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봉선전> 연구 - 이본 소개 및 관련 작품 서사단락 대비를 중심으로 (A Study on Yubongseonjeon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different versions and the review of related work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5.02
37P 미리보기
&lt;유봉선전&gt; 연구 - 이본 소개 및 관련 작품 서사단락 대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68호 / 323 ~ 359페이지
    · 저자명 : 허순우

    초록

    본 논문은 그간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고전소설, <유봉선전>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충남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유봉선전>을 <기연회봉록>의 이본으로 소개한 기록이 있지만 충남대본 <유봉선전>이 낙장본이어서인지 <기연회봉록>과 비교하는 본격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15세 소저가 썼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고령본 <유봉선전>을 접하게 되어, 이 기회에 충남대본과 고령본 <유봉선전>을 함께 두고 내용을 검토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 이 작품이 <기연회봉록>의 이본이 아니라는 점을 우선 확인하였다.
    두 책 모두 낙장본이긴 하지만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먼저는 고령본 <유봉선전>과 충남대본 <유봉선전>의 서지사항, 경개 등을 정리하고, 필사상의 같고 다름을 확인하는 이본 비교를 했다. 그 결과 두 책 모두 초고본이 아닐 가능성이 높고, 고령본에 비해 충남대본이 정확하게 어휘 등을 구사하고 정보를 전달하려는 성향이 강하며, 고령본은 감정을 드러내는 것에 관심이 있음을 확인했다. 또 각 책에서 의미가 불명확한 부분들이 상호 보완되는 지점을 확인했고, 필사가 중단된 지점 대비를 통해 이본 간 필사자의 관심사 차이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다음으로는 <유봉선전>이 <기연회봉록>의 이본이 아니라면 어떤 작품과 연관이 있을까에 대해 알아보았다. 작품 내용 등을 고려할 때 여성 영웅이 등장하는 <이대봉전> 계열 작품들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여 <이대봉전>, <이봉빈전>과 서사 단락을 비교하고 차이점과 공통을 제시함으로써 <유봉선전>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
    현전하는 <유봉선전> 이본은 둘 모두 낙장본이고, 서사 전개가 매끄러운 것도 아니라 잘 짜인 작품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20세기 초를 전후하여 이러한 형태의 작품들이 다수 창작되었다면, 습작 시도나 모방작의 창작을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이해하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연구는 개별 작품 <유봉선전>에 관한 기초 정보를 알리고, 19세기 말-20세기 초에 걸친 고전소설의 창작과 향유 정황을 이해할 수 있는 한 편의 작품을 더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the subject of analysis of the classic novel Yubongseonjeon,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detail. There was a mention of introducing Yubongseonjeon held in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s a copy of Giyeonhoebongnok, but no specific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it with Giyeonhoebongnok, perhaps because the Chungnam script Yubongseonjeon was a lost copy. Recently, I was additionally introduced to the Goryeong edition Yubongseonjeon, which has a record of being written by a 15-year-old girl, and I took this opportunity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Chungnam script and the Goryeong edition Yubongseonje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is work was not related to the Giyeonhoebongnok.
    Although both the Chungnam script and the Goryeong script are not complete copies, they are expected to be able to make up for each other’s shortcomings so I worked on comparing the two books. As a result, it is highly likely that neither book is a draft, and that the Chungnam script is more inclined to accurately use vocabulary and convey information than the Goryeong script, and that the Goryeong script is interested in expressing emotions. It also confirmed that each book can complement the unclear parts of each book.
    Next, I thought about what kind of work can b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Yubongseonjeon. As a result, I confirmed that Yubongseonjeon is related to the work of the Leedaebongjeon and its similar works, novels featuring female heroes, and briefly compared the narrative paragraphs of the works of the Yubongseonjeon, the Leedaebongjeon and Leebongbinjeon.
    In the case of the current Yubongseonjeon copy, both are jade copies, and the narrative development is not smooth, so it is difficult to see them as well-organized works. However, if a number of practice-level novels or imitative novels were created arou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research to understand the reality by considering them as a cultural phenomenon. Therefore, this study informs basic information on individual works Yubongseonjeon and understands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classical novels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 would like to give significance to the fact that it has laid the found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전