing western powers and Japanese imperialism. And then they summoned historical loyal heroes like ‘Eulji Mundeok’, ‘Gang Gamchan’, ‘Yi Sunshin’ as an alternative to ‘the bad powerful’ The latest research articles of Imjin War have concentrated on the individual documents and private literature and translated the full materials beyond the discourse perspective. The documents related Imjin War is again in the spotlight. 『Jingbirok』 and 『Nanjung Ilgi』 have been published several times. The true character of Imjin War has been revealed by various views discovered through 『Godaeilrok』 by Jung Kyeongun, 『Hyangbyeong Ilgi』 admired the activities of the voluntary troops in Gimhae and northern Yeongnam region, 『Shaemirok』 by Oh Huimun, 『Ganyangrok』 by Khang Hang and copy of Chinese characters 『Imjinrok』.
    These private literature has positive connotation of historical narrative, characters and social life not taken good note of the fact or omitted in the Annals. So it can be developed further tied with them together lengthwise and breadthwise to identify and reinforce the substantive nature and more prospect of Imjin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