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란 시기 항왜의 투항 배경과 역할 (The Background of Hangwae’s Surrender and their Roles during the Imjin Wa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03
31P 미리보기
임진란 시기 항왜의 투항 배경과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6호 / 319 ~ 349페이지
    · 저자명 : 한문종

    초록

    임진란 중에 조선에 투항한 倭兵을 降倭라 칭하였다. 항왜의 발생배경은 식량의 부족, 과중한 노역과 혹독한 추위로 인한 병사들의 고통, 오랜 전쟁으로 인한 전쟁 기피 등이 조선의 항왜 우대책과 결부되어 있었다. 임진란 시기의 항왜는 1593년 5월경에 처음으로 나타났으며, 1594년 明軍의 철수를 계기로 조선이 적극적으로 항왜를 유치하면서 급증하였다. 그 후 明․日간의 강화교섭이 진행되면서 왜병의 투항이 주춤하였으나, 丁酉再亂이 일어나면서 다시 증가하였다. 한편, 임진란 시기 항왜의 수는 최대 1만명에서 최소 1천명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明軍에 투항한 항왜는 遼東으로 압송되었으며, 이러한 前例에 따라 조선군에 투항해 온 항왜도 요동으로 압송하였다. 그러나 명의 주력부대가 철수하면서 항왜를 요동으로 보내지 않고 경상도 내륙지방에 分置하였다. 그 후 각 지방의 식량문제와 분란의 발생을 우려하여 항왜를 함경도․황해도․강원도․충청도 등지의 군현이나 섬으로 이송하고 거주지 밖으로의 출입을 제한하였다. 한편 조선에서는 항왜 중에서 총검의 제조나 화약의 제조법, 그리고 검술이 뛰어난 자에게 官職을 제수하여 서울에 거주하게 하고, 그 나머지는 내륙지방 또는 兩界地方에 移置하였다. 그러나 양계지방에서는 항왜의 수가 많아지자 지방 재정의 부족을 우려하여 항왜의 入送을 기피하였다.
    임진란 시기의 항왜는 일본군과의 싸움에 참여하는 한편 胡狄을 방어하는데도 활용되었다. 또한 이들은 조총의 제조와 사용법, 화약의 제조법 등의 기술을 조선에 전수해주었다. 이는 조선의 무기제조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나아가 임진란을 종식시키는데도 일조하였다. 임진란 시기의 항왜 중에는 조선의 관직을 제수받은 수직왜인이 있었다. 그 중에는 조선으로부터 성과 이름을 하사받은 자도 있었으며, 임진란이 끝난 이후 일본으로 돌아가 다시 수직왜인이 되어 조선에 도항한 자들도 있었다.

    영어초록

    There were many Japanese soldiers surrendered to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Imjin war, who were called ‘hangwae.’ The outbreak of hangwae could be traced to conciliatory and favourable measures toward Japanese pirates in the early times of the dynasty. But, along with the warm reception policy, it came directly from the phenomenon that Japanese soldiers suffered from a food shortage, various hard works and bitter cold, thus they tried to evade from the lingering war.
    In case of the Imjin war, hangwae appeared from May 1593 and rapidly increased as the government began to take a positive attitude to attract hangwae after the withdrawal of the Ming troops. Afterwards the number of hangwae began to slow down when Ming and Japan carried on peace negotiations, but it increased steeply with the second invasion of the Japanese army in 1597. Although how many hangwae surrendered to Joseon during the seven-year struggle was not clear, the number was estimated up to 10,000 or at least 1,000.
    In May 1593 hangwae surrendered to the Ming army were deported to the Liao-tung region of Manchuria. And following the footsteps, even hangwae surrendered to the Joseon army were taken to the same place. But as the main contingent of Ming left for the homeland, the Joseon government did not send hangwae to Liao-tung, but scattered them into inland areas of Gyeongsang Province. Since then, in order to provide against a food shortage and any disturbance of the areas, they had been deported to rural areas and islands of Hamgyeong, Hwanghae, Gangwon and Chungcheong Province. And access to the outsides of their residences had been restricted to them.
    Meanwhile, the government allowed some professional hangwae to join the civil service and to live in Seoul. They were good at making bayonets or gunpowder, and had excellent abilities as master swordsmen. Other hangwae were taken to inland areas and yanggye(namely, western and eastern borders of the country). But as the number of hangwae in yanggye increased, the small offices worried about their financial shortage and hesitated to receive hangwae.
    Hangwae engaged in the battles with the Japanese army, and was also recruited to defense against the attack from north barbarians during the Imjin war. And hangwae passed on their knowledge about the making of firelocks and gunpowder and their usages to Joseon. As a result, Joseon came to have many firelock technicians far superior to the Japanese by the year of 1597.
    19 among hangwae of the Imjin war received official posts from the Joseon government. Some of them were granted full names. Others went to Japan after the war, and again sailed over to Joseon as sujigwaein(namely, the Japanese granted offices from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