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인 자본주의’적 징후와 공포의 정동― 영화 <목격자>, <도어락>을 중심으로 ― (The Symptoms of ‘Cannibal capitalism’ and Affect of fear: Focusing on the movies and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08
27P 미리보기
‘식인 자본주의’적 징후와 공포의 정동― 영화 &lt;목격자&gt;, &lt;도어락&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29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김지연

    초록

    본 논문에서는 두 편의 영화 <목격자>(2018), <도어락>(2018)을 통해 도시인들의 일상과 개인적인 장소까지 틈입하는 한국 사회의 새로운 공포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바우만은 대도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불안과 두려움이 일상의 어느 순간 공포가 된다고 지적을 하였고, 프레이저는 식인 자본주의적 시스템이 빚어낸 비극들이 항상적 공포가 되어 일상에서 상존하게 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 연구는 바우만과 프레이저가 지적한 이러한 징후들을 두 영화를 사례로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한국 사회의 주요한 공포의 근원이 금융화된 자본주의 체제와 그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영화 <목격자>의 내러티브를 이끌어가는 동력과 공포의 지점은 주인공의 딜레마적인 상황이다. 살인사건의 목격자인 상훈은 자신과 가족의 안전을 위해서 역설적으로 경찰 수사에 협조하지 않고, 아파트 시세 하락을 걱정한 주민들의 이기주의에도 편승하면서 살인범으로부터 익명성 속으로 숨는다. 신도시라는 공간이 주는 범죄와 안전에 대한 과도한 감각과 무너진 공권력이 결합되면서 가족의 안녕이 오로지 가장의 몫으로 남겨진 것은 한국 사회에서 느끼는 공통적 공포이다. 아파트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났을 때 주민들은 자신들의 안전보다도 집값을 먼저 걱정한다. 그들에게 아파트 값이 떨어지는 것은 삶의 기반이 허물어지는 공포 그 자체이다.
    영화 <도어락>은 혼자 사는 여성을 노려 그녀의 공간과 육체를 소유하려는 젊은 남성을 살인범으로 내세우는 스릴러 영화이다. <도어락>에서의 공포는 가장 안전해야 할 그녀만의 공간인 주거지 오피스텔에 도사리고 있다. 살인범인 젊은 남성에 의해 의식을 잃고 나약한 상태로 포획당한 듯한 주인공의 모습은 야수적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의식하지 못한 채 착취의 대상이 되는 비정규적 여성인 주인공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청년실업과 열악한 근무조건,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한국 사회의 청년 프리카리아트를 상징한다. 이 영화의 공포의 후경에는 신자유주의 사회가 갖는 근원적인 공포, 즉 불안한 지위의 비정규직인 프리카리아트가 겪는 사회적・경제적 공포가 자리 잡고 있다.
    두 영화는 ‘집’이라는 공간에서 공포의 내러티브가 작동한다. 나와 가족의 보금자리에 침입자가 생기면서 오는 불안감, 우리의 울타리가 생각보다 쉽게 무너지는 것에서 오는 두려움이 두 영화의 기본적인 공포적 요소이다. 그리고 영화 속 주요 인물들은 막대한 주거지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야 했고, 다달이 갚아야 할 부채가 산적하다. 이들은 금융화된 자본주의 시스템의 길들임과 통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두 영화를 통해서 관객들은 ‘집’이라는 표상을 통해 금융화된 자본주의 시스템이 얼마나 잔혹하게 작동되는지를 체감할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이 두 영화의 주된 공포적 요소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e reality of new fears in Korean society that invade the daily lives and personal spaces of urbanites through <Witness> and <Door Lock> released in 2018. Zygmunt Bauman pointed out that the anxiety and fear of modern people living in big cities become fears at some point in their daily lives, and Nancy Fraser pointed out that the tragedies caused by the cannibal capitalism system become constant fears and coexist in everyday life. This study confirms and analyzes these signs pointed out by Bauman and Fraser through two horror films, thereby confirming that the main source of fear in Korean society today comes from the neocapitalism system and its negative effects.
    The driving force and point of fear in the film <Witness> is the protagonist’s dilemma. Sang-hoon, a witness to a murder case, paradoxically does not cooperate with the police investigation for the safety of himself and his family, and hides from the murderer in anonymity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selfishness of the residents who are worried about the decline in apartment prices. The excessive sense of crime and safety that the new city space provides, combined with the collapse of public authority, leaves the family’s well-being solely to the head of the household, a common fear felt in Korean society. When a murder occurs in an apartment, residents worry about the price of their house before their own safety. For them, a drop in apartment prices is the very fear of their foundation collapsing.
    The film <Door Lock> is a thriller film that portrays a young man who targets a woman living alone and attempts to possess her space and body as a murderer. The horror in <Door Lock> is lurking in her residential officetel, which should be her safest space. The sight of the protagonist, who is unconscious and weak, being captured by the young male murderer, evokes a beastly fear. The protagonist, a non-regular worker woman who is unknowingly subject to exploitation, symbolizes the young precariat in Korean society suffering from youth unemployment, poor working conditions, and job insecurity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Behind the horror of this film lies the fundamental fear of neoliberal economy society, namely the social and economic fear experienced by the precariat, non-regular workers with unstable positions.
    In both films, the narrative of fear operates in the space called ‘home(or house)’. The anxiety that comes from an intruder entering the shelter of oneself and one’s family, and the fear that our fences can collapse more easily than expected are the basic elements of fear in both films. In addition, the main characters in the films had to borrow money from the financial sector to cover the enormous cost of housing, and they have a mountain of debt that needs to be repaid every month. They are not free from the taming and control of the financialized capitalism system. Through the symbol of ‘home’ in both films, the audience can experience how cruelly the financialized capitalism system operates, and this is the main element of fear in both fil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감성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