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양잡지 『농민생활』 문예란과 시문학의 메타모포시스 (The Literary Columns of the Pyongyang Magazine "Farming Life" and Metamorphosis in Poetic Literatur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평양잡지 『농민생활』 문예란과 시문학의 메타모포시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언어문학 / 44호 / 217 ~ 243페이지
    · 저자명 : 전영주

    초록

    비문학잡지인 『농민생활』 은 근대전환기 ‘농촌문제잡지’이자 ‘농민운동잡지’ 라 할 수 있다. 본고는 1929년부터 1945년까지 약 17년간 평양에서 발행된『농민생활』 문예란의 문학작품을 분류, 검토하고 그 가운데에 시문학을 중심으로 메타모포시스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농민생활』 은 ‘농민’의 근대적 인식 및 ‘농민생활’ 근대화를 표방하며 농업개량, 농민계몽 등 메타모포시스(탈바꿈) 양상이라 할 만한 서구적인 개념의 ‘농민’인식과 ‘농민생활’에 필요한 실용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이에『농민생활』 문예란에 반영된 시문학의 메타모포시스양상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농민생활』 은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시문학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있다. <전원문예란>, <문예란>, <시단>, <동시>, <동요>로 구분하여 작품의 세부장르와 특징을 명기한 후에 해당하는 시작품을 나누어 싣고 있다. 이 점은 서구적 장르인식이 일정부분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농민생활』 에 나타나는 시편들은 농민의 일상적인 생활과 농촌 근대화를 모색하는 구체적인 시들이 상당수 포함된다. 신교육을 표방한 서양 선교사에의해 발간된 평양잡지이기에 『농민생활』 에 반영된 농민문학은 메타모포시스(탈바꿈) 그 자체인 것이다. 즉, 『농민생활』 에는 1920-30년대에 주로 언급된 무산자 농민계급의 카프계열 농민문학과는 다른 기독교계 농민문학의 양상이 드러난다.
    셋째, 『농민생활』 에는 민병균, 김조규, 김현승, 장수철 등 전문 시인들의 시가 상당수 보이는데 이들은 후일 개인 시집을 발간하면서 『농민생활』 수록시를제외했다. 그러므로 『농민생활』 문예란의 시는 발굴의 작품으로써 문학사적인의의가 높다. 넷째, 시적 표현에 있어서 『농민생활』 문예란의 시작품은 서구적기독교계 농민생활에서 볼 수 있는 근대적 농촌의 풍경이 묘사되어 나타난다. 이또한 농촌의 서구화와 근대화의 장면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농민시의 메타모포시스(탈바꿈)라 할 만하다.

    영어초록

    The non-literary magazine, “Farming Life” is a magazine for rural affair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and a magazine for agrarian movement. This paper reviewed literary works in the “Farming Life” literary section published in Pyongyang for 17 years from 1929 to 1945 and considered metamorphosis centered on poetry among them. “Farming Life” published around a missionary (professor) in agriculture at Soongsil University, sought to convey practical information to the public on the aspect of metamorphosis, such as agricultural improvement and peasant enlightenment, in sufficient terms as a departure from metamorphosis.
    The characteristics and metamorphosis aspects of poetic literature reflected in the literature section of the “farming life” identified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rming Life” gives poetry a lot of space compared to other literary genres. In the case of poetry, the detailed gen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re specifi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rural literature", "literature", "Sidan", "Dongsi", and "Dongyo". This is a reflection of Western-centered genre. Second, the poems reflected in the “Farming Life” include a number of specific poems seeking the daily life of farmers and modernization of rural areas. As the magazine was published by a missionary with new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peasant literature, which is expressed by “Farming Life” is directed toward metamorphosis.
    The "farming life" reveals a different aspect of Christian peasant literature from those of the proletariat, which was mainly mentioned in the 1920s and 1930s. Third, “Farming Life” contains poems by poets such as Min Byung-kyun, Kim Jo-kyu, Kim Hyun-seung and Jang Soo-chul, who excluded poems published in “Farming Life” while publishing a personal collection of poems. It is possible that the works were excluded due to problems in the movement of residence or securing data, perhaps because the poems published in “Farming Life” have been reduced. Many poems as a means of excavation are included and many works of high literary significance should be discussed together. Fourth, in poetic expression, the poem of “Farming Life” reveals an unusual rural landscape as seen in Western Christian peasant life. Through the analysis of works, the metamorphosis and modernization of rural areas are witne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